영어로 배우는 댄스스포츠(8회)
1. 바디 리듬(Body Rhythm) 의 발전
라틴 아메리칸 댄스(Latin American Dance)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디 리듬(body rhythm)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콘트롤(Control)하는 방법이다.
바디 리듬(body rhythm)을 표현하기 위해,
근육을 한꺼번에 사용하거나 따로 분리해서 사용 한다.
그리고
근육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에너지(energy)가 필요하고,
이러한 에너지(energy)는 완벽한 자세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알아야한다.
그러므로
바디 리듬(body rhythm)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자세를 완벽하게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다.
최초로 영국에 라틴 아메리칸 댄스가 소개 되었을 때,
오늘날 같은 바디 리듬(body rhythm)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스타카토(staccato)식으로 발을 딛고 체중을 옮기는 것으로 바디 리듬(body rhythm)을 묘사 하였다.
무릎을 약간 구부린 상태로 룸바와 차차차를 추고,
피봇팅(pivoting) 동작을 사용해 하키스틱(Hockey Stick) 같은 피겨에서 턴을 하였다.
또한,
그 당시 댄스 교사들은 대중 앞에서 힙 무브먼트(Hip movement)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룸바에서 힙 무브먼트(Hip movement)는 짧은 소절에서만 사용하고 강조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다.
물론,
이러한 자세로는 오늘날의 바디 리듬(Body Rhythm)을 표현 할 수 없었으며,
지금의 룸바와는 사뭇 다른 모습의 춤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아프리카 토속적 분위기를 표현하는 강력한 라틴 아메리칸 음악이
대중성을 갖게 됨으로써
바디 리듬(body rhythm)이 라틴 아메리칸 댄스에서 필수 요소가 되었다.
2. 힙 리듬(Hip rhythm)
바디 리듬(body rhythm)에서 가장 중요한 리듬 중 하나가 힙 리듬(hip rhythm)이다.
라틴 어메리칸 댄스 사상,
최초로 월터 레어드(Walter Laird)가 힙 리듬(hip rhythm)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그 당시, 프랑스에서 유행한 화려한 트릭(trick) 피겨를
힙 리듬(hip rhythm)과 함께 사용하기 시작했다.
위대한 천재 댄서 월터 레어드는
룸바와 차차차의 모든 워킹(Walking)에서 반드시 힙 리듬(hip rhythm)을 표현해야 한다고 했다.
3. 립 케이지(Rib Cage) 리듬
영국 오픈 챔피언 대회에 참가한 미국 프로선수들에 의해서
비로소 립 케이지(Rib Cage) 리듬이 댄스스포츠에 알려 지게 되었다.
립 케이지(Rib Cage) 리듬은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라틴 댄스의 바디 리듬의 일종이며,
립 케이지를 좌 또는 우로 로테이션(rotation) 하여 바디 리듬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립 케이지(Rib Cage)리듬이 힙 리듬(Hip Rhythm)과 결합 했을 때,
체중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자세를 만들 수 있게 되었으며,
완벽한 바디 리듬(body rhythm)을 표현하기 위한 긴 전진 보폭이 가능하게 되었다.
4. 어께 체중 세틀링(Settling the shoulder weight)
바디 리듬(body rhythm)를 충분히 표현하기 위해,
체중이동을 리듬믹(rhythmic)하며 부드럽게 이동해야 하며,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어께 체중의 세틀링(settling)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어께 체중의 세틀링(settling) 이란 좌 또는 우측 어께의 체중을 다운(down)시키는 것을 말한다.
지금도,
세계 챔피온들은 더 많은 바디 리듬(body rhythm)을 계속 계발해 오고 있으며,
기본 피겨와 기본 동작을 통해서,
유연한 바디 리듬(body rhythm)을 어떻게 표현하는 가를 우리에게 보여 주고 있다.
바디 리듬(body rhythm)은 앞으로 더욱 더 진화 할 것이다.
용어해설
바디 리듬(body rhythm): 몸의 전체 근육이나 일부 근육을 사용하여 리듬을 표현하기.
콘트롤(Control): 조절, 통제하다.
스타카토(staccato): 낱낱의 움직임을 날카롭고 분명하게 끊어서 하는 것.
피봇팅(pivoting): 피봇(Pivot)을 추는.
트릭(trick): 묘기, 재주. 댄스스포츠의 정통 동작이 아닌 다른 춤에서 차용한 동작.
힙 무브먼트(Hip movement): 골반 근육을 사용하는 동작.
힙 리듬(hip rhythm): 골반 근육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리듬.
월터 레어드(Walter Laird): 7회 참조
워킹(Walking): 걷는 동작.
립 케이지(Rib Cage): 갈비뼈 아랫부분.
리듬믹(rhythmic): 율동적인.
어께 체중의 세틀링(settling): 어께 체중을 내려놓음.
다운(down): 밑으로, 아래로 향하게 하는 동작.
로테이션(rotation): 회전하다. 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