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제(墓祭) |
|
|
|
|
|
|
|
|
|
묘제는 매년 봄과
가을(삼진,청명,한식,단오,중양=重陽)에 묘소 |
|
|
에서 자손들이 모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
|
|
|
|
|
이 묘제(墓祭)를
시제(時祭),시사(時祀),시향(時享),묘사(墓祀) |
|
|
라고도 말하며 제주(祭主)는
주손(胄孫=代를 잇는 직계장손)이 |
|
|
된다. |
|
|
|
|
|
|
|
|
|
|
묘제의 진행절차 |
|
|
|
|
|
|
1. 점시진설(點視陳設) |
|
|
|
|
|
|
|
초헌자가
진설한 제수를 보고 잘못된 것이 있으면 시정한다. |
|
|
2. 참신(參神) |
|
|
|
|
|
|
|
|
|
참사자(參祀者)
전원이 합동 제배 한다. |
|
|
|
|
|
3. 강신(降神) |
|
|
|
|
|
|
|
|
|
초헌자가
석상앞에 꿇어 앉아 삼상향(三上香)하고 술을 따라 |
|
|
석상앞에 세 번에 나누어
붓고 제배한다. |
|
|
|
|
|
4. 초헌(初獻) |
|
|
|
|
|
|
|
|
|
첫
술잔을 올리는 절차로서 초헌자가 첫술잔을 올리고 |
|
|
|
--양쪽
집사가 밥뚜껑을 열고 삽시정저--축관이 독축--초헌자제배. |
|
|
|
|
|
|
|
|
|
|
|
|
5. 아헌(亞獻) |
|
|
|
|
|
|
|
|
|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
|
|
|
|
|
|
아헌자는
항고연장자(行高年長者)가 천거된다.(아헌자=제배) |
|
|
6. 종헌(終獻) |
|
|
|
|
|
|
|
|
|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
|
|
|
|
|
|
종헌은 제유사(祭有司)가
행함을 원칙으로 한다.(종헌자 제배) |
|
|
7. 진다(進茶) |
|
|
|
|
|
|
|
|
|
종헌이
끝나고--양쪽집사--국그릇을 물려 판위에 놓고--숙냉 |
|
|
을 올리고--밥을 세 번
떠서 숙냉에 말고--숟가락을 숙냉그릇 |
|
|
위에 손잡이가 서쪽으로
향하게 걸쳐 놓는다. |
|
|
|
|
8. 숙사소경(肅俟小頃)=
진다후 잠시 머무르는 것. |
|
|
|
|
잠시
머문후--"하시(下匙)하시오"하면--양 집사--수저,저분 |
|
|
을 거두어 시저접(匙箸 )에
놓고--밥 뚜껑을 덮는다. |
|
|
|
9. 사신(辭神) |
|
|
|
|
|
|
|
|
|
참사자
전원이 합동 제배 한다. |
|
|
|
|
|
|
10.분축(焚祝)= 축문을
불사르는 것. |
|
|
|
|
|
|
사신
제배 후 초헌자가 석상 앞에 나아가--고위작(考位爵)을 |
|
|
퇴작하여
마시고--비위작( 位爵)은 퇴주하고--축관이 초헌자 |
|
|
의 좌측에 앉아-- 축문을
불사른다. |
|
|
|
|
|
|
11.철찬(撤饌) |
|
|
|
|
|
|
|
|
|
양
집사가 밥(메)과 숙냉그릇을 먼저 물리고 난 뒤에 안으로 |
|
|
부터 차례로 철찬 한다. |
|
|
|
|
|
|
|
*묘제의 절차는 모두 기제 때의 절차와 같으나, 다만
신주나 |
|
|
지방을 쓰지 않고, 참신을 강신 앞에 행하며, 삽시정저를 |
|
|
|
초헌에 한다는 점이 다르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