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도권 전철 7호선
1996년 10월 11일 개통한 지하철 7호선은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에서 노원 태릉입구 군자 고속터미널 구로구 온수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노선의 고유색은 갈록색이며,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운행하고 있다, 온수역에서 부천시 원미구를 거쳐 인천 지하쳘 부평구청역까지 총 10,2km 9개역의 연장 구간이 공사 중에 있다, 2011년 완공 예정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인천시와 부천시에서 강남로의 진입이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호) ☞ (숫자는 역 번호) (☯ 갈아타는 곳) (★ 부 역명)
(709) 장 암(長 岩)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160-8번지에 장암역은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유일한 단선식 전철역이다. 장암행 열차는 도봉산행의 2~3배 간격(15분)으로 운행된다. 본래 노선 계획에 없었던 역이었으나, 당시 의정부시에서 도봉차량사업소 건설 허가를 내 주는 대신 역사 신축을 요구하여 도봉차량사업소 내에 추가로 건설된 전철역이다. 예전에는 장암역 주변 역세권 내에 어떠한 시설도 설치되지 않았고 진입 통로 인근에 쓰레기 처리장이 있는 등 역을 이용하는 자체에 불편이 있었다. 현재는 주변 환경이 대거 정리되었다. 장암역을 이용하려면 육교를 거쳐야 하며, 폴사인과 엘리베이터도 육교 앞에 있다.
☞ 장암동 유래 원래 둔야면(芚夜面)의 장자리(長者里)와 조암리(鳥巖里) 일부, 그리고 동막리(東幕里)를 합쳐 장자리와 한자씩 따서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때 시둔면 장암리로 개칭되었다. 1964년 5월 8일「의정부시의명칭과구역에 관한조례」를 개정 공포(조례 제19호)하여 동년(同年) 6월 1일 동제(洞制)가 실시됨에 따라 장암동이 되었다. 장암동은 신곡동과 함께 행정동인 장곡동에 속해 있어 동주민센터를 30년간이나 갖지 못하다가 1994년 7월 1일에 인구 증가로 분동(分洞)되어 장암동주민센터를 갖게 되었다.
(710) 도봉산(道峰山) (☯ 수도권 전철 1호선) 도봉구 도봉2동 16번지에 위치한 동봉산역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위치한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인근에 도봉산이 있어 명명되었다. 7호선 차량 상당수가 이 역에서 시·종착하며, 인근에 도봉공영차고지가 있다.
☞ 도봉산(道峰山)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양주시 장흥면에 걸쳐있는 산이다. 북한산 국립공원의 한 부분이다. 백두대간의 분수령에서 서남쪽으로 뻗은 한북정맥의 연봉을 따라 운악산·불곡산을 거쳐 남서쪽으로 내려오다가 서울 동북쪽에서 우뚝 솟아 우이령을 경계로 북한산으로 이어진다. 최고봉인 자운봉(紫雲峰, 739.5m), 남쪽으로 만장봉(萬丈峰)·선인봉(仙人峰), 서쪽으로 오봉(五峰)·여성봉 이 있다.
(711) 수락산(水落山) 노원구 상계1동 1132-9번지에 위치한 수락산역은 서울 노원구소재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인근에 수락산이 있어 이러한 역명이 부여되었다. 그리고 이 역부터 건대입구역까지는 지하 구간이다
※ 수락산은 상계동의 북쪽으로 의정부시와 경기도 남양주시 경계에 있는 수락산은 도봉산과 마주하여 서울 북쪽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산은 사암으로 형성되어 이으며 해발 638m로 수목은 울창하지 않으나 산세가 웅장할 뿐 아니라 계곡이 깊고 수려하며 산 전체가 석벽과 암반으로 도처에 기암절벽을 이루고 있다,
(712) 마 들 노원구 상계동 647번지에 위치한 마들역은 예전 상계동에 역참기지가 있어 말들을 들에 놓아 키웠기 때문에 유래되었다고 하는 설과 상계동 일대가 삼밭이어서 순우리말인 마(麻)뜰 이라는 데에서 유래 했다는 설이 있다.
(713) 노 원(蘆 原) (☯ 수도권 전철 4호선) 노원구 상계동 2-1번지에 위치한 7호선 노원역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이다. 4호선의 역이 지상에 있게 되어, 7호선과의 환승 거리가 상당히 길어지게 되었다. 4호선의 경우 일부 편성이 인근 창동차량사업소에서 입·출고하여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 노원구의 지명유래 그전에 이곳은 갈대만 무성하고 인가가 없어서 행인들이 불편했으므로 나라에서 갈대밭에 원(院)을 세우고 그 뜻을 따서 갈대 노(蘆)자로 노원(蘆院)이라 하였다, 본래 양주군 노원면이였으나 해등면과 합하여 노해면이 되었고 1963년 1월 성북구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성북구에서 도봉구가 나누어질 때 도봉구에 속하였으며, 1988년 1월 도봉구에서 나누어, 노원구가 되었다,
(714) 중 계(中 溪) 노원구 중계3동 512번지에 위치한 중계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다, ☞ 중계동명 유래는 납대울마을, 은행마을, 광석동, 뒷골, 전주골 전주리, 무시울 마을이 합한 마을로서, 노원구를 비껴 흐르는 한천 곧 중량천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중계동이라 하였다,
(715) 하 계(下 溪) 노원구 하계1동 289번지에 위치한 하계역은 동명에서 명명 되었다, ☞ 하계동의 유래는 가재울, 상곡, 용동, 방아다리 응개마을, 골말이 합한 마을로서 중량천의 상류인 한내(漢川)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하계동이라 하였다,
(716) 공 릉(孔 陵) (★서울산업대입구) 노원구 공릉1동 395번지에 위치한 공릉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며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부역명은 서울산업대입구(서울産業大入口)
☞ 공릉동 유래 경기도 양주군 노원면에 속한 곳으로 공덕(孔德)굴이라 부르던 곳이다, 이곳에 조선 명종(明宗)과 왕비 인순왕후(仁順王后) 심씨(沈氏)의 강릉(康陵)과,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尹氏)의 능인 태릉(泰陵)이 있으므로 공덕굴의 공(孔)자에 릉(陵)자를 합해 공릉동이라 하였다, 그 외에도 범다미마을 무시울 비석골이이란 마을이 있었다,
(717) 태릉입구(泰陵入口) (☯ 수도권 전철 6호선) 노원구 공릉2동 680번지에 위치한 7호선 태릉입구역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역으로,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운행된다. 인근에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 윤씨의 태릉이 있어 명명되었다, 그 북쪽에는 조선 명종과 원순왕후의 능침인 강릉이 있어 이곳을 태강릉(泰康陵) 이라고도 한다, 1998년 6호선 환승통로 공사를 하던 중, 집중 호우로 인근 중랑천이 범람하면서 이 역이 직접적으로 침수피해를 입어 7호선 전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기도 하였다. 최근들어 혼잡시간대의 편의를 위해 태릉입구역 출발 열차도 몇 편 신설되었다.
(718) 먹 골(墨洞) 중랑구 묵동 175-4번지에 위치한 먹골역은 동명인 먹묵(墨)자를 우리말로 표현하여 명명한 것이다 묵동은 옛날 먹을 제조하던 곳이라는 설이 있고, 또는 인근에 붓골(하계동)과 벼루말(월계동)이 있으므로 문방사우(文房四友)의 하나인 먹을 동명으로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곳은 본래 먹굴로 부르던 곳이다, 배 맛이 꿀맛과 같아 먹굴 배, 안양에는 포도, 소사(현재 부천시)에는 복숭아로 유명한 것과 같이 먹굴의 배도 유명한 곳이다,
(719) 중 화(中 和) 중랑구 중화동 285번지에 위치한 중화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다, 중화동은 본래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의 하리인데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중리 또는 중량포(中梁浦)의 중자를 따서 중하리(中下里)라 하였다, 1963년 서울시에 편입될 때 화목(和睦)을 도모 한다는 뜻에서 하(下)을 화(和)로 바꾸어 중화동이라 하였다,
(720) 상 봉(上 鳳) (★ 시외버스터미널) 중랑구 상봉동 115번지에 위치한 상봉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다, 상봉동은 일제가 만들어 붙인 합성지명이다, 이곳은 그 이전까지 양주군 구리면의 일부로서 상리(上里) 중리 하리, 봉황동(鳳凰洞), 내천(內川)으로 이루어진 곳이다, 1914년 일제가 경기도의 행정구역을 모두 개편하고 이름을 바꿀 때 상리와 봉황동의 머리글자를 따서 상봉동으로 만들었다, 내천은 지금의 중량천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며 봉황동은 이곳의 봉우재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 인근의 상봉터미널이 있다 (☯ 2010, 12, 21일 경춘선 개통으로 경춘선, 중앙선 환승역이 되었다,)
(721) 면 목(面 牧) 중랑구 면목동 120번지에 위치한 면목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다, 면목동은 옛날 말을 먹여 기르던 성의 문이 있어서 구문계, 고문계 곰계 등으로 부르던 곳이다, 면목은 마목(馬牧), 문목(門牧) 등의 발음과 비슷하고, 목장을 앞에 두었다는 뜻의 면목(面牧)으로 풀이하고 있다,
(722) 사가정(四佳亭) 중랑구 면목3동 496번지에 위치한 사가정역은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이 역의 이름은 아차산 벌판에 거주했던 조선시대의 학자인 서거정(세종 2년 성종 19년)의 호를 따서 사거정길이라 한데서 비롯되었다, 사가정 기점을 마장로 천호대로와 교차하는 신답사거리 전농 장안 면목동을 동북으로 뻗어 용마산 길과 접하는 면목동 1083번지까지 이르는 폭 20m 길이다,
(723) 용마산(龍馬山) 중랑구 면목4동 76-1번지에 위치에 용마산역은 인근용마산(348m) 경기도 남양주군의 구리시와의 경계를 이루는 아차산의 최고봉이다, 북쪽의 북한산 서쪽의 덕양산 남쪽의 관악산과 함께 서울의 외사산(外四山)을 형성하고 있는 이 산은 예전에 용마가 나왔다하여 용마산이라 불리워졌다는 데서 유래
(724) 중 곡(中 谷) 광진구 중곡동 167번지에 위치한 중곡역은 본래 간뎃말이라 부르던 곳으로, 이곳이 능말과 면목동 사이에 있으므로 가운뎃말, 간뎃말이라 하던 것을 한자로 바꾸어 중곡동이라 하였다는데서 유래
(725) 군 자(君 子) (★ 능동) (☯ 수도권 전철 5호선) 광진구 능동 277번지에 위치한 7호선 군자역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있는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전철역이다. 서울 지하철 5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운행된다. 부역명은 능동(陵洞)으로, 경기도 시흥시의 안산선 4호선 정왕역에 존재했던 수인선의 군자역과 차별화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 역명유래 군자동의 유래는 옛날 어는 왕의 일행이 거동하다가 마침 이곳 남일 농장터에서 묵게 되었는데 그날 밤 동행하던 왕비가 옥동자를 낳았으므로 이곳을 군자동이라 하였다고 전하며 지금도 이곳을 명리궁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726) 어린이대공원 (★ 세종대) 광진구 모진동 3번지에 위치한 어린이대공원역은 원래 서울 칸트리구락부의 골프장 12만6천평을 인수하여 만들어진 어리이대공원에서 명명되었다, 공원 내에는 동식물 전시장과 을지문덕, 유관순, 방정환, 윤극영의 반달노래비 이원수 동요비, 윤석준의 새나라 어린이 노래비 등이 세워져 있다, ★ 인근 광진구 군자동 98번지에 1947년 5월 20일의 창립한 세종대학교가 있다,
이곳 광진구 능동 18번지에 위치한 어린이대공원 터는 예전에는 순종의 왕비 순명황후(純明皇后) 민씨(閔氏)의 능 유릉(裕陵)이 있어 능말 또는 능리라 불렀기 때문에 능동이라 하였다, 유릉은 1926년 4월 25일 순종이 승하해 6월 11일에 경기도 미금시 금곡동(金谷洞)홍릉 원쪽 산줄기에 있는 유릉에 순종 곁으로 이장되었다,
(727) 건대입구(建大入口) (☯ 수도권 전철 2호선) 광진구 화양동 6-3번지에 위치한 7호선 건대입구역은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인근에 1956년 10월 19일에 모진동에 캠퍼스를 신축한 건국대학교가 있어 역명이 붙여졌다. 2호선 개통 초기에는 '화양역'이었다. 7호선의 경우, 1996년 10월 11일부터 2000년 8월 1일까지는 이 역이 시종착역이었다. 또한 2000년 2월 29일 신풍역-온수역 구간의 개통 이후에도 장암역이나 도봉산역에서 출발한 열차는 이 역을 시종착역으로 썼다. 현재는 일부 열차가 이 역을 종점으로 회차하기도 한다. 이 역의 플랫폼은 어린이대공원역과 같이 적외선 검지 방식 설비가 되어 있다.
(728) 뚝섬유원지(뚝섬遊園地) 광진구 노유2동 73번지에 위치한 뚝섬유원지역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이 역은 뚝섬유원지 옆에 위치해 있으며, 청담역 방향으로 청담대교가 있다. 개통되기 이전에는 자양역이라고도 불렸고 지상 역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여름 장마철 홍수때에는 1, 4번 출구만 개방한다. ※역명은 옛날 살곶이들이라고 하였으나 80년대 한강종합개발에 의해 조성되었으며 연면적 547,000㎡ (16만6천여평) 연인원 200만명의 시민이 이용하고 있는 뚝섬유원지자 있어 명명되었다,
(729) 청 담(淸 潭) 강남구 학동로 508 (청담동 77-76번지)에 위치한 청담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다, ※청담동은 현재 청담동 105번지 일대에 옛날 맑은 못이 있었으며, 또 한강변의 물이 맑아 이 부락을 청숫골이라 한데서 유래, [남한지]에서 기술하기를 이 지역은 앵두의 최적합산지로라고 하여 조선시대에는 한강변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첨담동은 1963년 서울시로 편입되었다,
(730) 강남구청(江南區廳) (☯ 분당선) 강남구 학동로 346 (삼성동111-44번지)에 위치한 강남구청역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으로 인근에 강남 구청이 있어 붙여진 역명이다. 분당선이 수도권 전철 중앙선 왕십리역까지 연장개통되면 이 역에서 분당선과 환승이 가능하게 된다.
(731) 학 동(鶴 洞) 강남구 학동로 180 (노현동 279-101번지)에 위치한 학동역은 옛 지명에서 명명 되었다, 1970년 사평동 주민쎈터가 신사동 주민쎈터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73년 영동출장소 관할이 되었다가 1975년 10월 강남구가 신설되면서 강남구 관할이 되었다, 1977년 신사동에서 노현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80년 논현동에서 학동(鶴洞)이 분동되었고 1982년 4월 10일 강남지역 일대의 구획정리 사업이 완료되면서 학동 지번 전체가 노현동으로 편입되었으며 1985년 법정동으로서의 학동은 완전히 폐지되어 옛 지명으로 남아있다,
(732) 논 현(論 峴) 강남구 학동로 102 (노현1동 279-67번지)에 위치한 논현역은 동명에서 명명 되었으며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전철역이다.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과는 다른 곳에 위치하는 별개의 역이다. 차후에 신분당선과 환승이 예정되어 있다.
☞ 논현동의 유래는 논 고개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고개는 지금의 노현성당 근처이며 특히 강남우체국 위에서 반포아파트까지의 산골짜기 좌우벌판이 논밭으로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논 고개라 부르게 되었다, 노현동의 연혁은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논현동이었고 1970년 사평동사무소가 신사동사무소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73년 영동출장소 관할이 되었다가 1975년 10월 강남구가 신설되면서 강남구 관할이 되었다,
(733) 반 포(盤 浦) 서초구 잠원동 103번지에 위치한 반포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역내에 서울지하철경찰대의 출장소가 있으며,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사평역과 약 400m쯤 가깝게 마주하고 있다. 그러나 이름과는 달리 반포동과 잠원동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역사의 공식 소재지 역시 반포동이 아닌 잠원동이다. 개통당시까지는 주변에 대한주택공사의 주공 반포 3단지 아파트가 있었으나 현재는 반포 GS자이 아파트로 재건축되어 있으며 강남고속터미널 경부선과 인접해있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의 구반포역과 신반포역과도 멀리 떨어져 있다.
※ 역명 반호란 반포동 마을로 흐르는 개울물이 서리서리 굽이쳐 흐른다고 하여 서릿개, 곧 반포(蟠浦)라 했는데 이것이 변하여 반포(盤浦)가 되었으며 반포의 원 마을을 반포본동이라 한다, 조선말 까지 경기도 과천군 상북면 상반포리 하반포리 지역이었다가 일제 때인 1914년 3월 1일 경기도 구역 확장에 따라 시흥군 산도면 반포리로 부르게 되었다,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2호로 서울특별시에 편입되면서 반포동이 되어 오늘에 이른다,
(734) 고속터미널(高速터미널)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9호선) 서초구 반포동 19-3번지에 위치한 7호선 고속터미널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전철역이다. 이 역은 3호선과 7호선 그리고 9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인근에 1976년 9월 1일에 개업한 서울의 관문인 서울고속버스터미날(경부선 터미널), 센트럴시티(호남선 터미널) 가 있어 명명된 것이다, .
(735) 내 방(內 方) 서초구 방배동 874번지에 위치한 내방역은 현재 운행 중인 지하철 2호선 방배역과의 혼돈을 피하기 위하여 방배동 안쪽에 자리한다고 하여 내방역이라 제정 되었다, 방배동은 우면산(牛眠山)을 등지고 있는 고을 이라는 설과 이 동자체가 한강을 등진 모서리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또한 세종의 큰 형인 양녕대군이 세자자리를 세종에게 넘겨주고 전국을 돌아다닐 때 자신의 왕위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한강을 등지고 남으로 내려갔다 하여 방배동이란 설도 있다, 조선말까지 경기도 과천군 상북면 방배리였던 이 동리는 1963년 1월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다,
(736) 이 수(梨 水) (☯ 총신대입구(이수) 동작구 사당로 310 (사당동 144-4번지)에 위치한 이수역은 위치한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관리하는 역이다. 서울 지하철 4호선의 병기역명은 이수로 환승역인 만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명과 혼동을 막기 위해서 병기되었다. 지하철 건설 당시, 초기 역명은 '이수'으로 정했으나 인근에 위치한 총신대학교가 건설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댓가로 역명을 '총신대입구 (이수)'로 바꾸었다. 그러나 7호선이 개통되면서 사당동 남성역이 캠퍼스에서 훨씬 가까워졌고, 이에 따라 남성역과 이수역의 역명이 몇 차례 변경되는 혼란을 겪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교통표지판을 포함해 이수역으로 많이 부른다.
이 역은 환승역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노선별로 수도권 전철 사상 유례없이 역명이 다른데, 1985년에 개통한 4호선의 역명은 ‘총신대입구(이수)’이고 1996년에 개통한 7호선의 역명은 ‘이수’이다. 2000년 4호선 쪽의 역명도 ‘이수’로 바뀌었으나 총신대학교의 시위를 벌였고, 결국 1년 후 총신대학교의 요청대로 다시 ‘총신대입구(이수)’로 환원되었다. 7호선 쪽의 역명은 개통 초기부터 ‘이수’였다. 현재도 총신대역 논란은 계속 되고 있는 가운데 '이수'로 재조정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 역명은 이 일대를 배나무굴이라 부르던 마을이다, 해방 전까지 이곳에는 아름드리 배나무가 있었기 때문이며 그 앞 한강변 일대의 마을은 갯말 또는 포촌(浦村)이라 불렀다, 1925년 일제가 이곳에 다리를 놓았는데 갯말 앞에 있는 다리로서 여기에 배나무골이 있고 또 그 앞에는 한강물이 흐른다고 하여 배물다리로 불리워진것을 한자로 이수교(梨水橋)라 한데서 유래
(737) 남 성(南 城) 동작구 사당로 218 (사당동 25-33번지)에 위치한 남성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2000년 8월 1일까지 총신대입구라는 부역명이 있었으나, 2001년에 총신대학교의 요청으로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이수역이 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환원하면서 이 역의 부역명은 삭제되었다. 그러나 이수역에 비해 총신대학교에서 더 가까운 역임에는 변함이 없다. ※역명은 효성이 지극한 정조 대왕이 수원에 있는 사도세자 능행시 행차길인 현재의 사당동 일대가 예전에 여시고개 (4호선 남태령역 참조) 살피제 등으로 불리었으나 임금의 행차길이 이물스러운 지명이라 하여 여시고개를 남쪽의 큰 재라하여 남태령으로 고쳐 부를 때 태령을 재 성(城)자를 따서 남성동이란 옛 지명에서 유래
(738) 숭실대입구(崇實大入口) (★ 살피재) 동자구 관악로 248 (상도동 515번지)에 위치한 숭실대입구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건대입구 - 신풍 구간 연장 개통으로 개업되었다. 부역명은 살피재로, 인근 관악구와 경계를 두고 있는 고개 이름으로, '산적을 피해 잘 살펴서 가야 하는 험한 고개'라는 뜻이다. 실제로도 주변 지형에 따라 승강장이 지하 6층으로 깊은 편이다. 인근에 위치한 숭실대학교가 역명 유치를 위하여, 이 역의 출구 쪽으로 정문을 옮겼다. ※역명은 1897- 1910년 10월 평양부 신양리로 이전 교명을 숭실학당으로 시작 1957년 6월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511변지로 신축한 숭실대학교에서 유래되었다,
(739) 상 도(上 道) 동작구 관악로 142 (상도1동 702-1번지)에 위치한 상도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며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전철역이다. 중앙대학교가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개통 초기에는 중앙대앞이라는 부역명이 붙었으나, 중앙대학교 정문에 인접한 서울 지하철 9호선 흑석역의 개통으로 삭제되었다. 2010년 현재 이 역부터 대림역까지 연속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상도동 유래 본래 시흥군 동면 상도리였으며 능꿀, 미륵당, 살피재, 주막거리, 성대굴, 소쇠울 등의 마을을 합하였다, 상도(上道)는 윗길을 뜻하는 것인지 또는 성대굴이 변한 것인지 그 내력이 확실하지 않으나, 이곳에 집단을 이룬 상여꾼이 거주하여 상투굴이라 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740) 장승배기 동작구 상도동길 83 (상도동 26-20 번지)에 위치한 장승배기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개통 초기 이 역의 명칭이 장승백이역으로 잘못 표기되는 사례가 빈번하였는데, 이것은 한자의 한글식 표기에서 발생한 오류의 표기이다. ※역명은 상도2동 179번지에 옛 장승배기터의 표석이 서있어 명명되었다, 장승은 경기도의 표시이기도 했지만 리(里)수를 적어 10리나 15리마다 세워둠으로써 이정표 역할을 하는 기능도 수행했고 특히 악귀를 막는 수호신이기도 했다, 흔히 장승이 서있는 곳을 장승배기라 하는데 유래는 조선중기 정조가 뒤주 속에 같혀 비통하게 죽은 아버지 사도세자를 한시도 잊지 못하고 수원의 묘소를 참배 다나는 것을 잊지 않았는데 당시 나무숲이 우거진 이 고에서 쉬기란 적적하기 그지없어 장승을 만들어 세웠다고 한다,
(741) 신대방삼거리 동작구 상도동길 195 (대방동 406-10번지)에 위치한 신대방삼거리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전철역이다. ※역명은 기존 경부선 대방역과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신대방역의 중복을 피하여, 널리 알려진 대방동, 상도동의 삼거리에 지명에서 신대방삼거리로 정해졌다. 신대방동은 1946년 10월 1일 대방동으로 바꾸면서 대방동에서 신대방동이 새로 생긴 마을이다,
(742) 보라매 영등포구 상도동길 269 (신길동 508번지)에 위치한 보라매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역명은 역 근처에 있는 보라매공원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으나 보라매공원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에서 더 가까우며, 첫차는 이 역을 기점으로 한다.
※보라매란 순 우리말로 생후 일 년 이내의 사냥을 위해 길들여진 매를 말하는데 공군사관학교의 상징 새가 보라매이며 공군사관학교가 자리 잡고 있던 곳인데 청주로 이전하고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활용되면서 보래매 공원이라 하였다,
(743) 신 풍(新 豊) 영등포구 상도동길 372 (신길동 3599번지)에 위치한 신풍역은 샛강을 경계로 여의도와 마주보고 있는 신길동은 조선시대에 영등포 나룻터가 있던 곳으로 신풍은 수원가도 이서(以西)의 지역을 관할하는 옛 동명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744) 대 림(大 林) (★ 구로구청) 영등포구 대림동 1050-17번지에 위치한 대림역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와 영등포구의 경계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부역명은 구로구청으로, 인근에 서울메트로 대림별관과 구로구청이 있다. ※역명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다, 대림동은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시흥군 상북중에 속해 있다가 1949년 8월에 서울시에 편입될 당시 번대방리(番大方里)와 시흥군 동면 도림리(道林里)를 합하고, 두 마을의 글자를 한 자씩 따서 대림동(大林洞)이라 했다,
(745) 남구로(南九老) 구로구 구로동 800번지에 위치한 남구로역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이다. 기존 경인선·경부선 구로역과의 혼동을 피하면서 구로의 남(南)쪽에 있다 하여 역명이 정해졌다.
(746) 가산디지털단지(加山티지털단지) (☯ 수도권 전철 1호선) 금천구 가산동 464-2번지에 위치한 가산디지털단지역은 서울특별시 금천구의 경부선 상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이다. 본래의 역명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리봉동에 위치하고 있어서 가리봉(加里峰)이었으나, 1995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인하여 동명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으로 변경됨에 따라 2005년 7월 1일에 역명을 변경하였다.
7호선 역 승강장의 경우, 암반을 뚫어 건설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벽과 승강장이 인공 암석으로 되어있었다. 하지만 지하 동굴형 인테리어가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화재에 취약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면서 2009년 9월 승강장 벽면 교체 작업에 착수, 2010년 1월 공사를 완료하였다
(747) 철 산(鐵 山) 광명시 철산동 526번지에 위치한 철산역은 동명에서 명명된 것이다, ※철산이란 뒷산이 쇠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우두리(牛頭里) 쇠머리 쇠멀리로 되어 쇠=철산이 되어 철산동이 된 것이다, 1914년 시흥군 안산군과 과천군이 흡수 통합되자 시흥군 서면 철산리로 개칭되었다, 1981년 7월 1일 광명시 철산동이 되었다,
(748) 광명사거리(光明사거리) 광명시 광명동 158번지에 위치한 광명사거리역은 2000년 2월 29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온수 - 신풍 구간 연장 개통에 따라 광명역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2004년 4월 12일 KTX의 개통을 전후하여, 고속철도 광명역과 역명 중복으로 인한 혼선 방지를 위해 변경되었다. 그러나 실제 광명시의 중심 시가지는 광명사거리역 부근이며, 고속철도 광명역은 역명의 대표성에 비해 광명시의 외곽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오히려 안양시와 더 가까워서 관악역으로 가는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749) 천 왕(天 旺) 구로구 오류동 174번지에 위치한 천왕역은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전철역이다. 역명과는 달리 천왕동이 아닌 오류동에 있다. ※역명은 천왕동 인근 주산이 굴봉(窟峰)이고 굴봉산(窟峰山)골짜기에 천왕사라는 절이 있었기 때문에 절 아래 마을이라는 뜻에서 청왕골로 불려진 동명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천왕역 주변에 경인선의 지선인 경기화학선 선로가 보이며, 7호선의 남부 차량기지인 천왕차량사업소가 위치하고 있다.
(750) 온 수( 溫 水) (★ 성공회대입구) (☯ 수도권 전철 1호선) 구로구 온수동 53번지에 위치한 7호선 온수역은 동명에서 명명되었으며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경인선에 위치한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이다. 현재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시·종착역으로, 온수역 이후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지구 일대를 거쳐 인천 메트로 1호선의 부평구청역에 이르는 연장 노선 공사가 진행 중이다.
온수역에서 직진하는 1호선과 달리 부천시 북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3기 지하철로 구성되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연장 노선이 2011년 3월에 개통되면 중간 정차역이 된다. 그러나 연장 구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천시의 재정 악화로 인해 부천시 구간의 공사가 지연되고 있다.
☞ 온수동 유래 조선영조 대에 부평도호부 온수리, 1895년 5월 26일에 인천부 부평군 수탄면 온수리, 1914년 3월 1일 경기도 부평군 계남면 온수리, 1931년 4월 1일 경기도 부천군 소사면 온수리가 되었으며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오류출장소 온수동으로 변천 되어왔다, 오류출장소가 폐지됨에 따라 영등포구 직할 동으로, 1980년 4월 1일 구로구가 영등포구에서 분할 신설됨에 따라 자연히 구로구 관할이 되었다, 온수동명 유래는 온수골에서 유래하였는데 옛날 이 지역일대에서 더운물이 나왔기 때문에 온수골이라 하였다,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약 300년 전에 물이 나왔다고 하나 이는 막연한 전설인 것 같다,
※ 7호선 연장노선은
온수정거장에서 시작하여 부천시 계남도로와 인천시 길주로를 따라 인천1호선(부평구청역)까지 총 10.2km로 중동신도시(상동 포함), 삼산택지개발지구, 여월지구 등을 지나게 된다. 정거장까지 연결되며 정거장은 9개소를 설치할 예정이다, 역명은 상항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751) (까치울) 1,8 48.7km (경기도 부천시 까치울 네거리 일원 예정)
(752) (당아래) 1,1 49.8km (종합운동장 네거리 예정)
(753) (춘의사거리) (春衣사거리) 0.8 50.6km (춘의 네거리 일원 예정)
(754) (중부경찰서) (中部警察署) 0.9 51.5km (중부결찰서 네거리일원 예정)
▶ 중부경찰서역 - 계남고가 사거리에 신설되는 역사다. 수혜가 예상되는 곳은 꿈마을과 중흥마을이다. 현재 공사가 진행중인 위브더스테이트도 도보로 이용해 역을 이용할 수 있다.
(755) (부천시청) (富川市廳) 0.9 52.4km (부천시청 앞 예정)
▶ 부천시청역 - 월마트(부천중동점)를 중심으로 역사가 조성되며 출구는 현대백화점과 부천시청 방면이다. 역세권 수혜가 예상되는 곳은 은하마을이다. 역사와 가장 인접한 단지로 효성쌍용과 대우동부아파트를 들 수 있다.
(756) (상동) (上洞) 0.8 53.2km (무지개고가 네거리 일원 예정)
▶ 무지개사거리를 중심으로 역사가 생긴다. 역 신설로 수혜가 예상되는 곳은 라일락, 진달래마을 등이며 이밖에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단지들도 많다. 역사와 가장 가까운 대표 단지로 서해쌍뜨르1차, 창보밀레시티를 꼽을 수 있다.
(757) (삼산) 0.9 54.1km 인천광역시 부평구 (상동택지지구 일원 예정)
▶ 삼산역 - 역사는 영상문화단지와 호수공원 사이에 생긴다. 역사가 신설되면 그동안 마을버스를 통해 이용했던 경인선 부개역을 더 이상 이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만큼 도보로 역사를 이용할 수 있는 단지들이 최대 수혜아파트다.
(758) (신복) 0.8 54.9km (신복 네거리 일원 예정)
▶ 신복 사거리역 - 장제로와 길주로가 교차하는 신복 사거리에 역사가 신설될 예정이다. 부개동 대동, 동아, 뉴서울 아파트와 삼산동 삼산타운7단지는 역을 바로 이용 할 수 있어 지하철 개통 후 역세권 단지로 편입이 가능하다.
(759) 부평구청(富平區廳) (● 인천 메트로 1호선) 0.8 55.7km (인천 1호선 부평정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