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 요 |
|
|
건설공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도장하는 물체의 종류도 금속, 목재, 콘크리트 등으
로 다양화되었으며, 그 피도물에 따라 그리고 다듬질의 정밀도에 따라 적당한 도료와
도장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복잡한 피도물에 대하여 적합한 도료를 선택하
여 도장함으로써 건축물의 미관과 작업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 건축재료와 도장
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갖고 있는 숙련기능공의 양성이 필요해짐. |
|
 |
변천과정 |
|
|
1974년 건축도장기능사2급으로 신설되어 1999년 3월 건축도장기능사로 개정되었고 2006년 가구도장기능사와 통합되어 건축기능사로 됨 |
|
 |
수행직무 |
|
|
붓, 로울러 브러쉬, 스프레이 등의 도장기기와 설비를 사용하여 페인트, 바니쉬 및 유
사 재료를 건물의 외부 및 내부표면과 장식물에 칠하므로써 건물과 장식물을 보호 또
는 장식하는 작업 수행. |
|
 |
취득방법 |
|
|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훈련기관 : 공공 직업훈련원의 건축도장 기능공 양성과정(12개월)
③ 시험과목
- 실기 : 건축도장 작업
④ 검정방법
- 실기 : 작업형(8시간 정도)
⑤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
|
 |
출제경향 |
|
|
- 건축물 내외부의 보호 및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능력의 평가
- 칠할 대상물 바탕조정(연마, 밑칠, 퍼터작업), 도료의 농도조정, 색상조절, 칠작업 |
|
 |
진로 및 전망 |
|
|
- 자격취득에 따른 기능향상을 가져올수 있으며 실제 건설현장에서 기능을 습득하여 도
장공으로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작업의 특성상 일정한 회사에 상용직으로 고용
되지 않고 전문건설업체나 하도급자의 의뢰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 건물 내·외장재로 패널, 석재 등의 사용으로 인한 감소요인이 있으나 전반적인 주택
경기의 회복과 현재 활동하고 있는 도장공의 연령이 높고 젊은이들이 직업으로의 진
입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어서 도장공에 대한 인력수요는 서서히 증가할 전망이다. |
|
 |
실시 기관명 |
|
|
한국산업인력공단 |
|
 |
기관주소 |
|
|
www.hrdkorea.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