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일본철도연구회
 
 
 
 
 

카페 통계

 
방문
20250218
146
20250219
145
20250220
166
20250221
94
20250222
145
가입
20250218
0
20250219
0
20250220
0
20250221
0
20250222
0
게시글
20250218
1
20250219
2
20250220
2
20250221
1
20250222
2
댓글
20250218
0
20250219
0
20250220
0
20250221
0
20250222
0
 
카페 게시글
엘리프의 2012 일본 여행기 여행기 2012 일본 여행기 (10) - 번외편 1 : 왜 JR패스여야 하는가? + 일본의 시각표는 뭐가 좋길래?
엘리프 추천 1 조회 632 12.09.19 03:10 댓글 31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2.09.19 03:39

    첫댓글 좋은글 잘 봤습니다..^^
    솔직히 이런식의 시간표가 적용 되면 좋지만,
    정차역이 많으면 좀 곤란해진다는게 단점이죠..
    도카이도선이나 산요선 혹은 가고시마선 처럼
    여러개로 해도 되긴하는데..
    과연 한국에서 적용이 잘 될까 모르겠네요..

    근데 1073 새마을 원주역 정차시간이 오타가 난듯하네요..^^;

  • 작성자 12.09.19 10:14

    정차역이 심각하게 많아지지는 않을 것이고, 지금까지는 크게 8개로 쪼개면 된다는 결과니 그닥 나쁠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

    지적해주신 부분에 대해서는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12.09.19 09:31

    유용한 정보네요. 앞으로도 일본 시각표를 읽을 기회가 있다면 자세히 읽어봐야겠네요.

  • 작성자 12.09.19 11:08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12.09.19 10:50

    우리나라 시각표도 기본적으로 일본과 비슷한 구조이긴 합니다. 코레일에서 주는 엑셀파일 말고 서점에서 파는 5천원짜리요.

  • 작성자 12.09.19 11:08

    아 그건 아직 확인할 기회가 없었는데.. 일단은 삽질이 아니리라 믿고 달려보려고요,

  • 12.09.19 11:07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것을 비롯해, 복각판 시각표를 판매하는데... 1930년대 후반 열차운행상황 을 조사할 필요가 있어서 당시 시각표를 뒤졌는데, 운행구간과 출도착시간, 운임규정 등을 금새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기회가 되면 올려볼까요?

  • 작성자 12.09.19 11:09

    넵!

  • 12.09.19 11:41

    '아보시'는 '망간'입니다 ㅎㅎㅎ

  • 작성자 12.09.19 21:27

    정말 그렇네요... 실사자 변만 신경쓰다보니 문제가 있을 가능성을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 12.09.19 13:10

    시각표가 뭐 특별할 게 있겠습니다. 세계 어디나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일본이라고 별다른 건 없습니다만.......

  • 작성자 12.09.19 22:59

    뭐 일본에 사시는 분들도 시각표 이용을 하는 방법을 전혀 모르신다고 해서 해 본 말이었습니다.

  • 12.09.19 15:26

    정말 지명을 그대로 읽으면 왠지 모를 묘한 느낌이 크죠 삿포로 는 '찰황' 센다이 '선대' 나고야 '나고옥'(무슨 한정식 집 같네요 ㅡㅡ) 등등 찰황.. 무슨 왕이름 같네요 ㅎㅎ

  • 12.09.19 19:13

    나고야는 나고옥이 아니라 명고옥이죠. 저도 많이 헷갈립니다.ㅎㅎㅎ

  • 작성자 12.09.19 22:58

    그런 부분들이 많죠.:)

  • 12.09.20 15:20

    앜... 그러네요 名 자인데 수도 없이 읽어서 그런가 봅니다 ㅋㅋ

  • 12.09.19 19:15

    소형시각표는 저렇게 생겼군요. 그동안 대형 시각표만 봐와서 소형 시각표는 잘 몰랐습니다.ㅎㅎ
    우리나라에서 판매하는 유일한 시각표가 있는데, 일본 시각표와 꽤 비슷합니다. 서점에서 5천원에 파는데, 요즘 잘 안보이더군요.

  • 작성자 12.09.19 22:58

    오늘 JR시각표를 선물(?) 받았는데, 보고 역시 대형 시각표가 1200엔이나 하는 이유를 깨달았습니다.
    A4급에 1000페이지 가까운 방대한 데이터... 놀랐습니다.

  • 12.09.19 19:55

    피디에프 파일이 다운되지않네요.

  • 작성자 12.09.19 22:56

    티스토리에 가셔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 12.09.19 20:29

    JR패스 얘기가 나와서 하는 말이지만 7일권 보통차만 해도 도쿄-신오사카 왕복만으로도 거의 본전이죠 그 점을 감안하면 한 도시권이 아닌 두 지역을 둘러보기만 해도 필요한데 정작 가이드북에서는 JR패스를 낭비로 적더랍니다

    신칸센 정상요금이 얼마인줄 알고 그렇게 쓰는건지 -_-

  • 12.09.19 22:28

    도쿄로 들어와서 오사카로 나가고 시내만 다니는 경우(또는 그 반대) 도쿄-오사카 이동은 편도 1회만 하면 되는데 신칸센은 자유석이라도 1만엔 넘어가지만 야간버스를 타면 5천엔대이하로 탈 수 있고 시내에서는 각종 1일권이나 패스류로 가능하므로 이를 합치면 jr패스 값보다 덜 나오기 때문에 그런 말이 나온듯 합니다. 비슷한 원리로 간사이 큐슈의 경우 야간페리를 타면 jr 패스값보다 덜 나옵니다.

  • 작성자 12.09.19 22:56

    뭐 결국 철도동호인들처럼 넓게 다니느냐, 아니면 좁게 다니느냐에 따라서 발생하는 차이가 되겠지요.

  • 12.09.19 22:46

    관광교통시각표도 저 방식을 그대로 쓰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장이 튀어버려서(...) 2012년 6월호를 끝으로 안 나오고 있답니다.

  • 작성자 12.09.19 22:55

    ... 으악 그랬군요 ㅠㅠㅠ

  • 12.09.20 17:40

    철도매니아라도 무조건 JR 패스 살 것이 아니라 지역, 이용할 열차에 따라 다르겠습니다.
    전 신칸선은 많이 타봤고 보통 열차 많이 이용하고 싶어서 간사이 스루 패스, 긴테츠 패스, 가을 패스, 간토 에어리어 패스로 관서, 관동 지방 갑니다.

  • 작성자 12.09.20 22:07

    아무래도 JR서일본패스는 비현실적인것 같은 느낌이...() 뭐 요즘은 JR동일본패스가 흥하니까요

  • 12.09.24 14:24

    최근 3사 통합 패스도 나오긴 했지만 이용 기간도 짧고(5일) 안통하는 구간도 많아서(서일본에선 산요 노선빼고 거의 먹통)이라서 전국 jr패스가 최고이긴 하죠.그러나 노조미 탑승이란 엄청난 이점이 존재하기에 신칸센 중심의 여행엔 유용합니다. 어느 패스를 사용하느냐는 자신의 여행 스타일에 따라 선택해야 할듯 하네요.실제로 신경주~신오사카(한일 공동 승차권은 한국 구간도 있아야 발매가능)왕복으로 사면 23만원 정도로 산요 패스 4일권보다 쌉니다.그러나 노조미를 못타고 중간 하차를 1번만 가능합니다.자기 여행의 스타일을 분석하고 거기에 맞는 승차권또는 패스를 사는 게 좋을것 같네요.

  • 12.10.03 23:31

    시각표보면서 이해가 안가는 내용이 있었는데 어느정도 이해가 가네요.
    혹시 교통신문사에서 나온 시각표인가요?

  • 12.10.20 02:59

    JR패스가 분명 '전국구'로 여행을 하는 철덕들에겐 상당히 유용한 물건이지만, 반대로 몇몇 지역만을 집중적으로 돌아볼 요량이라면 오히려 낭비가 될 수도 있지요.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지 각 지역별 패스나 할인상품, 사철회사의 일일패스 등이 상당히 다양하게 발매되고 있기 때문에, 이쪽을 활용해보는 것도 좋은 절약이 됩니다 :-)

  • 작성자 12.10.23 13:36

    뭐 21일치 끊으면 그런 구분은 사라질 것 같더라고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