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의 오일장
문화인류학과 202011167 최상원
- 목차
1. 신철원 전통시장
2. 와수 전통시장
3. 동송 전통시장
1. 신철원 전통시장
- 요약
신철원리는 1945년 해방이 된 후에 북한에 편입 되었다가 1950년 한국전쟁으로 수복되었고 1954년 6월부터 민간인들이 살기 시작한 지역이며 원래는 지포리에 속했던 곳인데 철원읍에 있는 철원군청이 이곳에 설치됨에 따라 분할되었다. 신철원시장은 1954년 이후에 지역주민들의 생활필수품을 물물 교환하기 위해 자생적으로 생겨난 시장으로. 인근에 산수가 빼어난 명성산(922m)이 있어 사시사철 등산객들의 왕래가 잦다.
소재지 :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697
장날 : 매월 3일, 8일 (5일간격)
취급품목 : 오대쌀등 농산물, 청정육, 의류, 잡화, 주방기구, 어물 등 각종 생필품
주차장 : 94면 공영주차장
문의전화: 신철원시장번영회 033-452-3389
- 개설, 제원, 건립 경위
신철원 전통시장은 철원군청 부근에 있는 강원도 철원군의 주요 전통시장이다. 신철원시장번영회가 관리하며, 5일에 한 번씩 정기시장이 열린다. 3일·8일·13일·18일·23일·28일에 장이 열리고, 농수산물, 육류, 과채류를 판매하는 점포들과 식당들이 운영되고 있다. 신철원 전통시장은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718-3에 위치해 있으며, 약 3,000㎡ 규모에, 지하 1층, 지상 2층 건물로 조성되어 있고, 공영 주차장을 갖추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는 6·25전쟁 후 수복되어 1954년 6월부터 민간인이 신철원리에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거주민들이 필요한 물건들을 서로 교환하기 위하여 신철원 전통시장이 자연적으로 형성되었다.
- 변천
강원도 철원군의 신철원 전통시장은 1954년 이후 세워진 전통 5일장을 모태로 하여, 1975년 도시계획 정비로 시장 건물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대형마트가 들어선 2002년을 기점으로 신철원 전통시장을 찾는 방문객 수가 점차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강원도 철원군은 시장 상권을 회복하기 위하여, 2006년 강원지방중소기업청의 지원을 받아 아케이드 설치, 개량 및 편의시설 확충 등 재래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2008년에는 신철원시장번영회와 철원군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시설현대화 사업을 추진하였다. 총 12억 2500만 원[국비 7억 3500만 원, 지방비 3억 6750만 원, 민자 1억 2250만 원]을 들여, 외벽 창호 공사, 가스·전기·소방 공사 등을 진행하였다. 2017년에는 중소 기업청[현 중소벤처 기업부]의 골목형 시장 육성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총 4억 8000만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특화상품 개발, 문화 공간 조성, 상품 진열 개선, 핵심 점포 육성, 먹거리 개발 등의 시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신철원 전통시장만이 지니는 특색과 상품, 디자인 등의 다양한 분야의 특화를 시도하고 있다.
- 구성, 현황
신철원 전통시장 내의 일부 점포와 식당은 상시 운영되며, 장이 서는 날에는 시장 내에 매대를 조성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상품을 판매한다. 주요 업종으로는 농수산물, 청정육, 의류, 잡화, 주방용품, 과일을 판매하며, 시장 내에 다수의 식당이 있다. 2019년 기준으로 건물 내에 51곳의 업체가 입주하고 있다. 매년 8월부터 10월까지 지역 상권과 전통시장을 활성화를 목표로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 저녁 신철원전통시장과 인근의 용화천 수변길에서 야시장을 열고 있다.
2. 와수 전통시장
- 요약
옛날 이 고장에는 기와공장이 있어 대부분 기와집이었다 한다. 이를 고을 원님이 부임때 산마루에 올라지역을 살피니 바다는 없는데 석양에 비치는 지붕들이 마치바다 물결치는 듯이 보인다하여라 불렀다 한다. 와수리장은 1954년 이후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교통의 요지로 강원도 화천과 경기도 포천(이동면)으로 가는 길목에 있으므로 교통량이 많은 곳이다. 와수리장은 시장터가 장방형으로 되어 있으며, 고정상가가 시장터를 에워싸고 있다. 시장바닥에는 시멘트포장이 되어있으며 시장 면적도 넓기 때문에 이동 상인들이 천막치기에 편리하다.
소재지 : 철원군 서면 와수로 184번길
장날 : 매월 1일, 6일 (5일간격)
취급품목 : 오대쌀등 농산물, 청정육, 의류, 잡화, 주방기구, 어물 등 각종 생필품
주차장 : 50면 공영주차장
문의전화: 와수시장 번영회 033-458-9688
- 개설, 변천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에 있는 철원의 전통시장이다. 5일장으로 매월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마다 장이 열리고 있으며, 현재 와수시장 번영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와수 전통시장의 명칭은 시장이 있는 지역의 이름인 와수리에서 차용하였다. 와수 전통시장은 김화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시장으로 공식적인 기록은 없으나, 철원군청에서는 1954년 이후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와수리가 해방 후, 북한에 편입되었다가 6·25전쟁 이후 수복되어 와수리 일대에 1954년 5월 이후 민간인들이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졌다.
- 구성, 현황
와수 전통시장의 시장터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장의 주요 취급 품목으로는 오대쌀 등 농산물들과 청정육, 의류, 잡화, 주방 기구, 어물 등 각종 생활필수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4년 3년간 와수시장을 중심으로 재래시장 현대화 사업을 실시하였다. 2004년에는 하수도 정비 및 정화도 공사를 시작하였고, 2005년에는 2층 증축 및 아케이드를 설치하였다. 2006년에는 비가림 시설을 설치하였다.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50면의 공영 주차장이 설치되어 있으며, 비가림막도 설치하여 시장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고 있다. 와수 전통시장은 2019년 현재 1일, 6일마다 장이 열린다. 장날은 노점 50여 개 이상이 영업을 하며, 장날이 아닌 날은 고정 상가만 영업한다. 와수 전통시장의 홍보를 위하여 요리 대회, 막걸리 빨리 마시기 대회, 초정 가수 공연 등 다채로운 행사도 진행하고 있다.
3. 동송 전통시장
이평리는 1945년 해방이 된 후에 북한에 편입 되었다가 1950년 한국 전쟁으로 수복되었고 1954년 6월부터 민간인들이 살기 시작한 지역이다. 동송 전통시장은 1954년 이후에 지역주민들의 생활필수품을 물물 교환하기 위해 자생적으로 생겨난 시장으로 철원에서 생산되는 각종 농, 특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철원군에서 가장 큰 시장이며 인근 경기도 포천시 주민들도 다수 이용할 정도로 규모가 크다.
소재지 : 철원군 동송읍 이평로 47번길
장날 : 매월 5일, 10일 (5일간격)
취급품목 : 오대쌀등 농산물, 청정육, 의류, 잡화, 주방기구, 어물 등 각종 생필품
주차장 : 208면 공영주차장
문의전화: 동송시장번영회 033-455-2230 / 동송인정시장 033-455-6262
- 개설, 건립 경위
동송전통시장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에 있는 전통시장이며,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영업한다. 시장을 찾은 고객들의 편의를 위하여 철원군 이평리 동송 전통시장 주변에 약 2,000㎡ 면적의 동송시장 공영 주차장을 설치하여 운영 중이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리는 1945년 광복 이후에는 북한이 점령하고 있었으나, 1950년 6·25전쟁 이후 수복되었고 1954년 6월부터 이평리에 민간인들이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이평리 주민들은 필요한 물건들을 교환 형식으로 거래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동송 전통시장이 형성되었다.
- 변천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로 47번길에 있는 동송 전통시장은 철원군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시장이며 경기도 포천시 지역 주민들도 자주 이용하는 전통시장이다. 공식적으로는 동송 전통시장과 동송 시장으로 분리되어 있는데, 이는 시장을 운영하는 협회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로 47번길 16 일대에 있는 동송 시장은 1953년 6·25전쟁이 휴전된 이후, 생활 기반이 갖추어져 있지 않았을 때 지역 주민들이 생활필수품을 교환하기 위하여 형성한 자연 시장이다. 현재 5일장, 10일장으로 매월 5일·10일·15일·20일·25일·30일에 열리며, 동송 시장 번영회가 직접 관리한다. 철원 동송 전통시장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이평로 47번길 19 일대에 있으며, 2007년 동송 전통시장 상인회의 주도로 개설되었다.
- 구성, 현황
동송시장에는 19개의 직영 점포와 14개의 임대 점포가 있다. 동송 전통시장에는 72개의 직영 점포와 58개의 임대 점포가 있으며, 철원군의 지역 특산물뿐만 아니라 농산물, 육류, 해산물 및 다양한 생활필수품을 구매할 수 있다. 강원도 철원군에서는 2004년부터 동송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시장 활성화 사업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여 사업을 추진하였고, 2007년에서 2012년까지 동송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사업을 진행하였다.
현대화 사업으로 시장 길과 오폐수관, 가스 배관, 점포 간판, 소방·전기시설 등을 정비하고, 가로등과 아케이드를 설치하였다. 또한, 시장 건물 2층에 공동 화장실과 고객 쉼터를 마련하였고, ‘2013년 전통시장 및 상점가 시설현대화 사업’을 하여 주차장을 조성하였다. 2019년 7월 30일, 강원도청 및 강원경영단체연합회 등 관련 기관의 관계자 250여 명이 동송 전통시장을 방문하여 ‘오늘은 돈 쓰는 날! 돈 들고 모이자!’ 라는 슬로건 아래 소비 촉진 캠페인을 개최하였고, 소비 촉진 캠페인의 일환으로 장보기 행사를 진행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