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연저항측정시 먼저 모터용량과 특성을 알아야 되는데 일반적인 절연측정법을 말씀드리죠.
모터종류는 크게 회전자가 뭔가에 따라 농형과 권선형으로 나누어집니다. 권선형 전동기는 잘 쓰이지 않으므로, 아마 질문하신 분은 농형일 겁니다.
그러므로 회전자(돌아가는 부분)은 절연 저항을 측정할 필요가 없고, 고정자만 측정하시면 될것 같네요.
기동방식에 따라 측정하는 방법이 차이가 있습니다.
1. 직입기동
직입기동은 바로 전원을 투입하여 모터를 회전시키므로 모터 권선이 내부에서 Y결선 또는 D결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연결단자가 R,S,T 로 되어 있으면 D 결선, R,S,T, N이면 Y결선 입니다.
이경우에는 (-)를 외함에 물리고, (+)를 단자에 물리면 됩니다.
단점은 절연 불량 시 어느 상이 불량인지는 분해를 해봐야 한다는 거죠.
어떤제품은 외부에서 Y,D결선을 할 수 있도록 된 것도 있더군요 .이 경우는 결선을 풀고 각상별로 절연저항 측정이 가능 합니다.
2.Y-D 기동
3상인 경우모터에서 6가닥의 전선이 모터 기동 판넬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차단기를 내린 다음 (-)를 외함에 물리고 (+)를 R,S,T상을 각각 측정하시면 각상의 절연저항이 나옴니다.
이 경우는 삼 상중 어느 상이 불량인지 알수있죠.
참고로 메가측정전압은 저압은 500V 고압은 1000V 특고압은 2000V로 측정합니다.
또한 단자를 물리고 10초이상(규정마다 다름)은 있어야 합니다. 모터권선에 메가테스트기에서 나온 전류가 충전되는 시간이 있기 때문입니다.
주의하실점은 메가 측정후 (+)단자를 댄곳을 외함이나 대지에 접지시켜 방전시켜주세요. 방전시키기 않으시면 권선에 충전된 전류때문에 맨손으로 만지시면 정신이 번쩍 드실겁니다.
판정규정은 여러가지 있으나 국내 규정은 아래와 같은데 아래 수준이면 거의 불량이구요
"∞"가까이 나오는게 정상이구요. 눈금이 레인지에서 중간이하로 떨어지면 절연 점검 필요 합니다.
<기준값>
사용전압 구분[V] 절연저항치[MΩ]
150이하 0.1 150~300 0.2 300~400 0.3 400를 넘는 것 0.4
답글] motor 절연저항 측정
절연저항기 사용법은 급수모터 개폐기 전단의 중성점을 찾아 거기에 절연저항계(메거)의 E단자(접지단자)를 연결하고 개폐기 2차측에는 L단자를 물려 절연저항계의 버턴을 눌려 측정하시면 됩니다. 물론 그때 개폐기는 개방시켜 놓으시고 작업에 임해야합니다
일단 모터를 처음 구매했을때 저항값을 측정해두면 관리시 도움이 많이 돼죠! 메이커마다 차이는 있지만 하나하나 데이타를 잡아가다 보면 많은도움이 될꺼라고 사료 되네요. 참고로 절연저항 측정시 꼭 전원은 OFF 하는 것을 잊으시면 않되는거 아시죠? 그럼 수고하세요.
혹시 마그네트 2차측에 콘덴서를 달았다면 콘덴서 전원을 분리해서 motor 절연저항을 측정하셔야 합니다.
전기란 전자의 이동을 말합니다. 전자의 이동을 일으키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들에는 전압 전류. 저항의 요소들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전압은 전자의 이동을 일으키기 위한 전자의 압력을 말하며 쉽게 설명하면 물의 경우를 보면 낙차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낙차가 없는 물은 이동을 할 수 없고 전자가 이동할수 있도록 전자의 낙차를 말합니다.
전류 는 전자의 이동이 일정시간에 이루어지는 양을 말하며 즉 단위 시간당 일정한 구간에 이동한 전자의 양으로 흔히 전하라고 하며 실제적인 일을 담당하게 됩니다.
저항은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성질의 모든 것을 말합니다,
위의 3개의 요소는 V=1XR입니다.
소비전력은 단위시간에 소비 또는 발생하는 에너지의 비율을 전력이라고 하며 전력은 전압과 전류에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P= Vl 의 식과 같이 전력은 전압과 전류에 비례하는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같은 전류를 가지고 높은 전압에서 사용한다면 전력사용은 많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같은 전압에서 낮은 전류를 사용한다면 전력사용량은 적어지게 됩니다.
저항에 의한 소비전력은 위의 식으로 부터 계산적으로 이루어 질수 있습니다.
P=Vl 여기서 V=lR이므로 V대신 lR을 대입하면 P=l 2 R 로 되어 집니다
다시 말해서 소비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고 저항에 비례합니다.
모터는 전기Energy를 회전하는 운동 Energy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직류는 시간적으로 변화 하지 않는 일정한 전압이 전류 건전지
교류 시간과 함께 크기와 방향을 바꾸는 전압 전류
발전소 발전기
교류를 나타내는 데는 싸인파라고 하는 파형을 쓰며 코일 회전를 1사이클로 하고 1초간에 몇회 사이클파형이 되풀이 되는가를 나타낸 것이 주파수입니다
많은 직류를 사용할 경우에는 직류 발전기를 사용하고 대다수 전력의 경우는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정류기을 사용합니다
단상과 3상
가정에서는 대다수 단상을 사용하나 공장에서는
대형모터등이 많아서 3선이 들어가는 3상을 사용한다
저희는 모터 구입시 또는 모터 소손후 rewinding후 절연저항을 측정하는데 일반 책에서 나와있는 수치보다는 좀 높은 10메가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수중에서 사용하는 것은 좀더 가중치를 두고 있읍니다. 물론 책에서 규정한 400v를 기준으로 하는 0.4메가 옴이상으로 하였을 때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소손에 대한 방지를 하고 있습니다 .
.
절연측정을 하시려면 모타선을 마그네트나 인버터, 소프트스타트에서 분리후 측정하셔야 합니다.
아니면 램프나 코일등으로 돌아서 나오기 때문에 측정이 힘들게 됩니다.
그리고 책에 나온것처럼 150V이하 ~ 400V이상 일때 0.1~0.4㏁이면 절연불량으로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추가 질문사항입니다.
회전기기의 절연저항 값 : 2㏁이상이 아닌지요!
상간절연저항값(코일과 외함)과 선간절연저항값(코일과 코일) 상호 측정값은 어느 정도인지요!
3상 농형유도전동기 380[V]입니다.
보통 10[MΩ]을 최저치로 생각 하시고 그에 따른 보수계획을 세우시는게 맞지 않을까요,,,
저압을 측정할땐 500[V]급 메가, 고압을 측정 할땐500[V]급 메가로 측정 한답니다.
일단 모터를 처음 구매했을때 저항값을 측정해두면 관리시 도움이 많이 돼죠! 메이커마다 차이는 있지만 하나하나 데이타를 잡아가다 보면 많은도움이 될꺼라고 사료 되네요. 참고로 절연저항 측정시 꼭 전원은 OFF 하는것을 잊으시면 않되는거 아시죠? 그럼 수고하세요.
일반적으로 절연 측정은 메거를 사용하며 상과 접지는 측정시 10메가 오옴이상
상과상사이는 단락이 되어야만 정상입니다
다.
외함과 상을 연결하여 절연저항 해보 시고..
그리고 시험볼때 나와있는 그 수치로는 사용하기 힘들구요.
최하 못해도 10메가옴 이상 떠야 합니다. 솔직히 10메가옴도 안좋구요.
새거라면 1000 이상 떠야죠.
선로와 모터분리 후 절연을 측정하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