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DECK와 AL-FORM 비교
|
구 분 |
SKYDECK |
AL-FORM |
구성품 |
PANEL + Mainbeam + Multiprop(동바리) + Drophead |
PANEL + Beam + AL동바리 + Deck prophead+ Jack Base + |
Pin + Wedge |
조 립 |
부속자재 없이 조립 가능하며, 동바리의 눈금으로 레벨조정이 |
부속자재로 주자재를 연결하고 동바리 하부의 Jack Base로 |
용이함. |
레벨 조정. |
- 초기 Setting이 간단하다 : Panel의 정형화 |
- 초기 Setting이 복잡하다 : 이형Panel이 많음. |
해 체 |
Drophead를 망치로 쳐서 내리고 인력으로 쉽게 탈형 |
Deck prophed와 Beam의 연결재인 Pin과 Wedge를 제거후 |
탈형 함. |
- 잡자재 제거 및 정리가 없으므로 간단 |
- 잡자재 제거 및 정리에 시간 소요 |
Slab+수직 부분 |
별첨 도면 참조 |
벽체 거푸집 위에 Slab설치용 Soffit Form을 설치하고 Wall Form |
과Slab Form을 Pin과 Wedge를 사용하여 연결함. |
- 간단히 수평목 위에 못으로 해결 |
- 잡자재 설치,제거,정리의 시간이 소용 되며 |
|
Soffit corner form제거시 탈형의 어려움이 있음. |
동바리 설치 |
3.45 M2당 동바리 1개 |
동바리 간격 1.2M |
- 동바리를 연결하거나 자체의 길이 조정으로 층고 |
- 층고변화 대처에 한계가 있음.(Jack base길이 만큼) |
변화에 다양하게 대처 가능함. |
|
- 동바리 자체 눈금으로 레벨조정 용이(PEP은 없음) |
- 레벨 조정을 위한 눈금 없음 |
- Pre Shoring가능 |
- Pre Shoring가능 |
계절 적용성 |
Panel면이 합판이므로 동절기/하절기 변형이 없으며,
열전도율이 |
높은 열전도율로 하절기 공사시 표면의 온도가 높아 작업자의 |
낮아 하절기 표면이 뜨겁지 않음. |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AL표면에 CON'C가 표면만 조기경화되는 |
|
현상이 발생함. |
Filler 처리 |
벽체 및 기둥부분에 일정하게 합판으로 처리 |
설계에 의하여 AL-FORM으로 제작 |
- Filler처리에 필요한 자재는 페리시스템 제공 |
- 온도에 의한 변형시 조립이 어려움. |
시공오차 적용성 |
합판으로 처리되어 시공오차 발생시 대처가 가능 |
AL-FORM으로 시공오차 발생시 대처가 어려움. |
생산성 |
조립/해체 : 60M2/인 ( 현산 I-PARK) |
조립 : 35M2/인 |
해체시 조공으로 간단히 해결
|
해체시 기공 필요, 정리 할 것이 많음.
|
구 분 |
SKYDECK |
AL-FORM
|
경제성 |
AL-FORM에 비하여 고가임.(단순 자재비 비교) |
SKYDECK에 비하여 저가임.(단순 자재비 비교) |
AL-FORM은 BUY BACK개념(㎡당 판매금액 책정 후 회수), SKYDECK은
임대 손료 개념으로 전용율이 높을수록 ㎡당 단가는 하향됨. |
전용성 |
높음 |
높음 |
페기물 |
없음 |
없음 |
기 타 |
|
|
|
- 해체시 소음이 심함:방법론이지만 대체적으로 유로폼식으로 함. |
|
- PIN이나 WEDGE 제거시 제거가 잘 안되어 곤란한 경우가 많이 |
- 조립/해체시 소음이 없음 |
발생하여 시간소요가 많이 됨 |
|
- 받아치기 하는것은 가볍기는 하나 인력이나 시간상 눈에띄게 |
|
절감되지는 않음. : 합판거푸집이나 유로폼에 비하여 효과는 좋음 |
|
- 탈형시 소음으로 인하여 도심지 민원 발생의 경우도 있다고 함. |
|
( 상기 내용은 전문건설업체 소장의 의견임) |
|
|
|
■ 현재 PERI SKYDECK와 비교 될 수 있는 국내의 자재로는 알루미늄폼과의 비교가 일반적입니다. |
일반 합판과는 SHORING시스템 및 자재의 구성이 현격히 틀리기 때문에 비교의 상대가 되지 않습니다. |
■ 상기의 수치는 PERI에서 최초로 시공한 삼성동 아이파크의 예로서 최소치의 경우를 적은 것으로 현재 조사한 바로는 효과가 더욱 증대되었습니다. |
■ PERI SKYDECK은 적은 면적을 시공하는 것보다 한번에 넓은 면적을 시공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며, 그 이유는 투입되는 인력은 면적이 넓으나 적으나 |
비슷한 인력이 투입되고 인력이 많다고해서 더 빨리 시공이 된다고 볼수는 없습니다. |
단순 반복작업이므로 고정인력이 계속 시공을 한다면 사용 횟 수가 많아질수록 작업효율은 훨씬 증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