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본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동자승(수행자)이 소(본성)를 찾아가는 과정에 비유하여 묘사한 그림이다
선禪 수행과 깨달음의 단계를 잃어버린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하여 열 가지로
나타낸 것으로서 중국 송나라 시대
곽암廓菴 스님이 그린 것이 가장 유명하다 우리 본래 면목을 소(본성)에 비유해서
본성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그리고 있다.
첫째 그림은 소를 찾는다
심우尋牛, 尋찾을 심
이는 수행자가 자신의 본성을 찾아 헤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그림은 소의 발자국을 발견한다
견적見跡, 跡발자취 적
이는 수행자가 꾸준히 노력함으로써 본성을 찾게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그림은 소를 발견한다 견우見牛
이는 수행자가 사물의 근원을 보기 시작하여 견성에 가까웠음을 나타낸다.
넷째 그림은 소의 고삐를 붙잡는다
견득見得
이는 수행자가 자신의 불성을 꿰뚫어 보는 견성의 단계에 이르렀음을 나타낸다.
다섯째 그림은 소에 코뚜레를 걸어 길들인다
목우牧牛
끌고 가는데 소는 점점 희어진다.
이는 얻은 본성을 고행과 수행으로 길들여 삼독(탐,진,치)의 때를 지우는 것을 나타낸다.
여섯째 그림은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온다
기우귀가騎牛歸家
이는 아무런 장애가 없이 자유로운 무애의 단계로서 더할 나위 없이 즐거운 때를 나타낸다.
일곱째 그림은 소는 없고 사람만 있다.
망우재인忘牛在人
이는 소는 하나의 방편으로서 집으로
돌아온 후에는(본성에 이른후) 모두 잊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덟째 그림은 소도 사람도 없다
인우구망人牛俱忘
이는 고요만 드러낸다. 실체가 없이
모든 것이 공空 임을 깨닫도록 한다.
색즉시공色卽是空요
공즉시색空卽是色다
아홉째 그림은 본래의 모습(본성으로)으로 되돌아 간다 반본환원返本還源
사람 모습은 없고 잔잔한 강, 붉게 꽃이 피어 있는 산수풍경만 있다.
이는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알아차린다는 뜻으로 번뇌 없이 참된 경지를 바라본다는 것을 나타낸다.
열째 그림은 세상으로 나간다
행각승이나 목동이 포대화상과 마주한 모습이다. 입전수수入廛垂手으로
중생제도를 위해 세상을 항해 손을 내민다
入들 입 , 廛 가게 전, 垂드리울 수 ,手손 수
상구보리上求菩提요
하화중생下化衆生이다
아주 옛날부터 인간의 마음을 소(본성)에 비유하고 수행하는 사람을 소먹이는 동자승에 비유하여 왔기 때문에 소를 찾는 그림, 심우도尋牛圖라 불리어 왔다.
<참고문헌 지식백과>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극락정토이미타불~
-묘봉사 현각대일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