낫또란
낫또는 일본 말로써 낫도, 낫토, 낫도, 나또로 부르기도 합니다.
콩을 발효시켜 만든 우리나라의 청국장과 비슷한 발효 식품입니다.
일본 사찰을 부엌을 '납소'라고 부릅니다.
낫또 유래는 사찰 부엌에서 대두를 원료로 해서
낫또를 만들었다고해서 낫또로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때까지의 낫또는 우리나라의 청국장과 같은 식품으로
일본인들이 낫또를 그대로 먹을수 있게 된 이유는 학자들의 꾸준한 연구의 결과입니다.
1905년 일본의 자와무라 박사가 낫또에서
끈적끈적한 진을 만들어 내는 균을 찾아 내 이것을 '바실러스 낫또 자와무라'라고 명명하고
그후 북해도 대학의 교수가 지푸라기를 사용하지 않고
청결하고 효율성 있게 낫또를 만드는 것에 성공하면서 끓이지 않고
그냥 먹을 수 있는 낫또를 생산하게 됩니다.
즉 낫또란 삶은 콩에다가 사람에게 유익한 균만을 인공적으로 접종하여
위생시설이 갖추어진 제조시설에서 제조된 상품입니다.
청국장이란
청국장은 옛 고구려 영토인 만주지방의 기마민족이
단백질을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말안장 밑에 삶은 콩을 넣고 다녔다는데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말의 체온에 의해 삶은 콩이 자연 발효돼 청국장이 됐다는 것,
또 청나라에서 전래돼'청국장'이란 설과
정쟁 때 간단히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장이라는 뜻의 '전국장'이
청국장으로 와전 됐다는 설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재래식 청국장은 콩을 삶아 이를 볏짚에 싸고
따뜻한 방에서 이불이나 담요를 덮어 2~3일 숙성, 발효시키며
이때 공기중에 있는 소량의 낫또 균과 다른 많은 잡균이 한꺼번에 번식하게 됩니다.
청국장은 공기 중 잡균에 노출돼 발효되기 때문에
냄새가 많이 나고 잡균과 함께 발효된 식품으로 항상 끓여 드셔야 합니다.
생청국장이란
우리나라에는 낫또란 말이 없습니다.
청국장과 비슷한 제품이지만 제조방법과 먹는 방법에 따라 다른 상품이므로
국내에선 낫또를 생청국장이라고 업체에서 부르기도 합니다.
간혹 생청국장에 대한 뜻을 달리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생청국장(낫또)을 구입하실 땐 끓이지 않고 그대로 먹을 수 있는 식품인지 확인 하시고
구입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