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88man.tv
- 1열
- 시접, 잔반, 메(밥) - 떡국은 우측, 술잔은 좌측.
- 2열
- 어동육서(魚東肉西) - 어찬은 동쪽, 육찬은 서쪽.
- 3열
- 탕류 - 육탕, 소탕, 어탕 순.
- 4열
- 좌포우혜(左鮑右醯) - 왼쪽에 포(脯), 오른쪽에 식혜.
- 5열
- 조율이시(棗栗梨枾)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 붉은 과실은 동, 흰 과실은 서.
이 차림은 일반적인 상차림이며, 지역이나 지방풍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차례 지내는 법 | 차례상 차리기 | 지방 쓰는법
- 1. 진설(陳設) : 식지 않는 음식을 차린다.
- 2. 강신(降神) : 향상 앞에 나아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가 따라 주는 술을 세번으로 나누어 모시기에 붓고 두 번 절한다.
- 3. 참신(參神) : 음양의 원리에 따라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한다.
- 4. 진찬(進饌) : 진설에서 차리지 않은 나머지 차례음식으로서 식어서는 안될 음식을 차린다.
- 5. 헌작(獻酌) : 제주가 신위에 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 6. 계반삽시(啓飯揷匙), 삽시정저(揷匙正著) : 메의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은 적이나 편에 올려놓는다.
- 7. 합문(闔門) : 조상님이 식사를 할 수 있게 제청 밖으로 나가고 문을 닫거나, 제상 앞에 병풍을 가린 후 모두 엎드린다.
- 8. 계문(啓門) : 연장자가 기침을 세번하면, 전원이 제청 안으로 들어오거나, 병풍을 걷고 일어선다.
- 9. 철시복반(撤匙復飯) : 수저를 거두고, 메의 뚜껑을 덮는 절차이다.
- 10. 사신(辭神) : 신을 보내 드리는 절차로서,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한다.
- 11. 납주(納主) : 신주를 원래의 자리인 사당 감실에 모신다. 지방을 모셨을 경우 지방을 향로 위에 놓고 태운다.
- 12. 철상(撤床), 음복(飮福) : 차례음식을 내리고 차례상 등의 기물을 정리하고,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덕을 기린다.
지방 쓰는법
- 지방(紙榜)
-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써 종이로 만든 신주(神主)
- 규격
- 너비 6cm, 길이 22cm 정도가 좋으며 한지(백지)를 사용
- 위치
- 고위(아버지)를 왼쪽에 쓰고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쓴다.
- 관련정보
- 제례순서, 지방 접는 법
(
- 1. 손과 팔꿈치가 수평이 되도록 어깨 높이로 들고 고개를 숙인다.(오른손등이 왼손등 위로 가도록 포갠다)
2. 포갠 양 손 사이로 시선은 바닥을 향한다. 3. 먼저 왼발을 구부린 뒤 오른발을 구부린 후 오른발을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갠 후,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4. 윗몸을 45도 앞으로 반쯤 구부려 절한다.
자세히보기
남자 절하는 방법
- 1. 양손을 포개 양 팔꿈치와 손이 배 부근에서 수평이 되게 한다.(이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손 위로 올라간다)
2. 허리를 굽혀 손으로 땅을 짚고 왼발을 먼저 구부린다. 3. 오른발을 구부려 왼발 바닥위에 오른발을 포개 앉는다. 4. 엉덩이를 발에 붙이고 손을 구부려 양 팔꿈치가 땅에 닿은 상태에서 얼굴이 손에 닿을 정도로 허리를 굽혀 절한다.
자세히보기
고름매는 법
- 1. 고름을 반듯하게 펴서 양손을 가볍게 잡은 다음 짧은 고름이 위로 가도록 X자 모양으로 뺀다.
- 2. 아래쪽 긴 고름으로 고(반리본 모양)를 만든 뒤 위쪽의 짧은 고름을 밑으로 한다.
- 3. 왼손으로는 긴고름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짧은 고름을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 뺀다.
- 4. 아래 위로 가볍게 잡아 당기면서 완성된 모양을 만든다.
- 5. 아래로 자연스럽게 떨어진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 차이는 5~7cm정도가 알맞으며 노리개 걸이로 고정시켜도 괜찮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