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 좋은 사람들이 알아야 할 것.
일류 대학을 다닌다고? 외국 유명 대학에서 유학중 이라고? 최고의 학력과 학벌을 이미 갖추고 있다고?
축하한다. 고생 많았다. 학력과 학벌이 좋으면 일단은 “봉급생활자로서 달리기를 해 볼 수 있는 ” 출발선이 다른 사람들 보다 앞선 위치에 주어지게 된다. 당신은 당연히 학력과 학벌을 중시하는 집단으로 가야 한다. 배경도 있다면 공기업에 들어가면 더욱 좋다.
아시아 지역에서 학력과 학벌이 좋은 사람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는 엘리트 의식이다.
한국이건 일본이건 교육 방식은 암기식 위주이다. 암기식은 암기능력이 우수한 사람들만을 우수한 엘리트로 대접하고 창의력이나 응용력이 뛰어난 사람들을 열등감 속에 빠뜨리는 아주 잘못된 교육 제도이지만
그 제도에서 승리자가 된 사람들은 스스로를 대단한 엘리트로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국내 대기업들 중 상당수는 그들이 입사하면 엘리베이터 타는 법, 인사하는 법, 명함 주고받는 법 등과 같은 것을 반드시 가르친다).
예를 들어 한국의 고시 합격자들을 보자. 고시 지상제일주의로 인해서 그들 대부분은 스스로를 대한민국 최고의 엘리트로 자부하고 민간의 조언을 열등하게 본다. 오죽이나 하면 KDI 에서도 비슷한 말을 했었다. 왜 그럴까? 암기 능력의 탁월함을 판단 능력이나 리더쉽 혹은 수익창조 능력의 탁월함으로 오인하기 때문이다.
학력과 학벌이 좋으면 일단은 이 사회에서 기회를 얻을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개인의 능력이 문제가 된다.
김지룡의 <나는 일본 문화가 재미있다>라는 책에서 나오는 이야기이다. 망해버린 야마이치 증권사 직원이 다른 외국계 증권회사에 입사하려고 인사부장에게 전화를 하였다.
“야마이치 증권의 직원입니다. 귀사에 취직하고 싶습니다. ”“무슨 일을 하실 수 있습니까?”“도쿄대학 출신입니다. ”“학벌을 묻는 것이 아니라 그 동안 무슨 일을 해 왔으며 앞으로 어떤 일을 하실 수 있는지 묻는 겁니다. ”“도쿄대학 법학부를 나왔습니다.”“그런 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영어회화에 자신 있습니까?” “영어는 못하지만 도쿄대 법대를 나왔습니다.”
“파생 상품에 대해서 잘 아십니까?”“ 그런 것은 잘 모르지만 도쿄대 법대를 나왔습니다.”
“PC 는 다룰 수 있습니까?” “그런 것은 잘 모르지만 도쿄대 법대를 나왔습니다.” “도쿄대 얘기는 빼고 이야기 합시다.”그 남자는 말이 없다가 전화를 끊었다고 하며, 신문에 실린 실화라고 한다.
나도 비슷한 경험이 있다.
90년대 중반, 한국에서 어느 대학원 졸업자를 면접하였을 때 있었던 일이다. “컴퓨터는 어느 정도 하는가?” “잘하지 못합니다.”
“외국어는?” “전공 공부하느라고 열심히 하지는 못했습니다.”
“그런데도 지원하게 된 동기는?” “컴퓨터를 잘 활용하고 영어를 잘한다고 해서 엘리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것은 회사에서 직원으로 당장 써먹기는 좋을지 몰라도 궁극적으로는 다른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게 뭔데?” “저는 대학원을 다닌 것이지 학원을 다닌 것이 아닙니다.
정보화 시대에는 그런 기능적인 능력 보다는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인재가 필요합니다.
저는 그런 아이디어를 제기할 수 있는 소양을 닦았습니다. 저는 한명의 아이디어가 만 명을 먹여 살릴 수 있다고 믿습니다.”
“O.K. 알았네. 그렇다면 만 명을 먹여 살릴 수 있다고 믿는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를 전공과 관련된 것이건 아니건 간에 하나만 이야기 해보게나.”
“아직은 없습니다. 일을 시작한 것은 아니니까요.” “그렇다면 자네가 그런 아이디어를 낼 능력의 소지자라는 것을 입증하여 보게.”
“대학원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습니다.” “학점은 교수들에게 받았지?” “네.”
“자네 교수들이 만 명을 먹여 살리는 아이디어를 낸 적이 있다면 말하여 보게.”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내게 그 학점이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이지?”
“저는 정말 자신 있습니다. 그런 엘리트 사원이 될 것입니다.”
“글쎄 그걸 어떻게 믿을 수 있느냐고?” “믿어주십시오. 저는 일류대학과 일류대학원을 졸업하였지 않습니까.” “(속으로) 이런 닭대가리.”
좌우지간, 학력과 학벌이 좋은 사람들은, 일부는 독창적 아이디어를 사업화 시켜 부자가 될 수도 있지만 홀로 활동하는 전문직이 아닌 한 99%는 이른 바 “좋은 직장”을 원하기 때문에 대기업 같은 조직의 일원이 된다. 능력별 연봉제를 실시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비슷한 학력과 학벌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 비슷한 사람들의 집단 속에서 당신은 절대 유별난 존재가 아니기에 월급의 차이가 큰 것도 아니다.
특히 조직 내에서 일차적 기회는 학력과 학벌 게임에서 최고의 졸업장을 갖고 있는 자들이 거의 독식하거나 오우너의 친족들이 가져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위로 올라갈수록 자리는 한정되어 있고 경쟁은 치열하지만 능력이 있어도 배제 당할 수 있음을 반드시 기억하라.
대조직일 수록 내부에 은연 중 파워게임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에 상층부로 올라갈수록 능력만으로 모든 것이 술술 풀려나가지는 않으며 아부도 좀 하고 줄도 잘 서야 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결국 조직 내에서 계속 올라가지 못할 것 같다면 탈출하여 “길거리”로 나와야 하는데 체면이나 안정에 대한 욕구가 커서 여간해서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직장 내 파워 게임의 희생양이 되지 않으려면 필 포터가 쓴 <먹어라 그렇지 않으면 먹힌다>를 반드시 몰래 읽어라.)
특히 제 아무리 유명한 경영대학원 출신이라고 할지라도 경영 관리 기술을 이론적으로 배웠을 뿐이지 돈 냄새를 맡는 후각을 훈련 받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단 중간 관리자급 정도가 되어야 개인별 능력의 차이가 혁혁히 드러나게 된다.
실제로 나는 미국 유명 MBA 소지자들 중 미국인이건 아니건 연봉을 더 주어야 한다고 판단되는 사람도 보았지만 처음 입사 당시의 연봉을 반으로 깎아도 여전히 돈이 아까운 사람들도 보았었다.
대조직에서는 일이 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집단 속에 숨어있기가 쉽고 스스로 많이 배웠다고 생각하기에 능력 배양을 등한시 하는 경향도 많다. 가장 한심한 경우는 대조직에서 “얼마의 예산 혹은 매출을 주물렀다”는 것을 자신의 개인능력으로 생각하는 경우이다. 조직이 일을 하는 것이지 개인이 일을 하는 것은 아닌데도 말이다.
전문 직업인들을 제외하고 학력과 학벌이 좋은 사람들이 부자로 살고 싶다면 어떻게 하여야 할까? “연봉을 누가누가 더 받나” 게임에서는 학력과 학벌이 좋을수록 처음에는 일단은 유리하지만 불행하게도 “홀로 독립하여 누가 먼저 부자 되나” 게임에서는 그것들이 정말 별 의미를 주지 못한다. 부자가 되려면 미국인들이 “길거리 지식”(street knowledge)이라고 부르는 총체적 통찰력이 있어야 한다. 이것을 대조직에서 배우기는 대단히 어렵다. 언제나 일 전체 보다는 일부분만 배우게 되고 맡은 분야 이외에는 관심을 잘 두지 않기 때문이다.
부자가 되려면 실물 경제 속에서 돈 냄새를 잘 맡아야 하는데 학교 공부만 하였기에 실제 상황은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 컴퓨터를 이용하면 언제라도 확인할 수 있는 지식들을 얼마나 자기 머리 속에 이전 시켰는지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창의력과 응용력이 얼마나 개발되어 있고 부가가치 창출의 능력이 어느 정도나 있는지가 결정 요인이다.
이런 능력을 기르려면 학력이나 학벌에 대한 더 많은 대우를 찾아 다니는 것 보다는 일을 총괄적으로 좀 더 많이 배울 수 있는 직장을 찾아야 하는데 그렇게 하는 사람은 정말 드물다. 그러다 보니 결국은 평생을 직장인으로 살게 되는 빈도가 높고 소비 성향도 높다. 내 주변에 있는 수많은 학벌 좋은 사람들이 내게 하여 온 말:”직장 때려 치고 빨리 사업해야 할 텐데…” 그 말을 나는 1,2년 들었던 것이 아니라 수 십년을 똑같은 사람들에게서 계속 들어 왔다. sayno@korea.com , http://cafe.daum.net/saynolove 에 2004년 3월에 기고한 글
위 글을 다른 곳에 인용하는 경우 반드시 아래 내용까지 인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
알림:
1. 신문이나 잡지 같은 언론 매체와 위 사이트에 기고된 저의 글은 그 글이 실린 곳의 이름과 날짜, 저의 이메일 주소 sayno@korea.com 을 명시하는 한, 인터넷에서 누구나 무료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나, 회비를 받건 안받건 간에 회원들만 읽을 수 있는 게시판에 수록할 경우 예외 없이 모두 불허합니다. 날짜를 밝혀 달라고 하는 이유는 그 글이 발표된 시점에서 읽어야 하는 글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2. 저의 글을 판매 목적의 도서에 인용할 경우에는 저의 동의를 별도로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3. 위 사이트는 세이노의 가르침이라는 카페이지만 제가 운영하거나 개인적으로 관련된 곳은 아니며, 제가 글을 올린다고 해서 돈을 벌게 되는 사람이 생기는 곳도 아니고, 제가 말한 바 대로 살고자 하는 사람들이 모인 카페이기에 가끔씩 글을 올리고 있습니다. 위 사이트에서는 회원 가입을 하지 않아도 제 글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cafe.daum.net/saynolove/DxBE/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