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위(神位)
신위(神位)라 함은 고인의 영혼 즉 신을 모시는 곳을 말하는데 종래에는 지방으로 모셨으나 지금은 많은 가정에서 영정(사진 또는 초상화)을 모시고 지내고 있다.
기제사의 본 뜻이 고인의 별세한 날을 추모하는 의식이라고 하였으니 그 추모하는 정을 제대로 고취시키려면 고인의 생전 모습이 그대로 나타난 사진을 모시는 것이 예법(禮法)에 없다고 하여 탓할 것은 아니다.
그러니 별세하신지 오래되어 사진이 없을 경우에는 지방을 쓰겠지만 생전에 사진 한 장씩은 꼭 찍어 두었다가 별세한 뒤에 상례의 영좌나 제사의 신위로 모시도록 하였으면 한다.
옛날에는 중국에서 들어온 철저한 유교 의식에 따라서 위호(衛護)라고 하여 사대부가(士大夫家)에서는 집집마다 사당(祠堂)을 짓고 역대 조상들의 신주를 모시고 수많은 제사를 지내야 하였으나 지금은 세상살이가 많이 달라졌으니 세속을 따르는 것도 좋겠다.
종이에 쓴 지방보다는 사진이 훨씬 더 실감나고 그리움도 솟지 않겠는가.
=*=지방(紙榜) 쓰는법
제사 지낼 때에는 지방을 쓰는데. 제사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대신으로 사용하였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치면 소각한다.그 내용은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조상과의 친속관계, 조상의 관직(여성은 봉호), 시호(여성은 성씨)등을 나타낸다. 지방이라는 것은 고인의 신위표시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당에 신주를 모시는 분은 지방이 필요 없지만 그렇지 않은 분은 흰 종이 위에 작고하신 분의 호칭과 관직을 먹으로 정성껏 써서 교의 또는 제상(祭床) 정후면(正後面) 병풍에 붙인다. 지방길이는 주척(周尺)으로 일척이촌(一尺二寸) 폭이 삼촌(三寸)인바 주척일척(周尺一尺)은 현재 미터법으로 약 이십(二十)센치에 해당하니까 길이가 이십이(二十二)센치에 넓이가 육(六)센치 정도이다,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위쪽을 둥글게 오려서 사용하기도 한다.
위를 둥글게 하고 아래쪽을 평평하게 하는 까닭은 천원지방(天圓地方: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상징한 것이다.
한 장의 지방에 남,여 조상 두 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조상을 쓰며 세로쓰기를 한다.
만약 여자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조상의 바로 오른쪽에서부터 계속 쓴다.
지방(紙榜)쓰는 방식은 아래와 같다.
=+=지방의 내용과 작성법
* 남자조상(한문)
지방의 구성은 모시는 조상 + 조상의 관직 + 조상의 이름 + 조상의 자리 순으로 구성.
의미는 어떤이름의 어떤 벼슬을 지낸 몇 대 조상의 자리란 뜻.
=> 한자
顯考學生府君神位
현고학생부군신위
-구성
①모시는 조상
②조상의 지위
③조상의 이름
④조상의자리
-의미
顯 존경의 의미
考 돌아가신 아버지를 의미
학생 관직이 없는 경우로 과거시험 준비 중인 예비관원을 의미
관직 관직이 있는 경우 그 관직을 쓴다.
府君 제사대상이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
이름 제사대상이 자신의 아랫사람인 경우
~神位 ~
조상의 자리
=*=작성법
아버지인 경우 顯考
할아버지인 경우 顯祖考
증조할아버지인 경우 顯曾祖考
고조할아버지인 경우 顯高祖考
벼슬이 없는 경우 學生
동래부사인 경우 東萊府使
국회의원인 경우 國會議員
* 여자조상(한문)
지방의 구성은 모시는 조상 + 남편의 벼슬에 따른 봉작 + 성씨 + 조상의 자리 순으로 구성.
의미는 어떤 성씨의 어떤 여성지위의 몇 대 조상의 자리란 뜻.
=> 한자
顯비孺人金海金氏神位
현비유인김해김씨신위
-구성
①모시는 조상
②조상의 지위
③조상의 성씨
④조상의자리
-의미
顯 존경의 의미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한다.
孺人 일정한 봉작이 없는 경우
봉작 봉작이 있으면 봉작을 쓴다.
부인이 두 분 이상인 경우 구분하기 위함.
~神位 ~조상의자리
=*=작성법
어머니인 경우 顯
할머니인 경우 顯祖
증조할머니인 경우 顯曾祖
고조할머니인 경우 顯高祖
봉작이 없으면 孺人
정경부인인 경우 貞敬夫人
국회의원인 경우 國會議員
본관 + 성씨
=*= 한자 지방 (벼슬이 없는 경우)
+ 고조부모(高祖父母)
顯 高祖考 學生府君 神位(男左)
현 고조고 학생부군 신위
顯 高祖妣孺 人 ㅇㅇ 姓氏 神位(女右)
현 조고비유 인 本貫 성씨 신위
+ 증조부모(曾祖父母)
顯 曾祖考 學生府君 神位(男左)
현 증조고 학생부군 신위
顯 曾祖妣孺 人ㅇㅇ 姓氏 神位(女右)
현 증조비유 인本貫 성씨 신위
+ 조부모(祖父母)
顯 祖考 學生 府君 神位(男左)
현 고조 학생 부군 신위
顯 祖妣孺 人ㅇㅇ姓氏 神位(女右)
현 조비유 인本貫성씨 신위
+ 부모(父母)
顯 考 學生 府君 神位(男左)
현 고 학생 부군 신위
顯 妣孺 人ㅇㅇ姓氏 神位(女右)
현 비유 인本貫성씨 신위
+ 백부모(伯父)
顯 伯父 學生 府君 神位(男左)
현 백부 학생 부군 신위
顯 伯母妣孺 人ㅇㅇ姓氏 神位(女右)
현 백모비유 인本貫성씨 신위
+ 형(兄),형수(兄嫂)
顯 兄 學生 府君 神位
현 형 학생 부군 신위
顯 兄嫂孺 人ㅇㅇ 姓氏 神位
현 형수유 인本貫 성씨 신위
+ 남편(男便),처(妻)
顯 辟 學生 府君 神位
현 벽 학생 부군 신위
顯 室孺 人ㅇㅇ 姓氏 神位
현 실유 인本貫 성씨 신위
+ 제(弟)
亡 弟學生 ( 이 름 ) 神位
망 제학생 신위
+ 자(子)
亡 子秀才 ( 이 름 ) 神位
망 자수재 신위
사후(死後)에는 서고동고(西高東皐)라 좌편(左便)에 고위(考位)(남(男) 우편(右便)에 비위(비位)(여(女))를 쓴다.
「고(考)」는 「부(父)」와 같은 뜻으로 생시(生時)에는 「부(父)」라 하고 사후(死後)에는 「고(考)」라 하며, 사당(祠堂)에 모실 때에는 「이(示+爾)」라고 하며「비」는 모(母)와 같다.
생시(生時)에는 「모(母)」. 사후(死後)에는 「비()」라한다.
고인(故人)에 관작(官爵)이 있으면 「학생(學生)」 대신(代身)에 관작(官爵)을 쓰고 부인(夫人)의 호칭(呼稱)도 달라진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민주사회에서는 맞지 않는다.
따라서 이 문제는 각자의 재량에 맡길 수밖에 없다.
처제(妻祭)에는 자식(子息)이 있어도 부(夫)가 제주(祭主)가 된다.
=*= 축문(祝文) 쓰는 법
(가)유세차간지(維歲次干支)
간지(干支)는 당년(當年)의 태세(太歲)를 말한다. 정해년이면 당년의 태세로써 '정해(丁亥)'를 쓰게 된다. 그러므로 '유세차 정해(유세차 정해)'라고 쓰면 되는 것이다.
"이어 오느 해의 차례가 정해년으로 바뀌었다"는 뜻으로 이 문구는 어떠한 축문이든 그 당녕의 태세만 바꿔 옮겨 쓰면 된다.
(나)기월간지삭(幾月干支朔)
음력으로 제사를 맞는 달과 그 달의 초하루 일진이 '병인(丙寅)'일 경우 "오월병인삭(五月丙寅朔)" 이렇게 쓰면된다.
(다)기일간지(幾日干支)
음력으로 제사를 맞는 날짜와 그 날의 일진을 쓰면 된다.
돌아가신 날이 15일이고 그날의 일진이 임오(壬午)인 경우 "십오일임오(十五日壬午)" 라고 쓴다.
(라)관칭(關稱)
이는 제사를 받드는 신위에 대하여 자기와의 관계를 자칭(自稱)하는 것으로써 부모님 제사에는 효자(孝子) 조부모 제사에는 효손(孝孫) 증조부 제사에는 효증손(孝曾孫) 고조부는 효현손(孝玄孫) 이렇게 쓴다.
그리고 효(孝)자를 쓰는 것은 종자(宗子)의 경우에만 쓰고, 남편의 제사에는 '주부(主婦)', 아내의 제사에는 '부(夫)'라고 쓴다.
다만 졸곡(卒哭)전의 초종(初終)일 경우 부모의 상사(喪事)에는 '고자(孤子)', 조부모는 '애손(哀孫)'이라고 쓰면되고, 조부모가 모두 사망 하였을 경우에는 '고애손(孤哀孫)이라고 쓴다.
(마)모(某)
제사를 받드는 사람의 이름을 쓰면 된다.
(바)감소고우(敢昭告于)
이는 '삼가 고하나이다' 라는 뜻으로 제위가 존장(尊長)인 경우에 쓰면되고.
처(妻)인 경우에는 '소고우(昭告于)' 라고 쓰고, 아우 이하의 비유(卑幼)인 경우에는 '고우(告于)' 라고만 쓴다.
(사)현모친(顯某親)
제위에 대한 경칭어(敬稱語)로써 아버지에 대하여는 '현자(顯者)'라 쓰고, 어머니에게는 '현비'라 쓴다.
그리고 조부는 '현조고(顯祖考), 조모는 '현조비, 처(妻)는 '고실(故室), 아랫사람인 경우는 현(顯)자를 '망(亡)자로 바꾸어 쓰면된다. 아들인 경우에는 '망자수재모(亡子秀才某)라 쓴다.
(아)모관(某官)
망자의 벼슬에 따라 쓰는데, 벼슬이 없을 경우에는 '학생(學生)' 이라고만 쓰면 되고, 안제사(內祭)일 경우에는 남편의 벼슬이 있으면 이에 따라 봉해서 쓰면 되고 벼슬이 없으면 '유인(孺人)' 이라고만 쓴다.
* 비유(卑幼)의 경우에는 쓰지 않는다.
(자)부군(府君)
남자의 제사에는 그대로 쓰면 되고, 여자인 경우에는 관향(貫鄕)과 성씨를 쓰면 된다.
다만 손아랫 사람에게는 쓰지 않는다.
(차) 제문내용 뜻풀이
維歲次(유세차)
해의 차례가 이어 온다는 뜻이다.
干支(간지)
태세, 월진, 일진, 육십갑자를 말한다.
幾月某日(기월모일)
몇월 며칠 이라는 뜻.
孝子(효자)
아들 이라는 명칭.
敢昭告于(감소고우)
밝혀서 고한다는 뜻.
朔(삭)
초 하루라는 뜻.
顯考府君(현고부군)
부모를 뜻하며 존칭하는 말이다.
謹以(근이)
정성을 다한다는 뜻.
淸酌庶羞(청작서수)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드린다는 뜻.
尙(상). 饗(향)
흠향하십시오 라는 뜻.
歲序遷易(세서천역)
세월이 흘러 바뀌었다는 뜻.
諱日復臨(휘일부임)
돌아가신 날이 다시오다 라는 뜻.
昊天罔極(호천망극)
넓은 하늘과 같이 부모의 은혜가 크다는 뜻으로 부모기제에..
不勝永募(불승영모)
영원하신 조상님의 은혜가 크다는 뜻으로 조부 이상의 기제에..
追遠感時(추원감시)
돌아가신 때를 맞이하여 진정한 마음으로 감동 한다는 뜻.
(카)일진 넣는 법
(1)간지(干支) = 당년의 일진을 넣습니다. (돌아가신해의 일진이 아니라 제사를 모시는 해의 일진입니다.)
(2)간지(干支) = 음력으로 제사를 모시는 그 달의 초하루 일진을 넣습니다.
(3)간지(干支) = 음력 기제사 당일의 일진을 넣습니다.
=*= 기제(忌祭)나 차례(茶禮)때는 4대봉사
기제(忌祭)나 차례는 4대봉사로 년8회가 원칙이나 조상중에 상처 후의 재취비위(再聚비位) 등이 있으면1.2회씩 늘고 또는 가문에 따라 공신(功臣)으로서 불천위(不遷位)가 한두분씩 계셔서 2.4회 늘어 년 10회 이상인 집안도 있다. 이진설은 각 지방의 습속으로 경향 풍속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남로간(남인과 노론파사이)의 예행해설에 대한 의견 등으로 인하여 부합하지 않는 점도 없지 않으나 그 원례(原禮)는 역시 동일 하다 하겠다.
보충===>메"(떡국)를 한번에 8그릇을 놓고 차례를 모시기도 하나 선대 조상부터 차례대로 메"를 올리고 제배 하는것이 올은 방법이라 여겨 집니다.
다설제례(합동제례)===>여러 조상을 합동으로 모시고 차례를 드리려면 제주기준으로 4대 조상(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의 위패(지방)를 서쪽(좌측)부터 서열대로 모시고 일동 제배합니다. 이때 메(떡국)도 8그릇을 동시에 올리고 지냅니다.
=*= 동서(東西)"와 "좌우(左右)"의 개념 정립
* "동서(東西)"라는 용어를 사용 할 경우에는 신위(神位)의 입장에서 생각한다.
* "좌우(左右)"라는 용어를 사용 할 경우에는 신위(神位)를 바라보는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한다.
* 이와같이 하면 "동서"및 "좌우"의 혼동이 없어지게 된다.
- 위와같이 정립된 개념을 기준으로 실제 제례나 상례에 적용되는 어귀(語句)는 -
<동서(東西)의 개념 적용 사례(신위의 입장에서)>
* 홍동백서(紅東白西) 생동숙서(生東熟西) 어동육서(魚東肉西) 동병서면(東餠西麵) 두동미서(頭東尾西) 합동로서(盒東爐西) 서고동비(西高東卑)
<좌우(左右)의 개념 적용 사례(신위를 바라보는 입장에서)>
* 좌포우혜(左脯右醯) 건좌습우(乾左濕右) 반좌갱우(飯左羹右) 남좌여우(男左女右)
=*= 제수진설(祭수陳設) 법
조상을 모시는 예법에 어긋나지 않는 기본적인 차례상 차리는 법 을 알아본다.
설날 지내는 차례는 추석 때와는 달리 밥과 국 대신 떡국이 올라 간다. 새해 떡국에 쓸 가래떡은 둥글게 썰어야 한다. 새해 아침 에 떠오르는 해를 상징하기에 어슷하게 썰지 말라는 것이다. 차례상은 신위나 지방을 북쪽에 두는 것이 기본이다. 제주가 차 례상을 바라보는 방향이 기준이 되므로 신위가 놓인 쪽이 북쪽이 고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이 된다. 신위를 차례상 위에 바로 올리거나 병풍에 붙이는 일은 예법에 어긋난다. 제사상과 약간 거리를 두고 작은 상이나 책을 괴어 조 금 높게 신위를 모셔야 한다. 복숭아, 잉어, 꽁치, 삼치, 갈치, 고추, 마늘 등은 차례상에 올 려서는 안되는 음식들이다. 상차림은 기본적으로 5열이다. 차례상 차리기의 순서는 병풍 쪽 신위 앞으로부터 1열에 떡국과 잔, 수저, 2열에 적과 전, 3열에 탕, 4열에 포와 나물, 5열에 과일을 7가지나 5가지, 3가지의 홀 수로 놓는다. 다음의 7가지 원칙을 지키면 차례상 차리기에 크 게 틀리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 제수진설(祭수陳設)
① 어동육서(漁東肉西):어류는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② 두동미서(頭東尾西):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③ 홍동백서(紅東白西):과실이나 조과의 붉은색은 동쪽에 흰색은 서쪽에 놓는다.
④ 조율이시(棗栗梨枾):서쪽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으로 놓 는다.
⑤ 좌포우혜(左脯右醯):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다.
⑥생동숙서(生東熟西):동쪽에는 김치를 놓고 서쪽에는 익힌 나물 등을 놓는다.
⑦ 좌반우갱(左飯宇羹):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에 놓는다.
=*= 명절 차례 지내기
차례 지내기 절차는 젊은층 일수록 잘 모르는 경향이 있고 차례를 지낼때마다 헷갈리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차례지내기 순서는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없다.
0. 영신(迎神):제사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사상 위에 제사 음식을 차린다.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 준비를 마친다.
1. 강신(降神):제주가 분향하고 재배한 후, 모사그릇에 술을 세 번 기울이고 다시 재배한다.
2. 참신(參神):참석자 전원이 재배(절 두번)한다.
3. 진찬(進饌):떡국을 올린다.
(추석 때는 밥과 국을 올린다)
4. 초헌(初獻):제주가 꿇어 앉아 첫 번째 술잔을 올린다. 이때 집사가 술을 따라 준다.
5. 아헌(亞獻):두 번째 잔을 올리는 의식. 술과 적을 올리고 재 배한다.
6. 종헌(終獻):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 아헌을 올렸던 사람 의 다음 서열의 사람이 술을 올리고 재배한다.
7. 삽시정저(揷匙正箸):숟가락은 떡국그릇 중앙에 바닥 쪽이 동 쪽으로 향하도록 꽂고, 젓가락은 어적이나 육적 그릇 위에 가지 런히 놓고 재배한다.
8. 철시복반(撤匙復飯):숟가락 젓가락을 거두어 시접에 바로 놓 는다.
9. 사신(辭神):참석자 전원이 재배한 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 다. 작별 의식으로 차례를 올리는 절차가 모두 끝난다.
10. 철상(撤床)과 음복(飮福):제사상을 물리고 참석자가 모여앉아 제사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여러가지 제사의 절차을 되세기며...영주장례개발.영주잔디.영주장례개발제사음식전문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