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회칙의 제안의 핵심은 정의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온전한 생태론. 이 세상에서 인간으로서 우리의 고유한 자리와 우리와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존중하기 위해서(15항) 통합 생태론은 필요함. 자연은 우리 자신과 분리되거나 우리가 사는 단순한 배경으로 여겨질 수 없음(139항). 경제와 정치, 여러 문화, 특히 가장 위협을 받는 문화와 우리 삶의 모든 순간에도 마찬가지. 환경 문제와 인간 사회의 문제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음. 따라서 자연계와 사회 체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포괄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함. 환경과 사회와 관련된 두 가지 별개의 위기에 봉착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동시에 환경적인 하나의 복합적인 위기에 당면한 것(139항).
I. 환경, 경제. 사회의 생태론
▶ 모든 것은 관계를 맺고 있음. 시간과 공간, 지구의 모든 성분들은 우리가 결코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단편적이며 분리된 지식은 더 폭넓은 관점으로 통합되어야 함. 생태계들 사이의 관계와, 사회 상호 작용의 다양한 분야들 사이의 상호 관계(141항)를 고려해야 하고, 제도적 차원도 포함됨. 사회 제도의 건전함은 환경과 인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142항).
II. 문화 생태론
▶ 생태론은 인류의 문화적 보화를 보호하는 것도 포함됨(143항). 민족들의 권리와 문화가 그들 문화의 지역 사회 주체들의 적극적 참여와 토착 공동체에 대한 특별한 관심(146항)으로 통합되어야 함.
III. 일상생활의 생태론
▶ 도시 환경에의 특별한 주의. 인간은 적응이라는 훌륭한 능력을 갖고 있고, 환경의 제약에 반응하는 개인과 집단은 주변 환경의 적대적 영향을 완화하고 무질서와 불확실성 안에서도 생산적으로 살아가는 법을 배우며 놀라운 창의력과 관용을 보여 줌(148항).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적 공간, 주택, 교통을 포함한 인간 삶의 질의 온전한 개선은 여전히 더욱 진전될 필요가 있음(150-154항).
▶ 생태론의 인간적 차원은 도덕률과도 관계(155항)가 있음. 우리는 환경과 다른 생명체와의 직접적인 관계 안에서 우리 자신을 확립하기 때문. 우리의 몸이 하느님의 선물임을 인정하는 것이 세상을 하느님 아버지의 선물이며 더불어 사는 집으로 받아들이는 데 중요. 그러나 우리 자신의 몸을 마음대로 다룰 수 있다는 생각은 피조물을 마음대로 다룰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바뀌게 되기도 함(155항).
VI. 공동선의 원리
▶ 공동선을 위한 노력은 가장 가난한 이들을 위한 우선적 선택(158항)에 기초한 연대를 이루어 선택을 하는 것.
V. 세대 간의 정의
▶ 공동선은 또한 미래 세대와 연관되어 있는데 이 땅에서 삶이 짧아 기다릴 수 없는 오늘날의 가난한 이들을 잊은 채로 세대 간 연대와 분리된 지속가능한 발전을 더 이상 논할 수 없음(159항).
제5장 접근법과 행동 방식
이 장은 우리가 할 수 있고 해야 할 것에 관한 문제를 다룸. 국제 정책뿐만 아니라 우리 개인이 참여하는 대화와 행동을 위한(15항) 제안이 필요. 실천적인 제안이 이념적·피상적이거나 환원주의적인 방식으로 개발되어서는 안 됨. 이를 위해서는 대화가 필수적.
I. 환경에 관한 국제 정치적 대화
▶ 소수 국가들의 이익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세계적 관점에서의 해결책을 모색해야 하며 공동 계획을 가진 하나의 세상을 꿈꾸게 함(164항). 필요한 것은 세계 통치의 형태와 수단(175항). ‘인류 공공재’의 전체를 다룰 통치 제도에 대한 합의(174항)가 필요.
II. 새로운 국가적 지역적 정책을 위한 대화
▶ 지역 사람들과 단체들은 …… 더 큰 책임감, 더 강한 공동체 의식, 다른 이를 보호할 준비, 창의력, 우리 자신의 땅을 깊이 사랑하는 마음을 불어넣을 수 있음(179항). 정치와 경제는 이익만을 추구하고 눈앞의 선거 승리에만 초점을 맞춘 근시안적인 효율성의 논리를 버려야 함.
III. 정책 결정 과정의 대화와 투명성
▶ 환경과 사회의 관점에서 경제적 제안들을 분석 평가하여 사회적으로 가장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이들에게 손해를 입히지 않도록 하여야(182-188항). 정책과 사업 계획이 ‘참다운 온전한 발전’을 가져 올 수 있는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솔직하고 투명한 정책 결정 과정의 수립을 증진시켜야 함(185항). 특히, 새로운 계획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자유로운 의견 교환을 포함한 투명한 정치적 과정을 필요로 하는데 특혜의 대가로 특정 계획의 실제적인 환경 영향을 은폐하는 부패는 대부분 올바른 정보를 주지 못하고 충분한 논의를 허용하지 않는 허점투성이의 합의만을 낳을 뿐(182항).
01일(월)
64일째
02일(화)
65일째
03일(수)
66일째
04일(목)
67일째
05일(금)
68일째
06일(토)
69일째
07일(주일)
70일째
찬미받으소서
137~142항
찬미받으소서
143~146항
찬미받으소서 147~155항
찬미받으소서 156~162항
찬미받으소서 163~175항
찬미받으소서 176~181항
찬미받으소서 182~188항
[문제풀이] 찬미받으소서 137항~ 188항
1. 자연과 그 안에 존재하는 사회가 이루는 특별한 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139항). 답 :
2. 우리는 ( ) 위기와 ( ) 위기라는 별도의 두 위기가 아니라, ( ) 하나의 복합적인 위기에 당면한 것입니다(139항).
3. 우리는 TV와 SNS와 같은 매체를 통해서 우리가 인지도 못하는 사이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 다. 그래서 마치 예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던 것들이 갑자기 무슨 큰 문제가 되는 것인 양 느껴지기도 하지요. 이러한 세계화된 경제로 조장된 소비주의적 관점은 문화의 무엇을 추구 하고 모든 인류의 보화인 엄청난 문화적 다양성을 약화시킵니까? (144항) 답 :
가) 다양화 나) 보편화 다) 개별화 라) 획일화
4. 그들이 사는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대규모 사업이 진행될 때 특히 그들은 단지 여러 소수 집단 가운데 하나가 아니라 주요 이해 당사자가 되어야 합니다. 사실 그들에게 땅은 상품이 아니라 하느님과 그곳에 묻힌 조상들의 선물로, 그들의 정체성과 가치를 함양하고자 관계를 맺어야 하는 거룩한 자리입니다. 그들이 자기 땅에 머무를 때 그 땅을 가장 잘 돌봅니다. 그 러나 세계 여러 지역에서 자연과 문화의 훼손을 도외시한 채 자행되는 광업, 농업, 축산업 개발 계획에 밀려 그들은 자신의 땅을 버리고 떠나라는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그들은 누구 인가요? (146항) 답 :
가) 지역 유지들 나) 토착 공동체 다) 도시 생활자들 라) 중산층 생활자들
5. 때때로 가난한 이들이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이룩하는 인간 생태계는 칭찬받을 만합니다. 친밀하고 따뜻한 인간관계를 맺고 공동체를 이루며 공동체라는 그물 안에서 소속감을 느끼 는 모든 사람이 환경의 한계를 내면적으로 극복하면, 인구 밀도가 높은 주거 지역의 확대로 생기는 질식할 것 같은 느낌을 없앨 수 없습니다(148항). (O . X) 답 :
6. 이것이 하느님의 선물임을 인정하는 것이 이 세상을 하느님 아버지의 선물이며 우리의 공동 의 집으로 받아들이는 데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이것을 마음대로 다룰 수 있다는 생각 은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피조물을 마음대로 다룰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것 을 받아들이며 돌보고 그 의미를 존중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참다운 인간 생태론의 본질적 인 요소입니다. 이것은 무엇입니까? (155항) 답 :
가) 우리의 몸 나) 우리의 혼 다) 동물의 몸 라) 식물의 생혼
7. 공동선은 사회 평화, 곧 특정 질서의 안정과 확실성을 필요로 합니다. 이는 특히 이것을 존 중하지 않으면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이것이 침해당하면 언제나 폭력이 발생합니다. 이것은 무엇입니까? (157항) 답 : 가) 교환 정의 나) 경제 정의 다) 분배 정의 라) 사회 정의
8. 지상 재화의 보편적 목적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연대와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우선 적인 선택의 토대인 이 원리는 무엇입니까? (158항) 답 :
가) 공동선의 원리 나) 연대성의 원리 다) 참여의 원리 라) 인간 존엄성의 원리
9. 국제적 협약의 긍정적 사례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167~168항) 답 :
가) 유해 폐기물에 관한 바젤 협약 나) 멸종 위기에 놓인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 다) 오존층 보호를 위한 비엔나 협약 라) 지구 환경 정상 회담
10. 비정부 기구와 중간 집단들을 통해 ( )는 ( )에 압력을 가하여 더욱 엄격한 정책과 절차와 통제 방식을 만들어 내도록 해야 합니다. ( )이 국가와 지역과 지자체의 정치 적 권력을 ( )하지 않으면 ( )를 막을 수 없습니다(179항).
11. 우리나라 4개강 개발 사업의 환경 영향 평가는 사실상 4대강 개발 사업의 정책의 계획 수 립 이후에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교회는 환경 영향 평가가 생산 계획, 어떤 정책이나 계 획, 또는 프로그램의 수립 이후에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고 분명히 가르칩니다. 이 환경 영 향 평가는 반드시 무엇에 대한 분석과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까? 아닌 것을 골라 주세요. (183항) 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