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청구내역 |
진료내역 |
A사례 남/69세 |
0 상병명 : 상세불명의 만성굴염, 코의폴립, 알레르기성 비염
0 주요청구내역 자95-나 비용적출술(범발성) x 0.5 자117-1 전두동,사골동,상악동 근본수술 x 1 나550-가 해부병리조직검사 x 1 (생검또는절제조직) 나500(주1) 해부병리조직검사(탈회과정) x 1
|
2.3 CC : anosmia(10yrs 동안) DX : CMES( both, NP both 2.4 OP : ESS(both) 2.5 histopathologic exam (nasal cavity) : nasal mucosa, chronic inflammation, polyp 탈회과정 시행
※ gross result(보고 2/6일) : the specimen consists of several fragments of whitish gray soft tissue. measuring about 1cm in the largest one. entirely embedded in block A |
B사례 여/22세 |
0 상병명 : 비강 및 부비동의 양성신생물, 알레르기성비염
0 주요청구내역 자96-1-가-(2) 비강,부비동양성종양적출술 (비내접근) x 1 나550-가 해부병리조직검사 x 1 (생검또는절제조직) 나500(주1) 해부병리조직검사(탈회과정) x 1
|
2.6 DX : antrochoanal polyp(Lt) 2.7 OP : ESS(Lt) 2.8 histopathologic exam (nasal cavity) : nasal mucosa, left maxillary, chronic inflammation, organizing hematoma 탈회과정 시행
※ gross result(보고 2/10일) : the specimen consists of several irregularly shaped pale yellowish to dark grayish soft mass. measuring 3/6x2, 5x1cm in the largest one. multisected and representive sections are embedded in block A. |
C사례 남/52세 |
0 상병명 : 머리 및 얼굴뼈의 양성신생물, 비강폴립, 만성굴염, 알레르기성비염
0 주요청구내역 자39-가 상악골부분절제술 x 1 나550-가 해부병리조직검사 x 1 (생검또는절제조직) 나500(주1) 해부병리조직검사(탈회과정) x 1
|
2.16 DX : inverted papilloma 2.17 OP : Rt medial maxillectomy 2.18 histopathologic exam (nasal cavity) : sinonasal mucosa, right, medial maxillectomy, inverted papilloma, chronic inflammation 탈석회화 시행
※ gross result(보고 2/20일) : the specimen consists of six part 1-6 specimens labeled as maxillary, nasal cavity, ethmoid cavity, maxillary sinus mucosa, inferior turbinate, and anterior ethmoid consist of several irregular fragment of withish gray soft tissue. the largest one measuring 5x4x1.7cm. representative sections are embedded in block 1-6 A. respectively. |
■ 의사소견서
○ 내시경적 부비동염 절제술을 시행한 비점막 조직은 연부조직뿐만 아니라 비중격에 있는 뼈와 같이 절제하여 연부조직에 뼈가 포함된 상태로 검체가 오게 되고, 이런 경우 뼈에 붙어있는 연조직을 박리해서 조직표본을 만들게 됨.
뼈가 포함된 연부조직을 10%질산용액에 1-2시간 정도 담궈 탈회과정을 거치면 아주 좋은 조직표본을 만들 수 있으나 탈회과정을 거치지 않은 비점막으로 조직표본을 제작하면 뼈에 의한 박절기칼의 손상으로 연조직까지 질적으로 불량한 조직슬라이드가 만들어져 진단에 어려움이 초래됨.
따라서, 본병원의 병리과에서는 모든 비점막조직에 대해 탈회과정을 통상적으로 시행하고 있음.
○ 코의 용종이나 낭종을 제거하면서 코의 용종과 낭종 자체에 뼈가 포함될 수 있고, 코의 뼈가 일부 제거되기 때문에 decalcification을 시행하며, 코의 용종은 없으나 수술시 코뼈가 포함되어 있어 경우 decalcification을 시행함.
branchial cleft cyst, sinus fistula 등은 조직자체에 cartilage와 bone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decalcification을 시행하게 되며,
갑상선의 nodular goiter(nodular hyperplasia), hashimoto's thyroiditis, hurthle cell tumor의 경우에도 calcification이 심한 경우 decalcification을 시행하게 됨.
thyroglossal duct cyst는 hyoid bone을 통과해서 있기 때문에 hyoid bone을 함께 제거하기 때문에 decalcification을 시행
■ 관련 수가
구 분 |
분 류 |
상대가치점수 |
금액(원) |
나550 |
해부병리조직검사 [paraffin절편 : 1장기당] 주 : 1. 탈회과정을 별도로 시행한 경우에는 58.84점(3,260원)을 별도 산정한다. 2. 생략
가. 생검 또는 절제조직 주 : 천자, 절개, 침 또는 내시경하 생검 검체에 대하여도 소정점수를 산정한다. 나. 위, 신, 폐 등 큰장기 적출시 다. ┐ 라. ┘ 생략 |
317.11
532.85
|
17,570
29,520
|
■ 심의내용 [ 2004.3.17 진료심사평가위원회 ]
- 탈회과정(decalcification)은 골조직이나 칼슘이 침착된 조직 등의 조직학적 검사시 조직절편이 용이하도록 칼슘을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조직이 calcification되었거나, bone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등에 시행함이 바람직하므로 부비동수술과 같이 특정부위 수술의 조직에 탈회과정을 일률적으로 시행함은 타당하지 아니한 바, 검체의 상태에 따라 사례별로 심사토록 함.
- 따라서, 동건은 진료내역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결정함.
A,B사례 : ESS 수술시행한 건으로 polyp이나 inflammation 소견만 확인되어 탈회를 시행할 만한 사유가 확인되지 아니하므로 인정하지 아니함.
C사례 : medial maxillectomy시행으로 조직에 bone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인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