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냐 KENYA | ||||||||||||
연도 |
1900 |
1970 |
1990중반 |
1995중반 |
2000중반 |
2025중반 | ||||||
이름 |
신도수 |
% |
신도수 |
% |
신도수 |
% |
신도수 |
% |
신도수 |
% |
신도수 |
% |
기독교 |
5,000 |
0.2 |
7,299,800 |
63.5 |
18,427,000 |
78.2 |
21,426,000 |
78.7 |
23,859,839 |
79.3 |
34,222,400 |
82.0 |
고백 |
|
|
|
|
|
|
|
|
|
|
|
|
고백기독교인 |
5,000 |
0.2 |
7,299,800 |
63.5 |
18,427,000 |
78.2 |
21,426 |
78.7 |
23,859,839 |
79.3 |
34,222,400 |
82.0 |
교단별 |
|
|
|
|
|
|
|
|
|
|
|
|
비등록기독교인 |
0 |
0.0 |
1,217,016 |
10.6 |
1,281,000 |
5.4 |
1,380,462 |
5.1 |
1,382,474 |
4.6 |
1,222,400 |
2.9 |
등록기독교인 |
5,000 |
0.2 |
602,784 |
5.2 |
17,146,000 |
72.8 |
20,045,538 |
73.7 |
22,477,365 |
74.7 |
33,000,000 |
79.0 |
로마카톨릭교인 |
2,700 |
0.1 |
1,935,811 |
16.8 |
5,250,000 |
22.3 |
6,146,496 |
22.6 |
7,000,000 |
23.3 |
10,700,000 |
25.6 |
독립교인 |
0 |
0.0 |
1,645,895 |
14.3 |
4,980,000 |
21.1 |
5,919,206 |
21.8 |
6,607,000 |
22.0 |
10,000,000 |
23.9 |
개신교인 |
300 |
0.0 |
1,666,228 |
14.5 |
4,575,000 |
19.4 |
5,542,816 |
20.4 |
6,375,000 |
21.2 |
10,250,000 |
24.5 |
성공회교인 |
2,000 |
0.1 |
582,600 |
5.1 |
2,300,000 |
9.8 |
2,700,000 |
9.9 |
3,000,000 |
10.0 |
4,500,000 |
10.8 |
정교인 |
0 |
0.0 |
248,000 |
2.2 |
560,000 |
2.4 |
655,000 |
2.4 |
740,000 |
2.5 |
1,300,000 |
3.1 |
유사기독교인 |
0 |
0.0 |
4,250 |
0.0 |
21,000 |
0.1 |
25,100 |
0.1 |
30,000 |
0.1 |
60,000 |
0.1 |
중복등록교인 |
0 |
0.0 |
0 |
0.0 |
-540,000 |
-2.3 |
-943,080 |
-3.5 |
-1,274,635 |
-4.2 |
-3,810,000 |
-9.1 |
초교회적 분류 |
|
|
|
|
|
|
|
|
|
|
|
|
복음주의자 |
2,300 |
0.1 |
1,700,000 |
14.8 |
4,945,000 |
21.0 |
5,978,541 |
22.0 |
6,750,000 |
22.4 |
10,500,000 |
25.1 |
오순절/은사주의자 |
0 |
0.0 |
1,025,000 |
8.9 |
6,263,000 |
26.6 |
7,406,102 |
27.2 |
8,350,000 |
27.8 |
12,526,800 |
30.0 |
대사명기독교인 |
4,600 |
0.2 |
1,149,800 |
10.0 |
2,826,000 |
12.0 |
3,300,000 |
12.1 |
3,693,709 |
12.3 |
5,845,000 |
14.0 |
토속신앙인 |
2,779,700 |
95.9 |
3,228,430 |
28.1 |
2,989,900 |
12.7 |
3,304,910 |
12.1 |
3,461,629 |
11.5 |
3,500,000 |
8.4 |
이슬람교인 |
100,000 |
3.4 |
735,800 |
6.4 |
1,680,000 |
7.1 |
1,965,000 |
7.2 |
2,187,002 |
7.3 |
3,100,000 |
7.4 |
바하이교인 |
0 |
0.0 |
124,000 |
1.1 |
240,000 |
1.0 |
278,000 |
1.0 |
308,292 |
1.0 |
550,000 |
1.3 |
힌두교인 |
10,000 |
0.3 |
63,000 |
0.5 |
120,000 |
0.5 |
135,000 |
0.5 |
145,988 |
0.5 |
200,000 |
0.5 |
자이나교인 |
3,000 |
0.1 |
31,000 |
0.3 |
48,000 |
0.2 |
51,000 |
0.2 |
55,317 |
0.2 |
70,000 |
0.2 |
무종교주의자 |
0 |
0.0 |
2,000 |
0.0 |
21,000 |
0.1 |
28,000 |
0.1 |
32,003 |
0.1 |
60,000 |
0.1 |
시크교도인 |
2,000 |
0.1 |
13,000 |
0.1 |
23,700 |
0.1 |
25,500 |
0.1 |
27,518 |
0.1 |
49,000 |
0.1 |
유대교인 |
100 |
0.0 |
700 |
0.0 |
1,600 |
0.0 |
1,700 |
0.0 |
1,786 |
0.0 |
2,500 |
0.0 |
조로아스터교인 |
200 |
0.0 |
270 |
0.0 |
600 |
0.0 |
650 |
0.0 |
728 |
0.0 |
1,500 |
0.0 |
불교인 |
0 |
0.0 |
0 |
0.0 |
200 |
0.0 |
240 |
0.0 |
271 |
0.0 |
600 |
0.0 |
국가인구 |
2,900,000 |
100.0 |
11,498,062 |
100.0 |
23,552,000 |
100.0 |
27,215,533 |
100.0 |
30,080,000 |
100.0 |
41,756,000 |
100.0 |
3. 미전도종족
가레인(96,000명) 고샤인(17,000명) 구자라트인(48,000명) 누비아인(10,000명) 디고인(360,000명) 바준 쉬라즈인(40,500명) 소말리인(400,000명) 스와힐리 샴바인(97,000명) 스와힐리 쉬라즈인(14,000명) 아랍계 스와힐리인(97,000명) 아주라인(32,000명) 오르마인(40,000명) 쿠트치 인도인(42,000명) 투르카나인(340,000명) 펀잡인(10,000명) 해안 아랍인(35,000명)
4. 선교적 필요 및 선교전략
1) 성숙되고 훈련된 지도자의 필요 - 신학교육 및 제자훈련
2) 통합선교를 통한 지역개발 - 의료, 주택, 지역개발 등의 NGO 사역
3) 교회통합운동 - 분파로 나눠진 소규모 교단의 자체적인 통합 운동
4) 차세대 젊은 지도자 개발 - 대학생 제자훈련
5) 케냐 교회의 자립 능력 배양 - 직업을 가지고 목회할 수 있는 가정교회 지도자 양성
케냐는 아프리카에서 경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국가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지만, 여전히 빈곤의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재 상당한 해외 원조에 의존하고 있으며, 해외 원조를 적극적으로 받아 들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선교의 한 방편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긴급 식량 구호, 의료선교, 주택 개선 사업, 우물 사업 등이 선교의 접촉점이 되어 교회개척에까지 연결되는 사례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사역은 본질적인 선교로 발전되기 어려운 경우들이 더 많습니다. 그러므로 선교사의 역할이라기보다는 현재도 진행되고 있는 수많은 NGO의 활동에 적합할 것입니다. 그러나 넒게 보면, 이 사역도 통합선교로서 선교의 중요한 부분임을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구교를 포함하여 기독교는 전 국민의 70%를 넘어서는 단계에서 더 이상 케냐는 선교사의 독립적인 교회 개척이나 교단을 세우고 확장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현재 650여개 이사의 독립교단들이 존재하고 있는데, 선교사의 역할 중에 하나는 교회들의 연합과 교단의 통합을 위한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수많은 교단은 부족 집단 사회의 산물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교회의 연합은 케냐교회와 교단 스스로 이뤄내야 할 과제이기도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성숙한 교회 지도자들의 양성이 필요합니다.
선교사의 역할은 제자훈련을 통해 교회 지도자들을 양성해 내고 현재 지도자들이 건강한 지도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입니다. 더불어 교회를 넘어 사회 속에서도 그리스도인들이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젊은 지식층 및 지도력을 개발하는 사역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케냐의 선교전략은 제자훈련과 제자훈련을 통해 훈련된 지도자들을 통한 교회개척 사역이라 판단됩니다.
또한 교회의 지도자들이 해외 자금에 대한 의존율이 높은 현실을 감안할 때, 네비우스의 원칙, 자급, 자치, 자전을 점진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방편 중에 하나가 선교비에 의지해서 살아가는 전임 사역자들이 자기 직업을 가지면서도 목회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것은 작은 공동체인 가정교회 사역을 접목시킴으로써 어느 정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1-3까지 사용된 자료는 출처가 분명하지 않으나 여호수아프로젝트 번역본 및 KWMA 자료(2005)를 인용한 것 같습니다.
** 생각보다 제 자료가 인터넷에 많이 떠돌아 다니고 있어 뒤늦게나마 자료출처에 대한 덧글을 남깁니다. 글 사용시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