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경고: 먹지말아야 할 10가지 유전자조작(GMO) 식품
정치와 개인적인 관심이 건강과 안전에 관한 정부 정책을 결정한다.
2009년에 오바마가 미챌 테일러를 식품의약국(FDA)의 수석 자문으로 지명하자 소비자 단체와 환경운동가들이 격렬하게 항의했다. 왜? 테일러는 몬산토의 부사장이었기 때문이다.
유전자조작(GMO) 식품의 위험성
표시가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국민들은 식탁에 있는 음식이 유전자조작된 것인지 아닌지 모르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이, 유전자조작 식품을 추적하고 피하려는 노력을 헛되이 만들고 있다.
아래는 잘 알려진 유전자조작 식품들이다.
1. 옥수수 : 옥수수는 자체적으로 살충제가 만들어 지도록 유전자조작 되었다.
식품의약국은 수 톤의 유전자조작 옥수수가 사람의 식용으로 도입되었다고 발표했다. 몬산토는 미국의 (단맛나는) 옥수수 재배 농가의 절반이 유전자조작 씨앗을 심는다고 묵시적으로 드러냈다.
유전자조작 옥수수를 먹은 쥐는 새끼가 작아지고 불임 문제가 있음이 알려졌다.
2. 콩 : 콩은 제초제에 견디도록 유전자조작 되었다. 콩제품으로는 콩가루, 두부, 콩음료, 콩기름, 반죽, 빵제품, 식용유 등이 있다.
유전자조작 콩을 먹은 햄스터(쥐과에 속하는 설치류 동물)은 새끼를 갖지 못했고,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다.
3. 면화 : 옥수수 콩과 마찬가지로 살충제에 견디도록 설계되었다. 면실유(면화 씨앗 기름)이 식용으로 쓰이므로 식품으로 볼 수 있다.
중국 농업에 도입됨으로써, 목화벌레를 죽이는 농약이 제조되었고, 목화뿐만 아니라 인근의 콩과 옥수수 밭의 해충 발생도 줄였다. 그런데, 유전자조작 면화(BT Cotton)에 노출된 인도의 농민들은 심각한 발진을 겪고 있다.
4. 파파야 : 바이러스-저항성 품종이 1999년 하와이에 상업적으로 도입되었다. 유전자조작 파파야가 하와이의 전체 파파야 가운데 4분의 3을 점령했다.
몬산토는 인도의 타밀 나두 농업대학에 둥근무늬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유전자조작) 파파야 개발을 위한 기술을 이전했다.
5. 쌀 : 주요 식품인 서남아시아산 쌀도 이제는 비타민 A가 많이 함유 되도록 유전자조작되었다.
들리는 바에 의하면, 미국에서 생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람의 유전자를 삽입한 쌀 품종에 관한 보고서도 있다. 쌀은 제 3세계의 유아 설사에 유용한 인간 단백질을 생산하게 될 것이다.
차이나 데일리는, 유전자조작으로 발생 가능한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하여, 유전자조작된 쌀과 심각한 대중의 건강 및 환경문제의 잠재성을 보도 했다.
6. 토마토 : 토마토는 유통기한이 길어지고 잘 썩지 않고, 상품가치가 떨어지지 않도록 유전자조작되었다.
유전자조작 토마토의 안전성 실험에서, 어떤 동물들은 유전자조작 토마토를 먹은지 불과 몇 주만에 죽었다.
7. 유채씨 (Rapeseed: 랩시드) : 카나다에서는 이 씨앗을 비식용 유채씨와 구별하기 위해서 카놀라(Canola)라고 이름 붙였다.
랩시드 제품에는 랩시드(카놀라) 기름과 마가린이 있다.
벌꿀도 유전자조작된 랩시드에서 생산될 수 있다. 독일의 식품감시당국은 카나다산 꿀에 있는 화분의 무려 3분의 1이 유전자조작된 화분임을 발견했다. 또한, 일부 카나다산 꿀에는 유전자조작된 랩시드의 화분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8. 유제품 : 미국의 젓소 가운데 22 퍼센트의 젓소에게 유전자조작된 소 성장 호르몬(rbGH)이 주입되었다.
몬산토가 생산한 이 호르몬은 소의 우유 생산을 인위적으로 15퍼센트까지 높인다. 이 호르몬이 들어 있는 우유는 IGF-1(insulin growth factors-1)을 끌어 올린다. 사람도 IGF-1을 가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높아진 IGF-1은 결장암, 유방암과 관련이 된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9. 감자 :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Cry 1'으로 유전자조작된 감자를 먹은 쥐에서는 독소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Cry 1 독소가 쥐의 소화기관에서 분해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10. 완두콩(Peas) : 유전자조작된 완두콩은 쥐에게서 면역반응을 보였고, 사람에게서도 그럴 가능성이 있다.
제초제 기능을 하는 단백질을 생산하도록 강낭콩의 유전자를 완두콩에 주입한 것이다.
유전자조작(GMO)식품과 이상한 질병과의 연계성
내추럴 뉴스는 일찌기 2008년에 모겔론 병(Morgellon's disease)이라 불리는 질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도한 바 있다.
주) 증상들을 쭉 나열하고 있는데, 어떻게 옮겨야 할 지 몰라, 그냥 붙여 둡니다.
[ The article went on to report the symptoms of the disease as follows: crawling, stinging, biting and crawling sensations; threads or black speck-like materials on or beneath the skin; granules, lesions. Some patients report fatigue, short term memory loss, mental confusion, joint pain and changes in vision.
Furthermore, there have been reports of substantial morbidity and social dysfunction leading to a dip in work productivity, job loss, total disability, divorce, loss of child custody and home abandonment.]
보도가 되기 전까지는, 그러한 질병은 거짓말이라고 묵살되었다. 더 깊은 연구로 그러한 질병은 실제로 유전자조작 식품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붙임말 : 유전자조작(GMO) 식품에 관심을 가져야 될 것 같기에, 익숙하지도 않은 의학.식품관련 용어에도 불구하고 옮겨 보았습니다.
유전자조작 식품의 위험성에 대한 글쓴이의 뜻이 전달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http://www.naturalnews.com/
[출처] http://gadeungot.blogspot.com/2012/05/gmo-10-gmo.html
첫댓글 GMO식품들은 계속 늘어날 것이고 하나하나 가려먹을수도 없을 것이고...
결국은 스스로가 대처할 능력을 키우는 수 밖에 없지않을까요 인체파동원리로요.
고맙습니다.^^
사람들이 인체파동원리가 '진리'라고 믿어지려면 무얼 해야할까요?
써클을 그려 보세요.
공부는 하셔야 하죠.
참신기합니다.
무릎이 아프면 무릎이 아닌 해당자리에 가고
지압하면 통증이 사라져요. 진짜입니다.
집에서 밥먹기도 어려운데 대부분 식당은 이렇겠지요~저항력 면역력 높이는게 답이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GMO식품으로 인한 이름도 모르는
질병이 점점 늘어날텐데 인체파동원리가 희망과 해답으로
널리 아려져야겠네요
알고 대처를 하고 인체파동원리로 살아야지요
이미 망가진 지구 식물을 지구 자연이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변화시켰으니 GMO식품은 무조건 피해야겠습니다.
더불어 알고 가려 먹는 지혜가 필요하겠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피해야 한ㅁ다는 것을 알면서도 실천하지 못하는 현대인들이 불쌍합니다
공ㅇ장에서 나오는거 먹지말고 가능하면 지인들이 키운 채소.버섯류 육류들~~~
공동체에서 나오는거.......어렵죠. 조금만 신경쓰면 가능해요.
감사합니다
잘읽었습니다
정보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