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① 숨을 셈[數息]
숨을 세는 것에 세 가지 일이 있으니,
첫째는 마땅히 앉아서 행하는 것이요,
둘째는 색(色)을 보고 마땅히 비상(非常)과 부정(不淨)을 생각하는 것이요,
셋째는 마땅히 성냄ㆍ의심ㆍ질투함을 분명히 알고 과거를 생각하는 것이다.
숨을 셈[數息]이 어지러운 것은 마땅히 인연을 좇아 일어난 바임을 알아야만 하고, 이것은 안의 뜻[內意]임을 알아야만 한다.
첫 번째 숨이 어지러운 것은 바로 바깥 뜻[外意]의 허물이니, 숨이 밖으로부터 들어오기 때문이요,
두 번째 숨이 어지러운 것은 바로 안의 뜻의 허물이니, 숨이 가운데로부터 나오기 때문이요,
3ㆍ5ㆍ7ㆍ9번째는 바깥 뜻에 속하고,
4ㆍ6ㆍ8ㆍ10번째는 안의 뜻에 속한다.
질투ㆍ성냄ㆍ의심의 세 가지 뜻은 안에 있고,
살생(殺生)ㆍ투도(偸盜)ㆍ사음(邪婬)ㆍ양설(兩舌)ㆍ악구(惡口)ㆍ망언(妄言)ㆍ기어(綺語)의 일곱 가지 뜻과 나머지는 밖에 속한다.
숨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밖이 되고, 숨을 얻을 수 없는 것은 안이 된다.
숨은 뜻을 좇아 생기므로 생각과 숨을 합쳐 하나라고 세는데,
숨이 다 하면 하나를 세기도 하고 또한 하나를 세지 않기도 하는 것은, 뜻은 밖에 있는 채 숨이 아직 다하지 않았기 때문이니,
비유컨대 돈을 세면서 뜻은 다섯 번째에 있는데 세기는 하나라고 하는 것과 같다.
숨을 셈[數息]에 세는 것보다 먼저 들어오는 이유는,
밖에는 7악(惡)이 있고 안에는 3악(惡)이 있으므로 적은 것이 능히 많은 것을 이길 수 없기 때문에 세는 것보다 먼저 들어오는 것이다.
숨을 셈에 얻지 못하는 것은 그 본래의 뜻[本意]을 잃었기 때문이니,
본래의 뜻은 비상(非常)과 고(苦)와 공(空)과 비신(非身)의 이치이다.
이 본래의 뜻을 잃고 뒤바뀜[顚倒]에 떨어지기 때문에 또한 사(師)를 잃어버린다.
사(師)는 처음 앉았을 때 첫 번째 들이 쉬는 숨[入息]에서 몸의 편안함과 차례대로 행함을 얻으니, 그 본래의 뜻을 잃었기 때문에 숨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숨을 셈[數息]에 뜻으로 항상 마땅히 비상ㆍ고ㆍ공ㆍ비신을 생각해야 하며,
숨이 나와도 또한 없어지고 들어가도 또한 없어짐을 헤아려야 한다.
이미 이것을 안다면 도를 얻음이 빠를 것이니,
마땅히 비상(非常)과 공(恐)의 뜻을 가져야만 하며, 이 뜻을 얻으면 곧 숨 세는 것을 얻는다.
들이쉬는 숨과 내쉬는 숨이 다른 까닭은,
내쉬는 숨은 생사음(生死陰)이 되고,
들이쉬는 숨은 사상음(思想陰)이 되며,
때로는 내쉬는 숨은 통양음(痛痒陰)이 되고,
들이쉬는 숨은 식음(識陰)이 된다.
이런 까닭에 다른 것이니, 도인(道人)은 마땅히 이 뜻을 분별해야만 한다.
들이쉬는 숨은 죄를 받아들이지 않기 위함이요,
내쉬는 숨은 죄를 제거하기 위함이요,
뜻을 따름[隨意]은 죄를 여의기 위함이며,
들이쉬는 숨은 인연을 받아들이기 위함이요,
내쉬는 숨은 인연에 이르기 위함이요,
뜻을 따름은 인연을 여의지 않기 위함이다.
숨 세는 것을 얻지 못함에 세 가지 인연이 있으니,
첫째는 죄가 이름이요,
둘째는 행이 공교롭지 않아서요,
셋째는 정진하지 않아서 이다.
들이쉬는 숨은 짧고 내쉬는 숨은 길며,
따라 생각하는 바가 없는 것이 도의(道意)가 되고,
생각하는 바가 있는 것은 죄(罪)가 되니,
죄는 밖에 두어야지 안에 두어서는 안 된다.
숨을 셀 때 뜻을 여의면 숨이 길어지고, 숨을 얻으면 숨이 짧아지며,
편안하게 행하지 못하면 숨이 길게 되고, 정(定)하면 짧게 되며,
만물을 생각하면 긴 숨이 되고, 생각하는 바가 없으면 짧은 숨이 되며,
열 번째 숨에 이르지 못하고 그쳤다가 다시 세는 것은 긴 숨이 되고,
열 번째 숨을 얻은 것은 짧은 숨이 된다.
숨을 얻으면 짧게 되니, 왜냐하면, 멈추고 다시 세지 않기 때문이며,
숨을 얻으면 또한 길게 되니, 왜냐하면, 숨을 쉬지[休] 않기 때문에 길게 되는 것이다.
숨이 긴 것도 스스로 알고 숨이 짧은 것도 스스로 아는 것은,
뜻이 있는 곳을 따라서 길고 짧음을 스스로 아는 것이니,
뜻이 길고 짧음을 깨닫는다면 스스로 아는 것이 되고,
뜻이 길고 짧음을 깨닫지 못한다면 스스로 알지 못하는 것이 된다.
도인(道人)은 안반수의(安般守意)를 행하여 뜻을 멈추려고 하니, 마땅히 무슨 인연으로 뜻을 멈춤을 얻을 것인가?
이제 안반수의를 설하겠으니 들을지어다.
무엇이 안(安)이 되고, 무엇이 반(般)이 되는가?
안(安)은 들이쉬는 숨이라 하고, 반(般)은 내쉬는 숨이라고 한다.
생각과 숨이 떨어지지 않는 것을 안반(安般)이라고 하며, 수의(守意)는 뜻을 멈춤을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
행자(行者)와 새로 배우는 이에게는, 네 가지 안반수의의 행이 있으니,
두 가지 악(惡)을 제거하면 16승(勝)을 즉시 스스로 알아, 마침내 안반수의를 행하여 뜻을 멈춤을 얻게 하리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첫째는 세는 것이요,
둘째는 서로 따르는 것이요,
셋째는 멈추는 것이요,
넷째는 관(觀)하는 것이다.
무엇이 두 가지 악(惡)인가?
열 번째 숨을 넘지 말 것과 열 번째 세기보다 덜하지 말 것이다.
무엇이 16승(勝)인가?
즉시 스스로 숨이 길음을 아는 것,
곧 스스로 숨이 짧음을 아는 것,
곧 스스로 숨이 몸을 움직임을 아는 것,
곧 스스로 숨이 미세(微細)함을 아는 것,
곧 스스로 숨이 상쾌함을 아는 것,
곧 스스로 숨이 상쾌하지 못함을 아는 것,
곧 스스로 숨이 멈춤을 아는 것,
곧 스스로 숨이 멈추지 않음을 아는 것,
곧 스스로 숨이 마음에 기꺼움을 아는 것,
곧 스스로 숨이 마음에 기껍지 않음을 아는 것,
곧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만물이 이미 없어져 다시 숨을 얻을 수 없음을 스스로 아는 것,
안으로 다시 생각할 바 없는 숨임을 스스로 아는 것,
생각하는 바를 버리는 숨임을 스스로 아는 것,
생각하는 바를 버리지 못하는 숨임을 스스로 아는 것,
신명(身命)을 버리는 숨임을 스스로 아는 것,
신명을 버리지 못하는 숨임을 스스로 아는 것이니,
이것이 즉시 스스로 아는 열여섯 가지이다.
무엇이 열 번째 세기를 넘지 않는 것이며,
열 번째 세기보다 덜하지 않은 것인가?
숨이 이미 다했는데 아직 세지 않는 것이 넘는 것이요,
숨이 아직 다하지 않았는데 곧바로 세는 것이 덜 하는 것이다.
세기를 넘어서 놓친 것도 또한 악(惡)이요,
미치지 못하는 것도 또한 악이니,
이것이 두 가지 악이 된다.
두 번째 숨에 이르러 어지러운 것은 짧은 숨이 되고,
아홉 번째 숨에 이르러 어지러운 것은 긴 숨이 되며,
열 번째 숨을 얻는 것은 상쾌한 숨이 되고, 서로 따르는 것은 미세함이 된다.
뜻이 긴 데에 있다면 바로 뜻을 돌이켜서
‘나는 왜 긴 것을 생각하는가?’라고 해야 하며,
뜻이 짧은 데에 있다면 즉시 깨달아서 뜻이 멈추지 않도록 해야 하니,
멈추면 집착이 된다.
신명(身命)을 버리는 것을 숨을 행한다[行息]고 이르니,
도의(道意)를 얻으면 문득 신명을 버리며,
아직 도의를 얻지 못했으면 항상 몸을 아끼는 까닭에 신명을 버리지 못한다.
숨이 미세한 것은 도(道)가 되고, 긴 것은 생사(生死)가 되며,
짧은 숨이 움직이면 생사가 되고, 도(道)보다 길면 짧음이 되니,
왜냐하면, 도의(道意)를 얻지 못하여 아는 바가 없기 때문에 짧음이 된다.
숨을 세는 것은 단(單)이 되고,
서로 따르는 것은 복(複)이 되며,
멈춤[止]은 뜻을 한결같이 함이 되고,
관(觀)은 뜻을 앎이 되며,
돌이킴[還]은 도를 행함이 되고,
청정함[淨]은 도에 들어감이 된다.
셀 때 생각이 열 번째 숨이 이르러 붙잡고 있는 것이 바로 외선(外禪)이요,
몸의 부정(不淨)을 생각하고 공(空)을 따르는 것이 바로 내선(內禪)이다.
선법(禪法)은 악이 와도 받아들이지 않으니, 이것을 ‘버린다’고 한다.
입을 다물고 숨을 셈에 기(氣)의 나고 듦을 따르되, 기가 어떤 곳에서 일어나고 어떤 곳에서 멸하는지 알아야 한다.
뜻에 생각하는 바가 있으면 숨을 세지 못하고, 더디고 빠르고 크고 적음이 있어도 또한 세지 못하며, 귀로 어지러운 소리를 들으면 또한 세지 못한다.
숨을 셈에 뜻이 숨 세는 데만 있다면 공교함이 되지 못하니, 뜻을 행하여야 마침내 멈춤[止]이 되며,
숨을 셀 때 뜻이 다만 숨에만 있다면 이것은 공교함이 되지 못하니,
마땅히 뜻이 좇아서 일어나는 곳과 기(氣)가 멸하는 곳을 알아야만 마침내 세는 것에 응하여서 인연이 다하면 문득 정의(定意)를 얻는 것이다.
수의(守意)는 나고 드는 숨을 생각하여 이미 숨을 생각함에 악(惡)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수의가 된다. 숨은 인연을 따라 생겨나니, 인연이 없고 인연을 멸한다면 숨도 끊어져 멈추는 것이다.
숨을 세는 것이 지극히 성실하고, 숨이 어지럽지 않은 것이 인욕(忍辱)이 되며,
숨을 셈에 기가 미세하여 다시 나고 드는 줄을 깨닫지 못해야만 이에 마땅히 한 생각을 지켜서 멈출 것이다.
숨은 몸에도 있고 또한 밖에도 있으니, 인연을 얻어 숨이 생기며 죄가 아직 다하지 않았기 때문에 숨이 있으니, 인연을 끊으면 숨이 다시 생겨나지 않을 것이다.
숨을 셈에 제2선(禪)을 따를 것이니, 왜냐하면, 생각을 기다리지 않기 때문에 제2선을 따르는 것이다.
숨을 세기만 하는 것은 수의(守意)가 되지 못하며,
숨을 생각해야 마침내 수의가 되니,
숨이 밖으로부터 들어와 숨이 아직 다하지 않았다면 숨은 들어오는 중이고 뜻은 다했으며 식(識)은 수를 세는 데 있다.
열 가지 숨에 열 가지 뜻이 있어 열 개의 묶임[絆]이 되고,
서로 따르는 것에 두 가지 뜻이 있어 두 개의 묶임이 되며,
멈춤[止]에 한 가지 뜻이 있어 한 개의 묶임이 된다.
숨 세는 것을 얻지 못하면 악한 뜻이 되어 가히 묶을 수 없으며,
악한 뜻이 멈추어야 마침내 숨을 셈을 얻으니,
이것이 조화가 되어야 가히 뜻을 묶을 수 있다.
이미 숨을 얻었으면 숨을 버리고,
이미 서로 따름을 얻었으면 서로 따름을 버리며,
이미 멈춤을 얻었으면 멈춤을 버리고,
이미 관(觀)을 얻었으면 관을 버리며,
다시 돌이키지 말 것이니,
다시 돌이키지 않는다는 것은 다시 숨을 세어 뜻을 부리거나 또한 뜻이 숨을 부리게 하지 않는 것이다.
생각하는 바가 있다면 숨이 뜻을 부리게 되고,
생각하는 바가 없다면 뜻이 숨을 부리게 된다.
숨에 네 가지 일이 있으니,
첫째는 바람,
둘째는 기운,
셋째는 숨,
넷째는 헐떡거림[喘]이다.
소리가 있는 것은 바람이 되고,
소리가 없는 것은 기운이 되며,
나고 드는 것은 숨이 되고,
나고 드는 기운이 다하지 못한 것은 헐떡거림이 된다.
숨을 세는 것은 바깥을 끊음이요,
서로 따르는 것은 안을 끊음이며,
밖으로 부터 들어올 때 세는 것은 바깥을 끊음이고 또한 바깥 인연을 여의려 하는 것이요,
가운데로부터 나올 때 세는 것은 안의 인연을 여의려고 하는 것이니,
바깥은 몸을 여읨이 되고, 안은 뜻을 여읨이 된다.
몸을 여의고 뜻을 여의는 이것이 바로 서로 따르는 것이 되며, 나고 드는 숨 이것이 두 가지 일이 된다.
숨을 세는 것은 안과 밖의 인연을 끊으려고 하는 것이니,
무엇이 안과 밖인가?
안(眼)ㆍ이(耳)ㆍ비(鼻)ㆍ구(口)ㆍ신(身)ㆍ의(意)는 안이 되고,
색(色)ㆍ성(聲)ㆍ향(香)ㆍ미(味)ㆍ세활(細滑)ㆍ염(念)은 밖이 된다.
숨 쉼을 행하는 것은 뜻을 공(空)으로 향하게 하려는 것인데 다만 나머지 뜻만 멈추려고 한다면 어떻게 공으로 향하겠는가?
숨 가운데는 숨 쉬는 대상이 없기 때문이다.
숨을 셀 때 뜻이 달아나는 것 아닌가?
이를 곧바로 깨닫는다면 죄는 무겁고 뜻은 가벼우니, 죄가 뜻을 이끌어 빨리 가버리기 때문에 깨닫지 못하는 것이다.
도(道)를 행하여 이미 숨 쉬는 것을 얻으면 저절로 숨 쉬는 것이 싫어져서 뜻을 돌리려고 하여도 다시 세고 싶지 않으니,
이와 같은 것이 숨 쉬는 것을 얻음이요,
서로 따르는 것과 멈춤[止]과 관(觀)도 또한 그렇다.
나고 드는 숨의 사라짐을 알아서 숨의 모습[相]을 얻고,
생사(生死)를 알아서 다시 쓰지 않음으로써 생사의 모습을 얻는다면,
이미 4선(禪)을 얻은 것이니,
다만 공(空)을 생각하여 도(道)를 심을 것이다.
숨 쉬는 것을 행하여 이미 정(定)을 얻어서 다시 기(氣)의 나고 듦을 깨닫지 못한다면,
문득 관(觀)할 수 있으니,
첫째 마땅히 55가지 일을 관해야 하고,
둘째 마땅히 몸 가운데서 12인연을 관해야 한다.
그렇다면 숨이 나고 듦에 나고 드는 곳이 있는가?
숨이 들어올 때가 바로 그 곳이요, 숨을 내쉴 때가 바로 그 곳이다.
숨을 세며 몸으로 앉아서 통양(痛痒)ㆍ사상(思想)ㆍ생(生)ㆍ사(死)ㆍ식(識)을 멈추고 행하지 않음이 바로 앉음[坐]이 된다.
숨을 생각하여 도를 얻고 다시 헤아리는 것은 숨은 본래 아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숨을 생각하여 도를 얻었는데 어찌 아는 것이 없다고 하는가?
뜻은 숨을 알지만 숨은 뜻을 알지 못하니, 이것이 아는 바가 없다는 것이다.
사람이 능히 뜻을 헤아릴 수 없다면 곧바로 숨을 세도록 해서 뜻을 정하려고 하지만,
비록 숨을 세더라도 다만 악(惡)이 생겨나지 않을 뿐이요 지혜는 없으니,
마땅히 어떤 행으로 지혜를 얻어서 첫 번째로부터 열 번째까지 이르러 분별하여 어지러움을 안정시키고 대경(對境)을 식별하여 약(藥)을 쓰겠는가?
이미 정의(定意)를 얻었다면 곧바로 지혜를 따라서 헤아림을 얻어 관(觀)을 따른다.
무엇이 세는 것[數]이 되는가?
센다는 것은 일[事]을 말한다.
비유컨대 사람이 무슨 일이 있으면 곧바로 구하는 것과 같으니, 이것은 죄를 세는 것이지만 도인(道人)은 복을 세는 것이다.
왜냐하면,
열 번째까지 정하여 한 번 뜻을 일으키면 첫 번째가 되고,
두 번 뜻을 일으키면 두 번째가 되어,
세기를 열 번째에서 마치니, 열 번째까지 이르면 끝이 되는 까닭에,
열까지 세는 것이 복이 된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죄가 있다는 것은,
능히 숨 쉬는 것을 무너뜨리지 못하기 때문에 죄가 되며,
또한 생사(生死)에 뜻을 두어 소멸하지 못하고 세간에 떨어져 세간 일을 끊지 못하므로 죄가 되는 것이다.
6정(情)의 여섯 가지 일에다 통양(痛痒)ㆍ사상(思想)ㆍ생사(生死)ㆍ식(識)을 합한 열 가지는 안의 열 번째까지의 숨에 응하고,
살(殺)ㆍ도(盜)ㆍ음(婬)ㆍ양설(兩舌)ㆍ악구(惡口)ㆍ망언(妄言)ㆍ기어(綺語)ㆍ질투(嫉妬)ㆍ진에(瞋恚)ㆍ우치(愚癡)는 밖의 열 번째까지의 숨에 응하니, 이른바 멈추어 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무엇이 열여섯 가지 일인가?
열여섯 가지는 세어서 열여섯 번째까지 이름을 말하니,
즉 숨을 세는 것과 서로 따르는 것과 멈춤[止]과 관(觀)과 돌이킴[還]과 정(淨)을 이 열여섯 번째까지 행하여 여의지 않음이 도(道)를 따르는 것이다.
숨을 세는 것은 바람을 생각하여 색(色)을 따르게 되니,
어떻게 도에 응(應)하는가?
뜻을 행함이 세는 데에 있고 색과 기(氣)를 생각하지 않으면, 모두 곧바로 소멸하여 비상(非常)에 떨어지거나 비상을 아는 것이 도가 된다.
도인(道人)이 도를 얻고자 하면 마땅히 앉아서 행하는 두 가지를 알아야만 하니,
첫째는 앉음[坐]이고,
둘째는 행함[行]이다.
앉음과 행함은 같은 것인가, 같지 않은 것인가?
때로는 같고 때로는 같지 않으니,
숨을 세는 것과 서로 따르는 것과 멈춤[止]과 관(觀)과 돌이킴[還]과 정(淨) 등 이 여섯 가지 일을,
때로는 앉아서 하기도 하고 때로는 다니면서 하기도 하니,
왜냐하면 숨을 세어서 뜻을 정(定)하는 것이 바로 앉음[坐]이 되고,
뜻이 법을 따르는 것이 행이 되며,
이미 뜻을 일으켜서 여의지 않음은 행도 되고 또한 앉음도 된다.
좌선(坐禪)하는 법은,
첫 번째에서 두 번째를 세지 않고, 두 번째에서 첫 번째를 세지 않는 것이다.
첫 번째에서 두 번째를 센다는 것은,
첫 번째 숨을 세는 것을 아직 마치지 않았는데 곧바로 두 번째를 말하는 것이 바로 첫 번째에서 두 번째를 세는 것이니, 이런 것은 지나친 정진(精進)이 된다.
두 번째에서 첫 번째를 센다는 것은,
숨이 이미 두 번 들어왔는데 겨우 첫 번째라고 말하는 것이 바로 두 번째에서 첫 번째를 세는 것이니, 이런 것은 미치지 못하는 정진이 된다.
세 번째로부터 네 번째에 이르고,
다섯 번째로부터 여섯 번째에 이르며,
일곱 번째로부터 여덟 번째에 이르고,
아홉 번째로부터 열 번째에 이르기까지 각각 부분이 있으니,
마땅히 속한 곳을 분별하여 첫 번째에 있어서는 첫 번째를 세고,
두 번째에서는 두 번째를 세는 것이 바로 법을 행하는 것이며, 곧바로 정진을 따르는 것이다.
앉음[坐]으로 도를 따르는 세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숨을 세면서 앉아 있는 것이요,
둘째는 경을 외우면서 앉아 있는 것이요,
셋째는 경을 듣고 기뻐하며 앉아 있는 것이,
바로 이 세 가지다.
앉음[坐]에 3품(品)이 있으니,
첫째는 미합좌(味合坐)요,
둘째는 정좌(淨坐)요,
셋째는 무유결좌(無有結坐)이다.
무엇이 미합좌인가?
뜻이 행을 집착하여 여의지 않는 것이 바로 미합좌가 된다.
무엇이 정좌인가?
생각하지 않는 것이 정좌가 된다.
무엇이 무유결좌인가?
맺음이 이미 다한 것이 무유결좌가 된다.
숨[息]에 세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잡식(雜息)이요,
둘째는 정식(淨息)이요,
셋째는 도식(道息)이다.
도를 행하지 않는 것이 잡식이 되고,
세어서 열 번째까지 이르도록 어지럽지 않는 것이 정식이 되고,
이미 도를 얻는 것이 도식이 된다.
숨에 세 가지가 있으니,
대식(大息)이 있고,
중식(中息)이 있고,
미식(微息)이 있다.
입으로 말하는 바가 있는 것은 대식이요,
멈추고 도를 생각하는 것은 중식이요,
멈추고 4선(禪)을 얻는 것은 미식이다.
부처님께서는 왜 사람들에게 숨을 세어 뜻을 지킬 것을 가르치셨는가?
네 가지 이유가 있으니,
첫째는 고통을 받지 않게 하려는 까닭이요,
둘째는 뜻을 어지럽힘을 피하게 하려는 까닭이요,
셋째는 인연을 막아 생사와 만나지 않게 하려는 까닭이요,
넷째는 니원도(泥洹道)를 얻게 하려는 까닭이다.
비유컨대 해가 광명이 없다고 설하는 것에 네 가지 까닭이 있으니,
첫째는 구름이 끼었기 때문이요,
둘째는 먼지가 끼었기 때문이요,
셋째는 큰 바람이 불기 때문이요,
넷째는 연기가 끼었기 때문인 것처럼,
숨 세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에도 또한 네 가지 인연이 있으니,
첫째는 생사를 생각하여 헤아리기 때문이요,
둘째는 음식을 많이 먹었기 때문이요,
셋째는 몹시 여위었기 때문이요,
넷째는 앉아서 죄지(罪地)를 고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네 가지 일이 모두 상(相)이 있으니,
앉아 숨을 세면서 갑자기 다른 일을 생각하여 숨과 뜻을 잃는 것은 바로 생각하여 헤아리는 상이요,
골절이 모두 아파 능히 오래 앉아 있지 못하는 것은 바로 많이 먹은 상이요,
몸이 무겁고 뜻이 혼몽하여 다만 자려고만 하는 것은 바로 몹시 여읜 상이요,
4면(面)으로 앉았기만 하여 한 숨도 얻지 못하는 것은 바로 죄지(罪地)의 상이다.
만일 죄가 됨을 알았다면 마땅히 경행(經行)을 하거나 앉아 경문(經文)을 읽어서 뜻으로 죄를 익히지 않으면 또한 화(禍)가 소멸될 것이다.
도인(道人)은 도를 행하여 마땅히 근본을 생각할 것이니, 무엇이 근본인가?
심(心)ㆍ의(意)ㆍ식(識)이 바로 근본이 된다.
이 세 가지 일은 모두 보이지 않아서 이미 생겨났다가 곧바로 멸하여 근본의 뜻이 다시 생겨나지 않으니, 이 뜻을 얻음이 도의(道意)가 된다.
근본의 뜻이 이미 소멸하면 고통이 있지 않으며,
다시 인연으로 생겼다가도 곧바로 끊어지니,
정의(定意)가 날로 수승해진다.
날로 수승해지는 것이 정의가 되니,
때로는 숨을 좇아 정의를 얻기도 하고,
때로는 서로 따름을 좇아 정의를 얻기도 하며,
때로는 멈춤[止]을 좇아 정의를 얻기도 하고,
때로는 관(觀)을 좇아 정의를 얻기도 한다.
정(定)의 인연(因緣)을 얻음에 따라 곧바로 행한다.
숨 쉬는 것을 행하여 또한 탐(貪)에 떨어지니, 왜냐하면 뜻이 정해지면 문득 기뻐지기 때문이니,
곧바로 마땅히 나는 숨과 드는 숨을 헤아려야만 생각이 사라질 때,
숨이 생겨나면 몸이 생겨나고,
숨이 사라지면 몸도 사라진다.
아직 생사의 괴로움을 벗어나지 못한 것은, 어째서 인가?
기뻐서 이와 같이 헤아리기 때문이니, 곧바로 탐욕을 멈추어야 한다.
숨을 세는 것은 빠르게 하고 서로 따르는 것은 느리게 하려고 하며,
때로는 숨 세는 것을 마땅히 느리게 하고 서로 따르는 것을 빠르게 하기도 하니,
왜냐하면 숨을 셀 때 뜻이 어지럽지 않으면 마땅히 느리게 해야 하고,
세는 것이 어지러우면 마땅히 빠르게 해야 한다.
서로 따르는 것도 또한 이와 같이 한다.
첫 번째로 세는 것과 또한 서로 따르는 것이 생각하는 바가 다르니,
비록 숨을 세더라도 마땅히 기(氣)의 나고 듦을 알아 뜻을 세는 것에 붙여두어야 하며,
숨을 세다가 다시 서로 따르는 것과 지와 관을 행한다면, 이른바 숨 쉬는 것을 얻지 못한다고 하니,
전생의 습(習)이 서로 따르는 것과 멈춤과 관(觀)에 있는 것이다.
비록 서로 따르는 것과 멈춤과 관을 얻더라도 마땅히 돌이켜서 숨 세는 것으로부터 일으켜야 한다.
숨을 셀 때 뜻을 여의지 않으면 이것은 법을 여읜 것이 되며,
법이 아니기 때문에 숨을 셀 때 뜻이 죄를 따르지 않지만,
뜻을 세간에 둔다면 곧 죄에 떨어진다.
숨을 세는 것은 뜻을 어지럽히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이니,
뜻이 어지럽지 않아서 다시 서로 따르는 것을 행한다면 상지중(上之中)의 뜻을 증득하고 멈춤[止]을 알 것이다.
멈춤은 관(觀)과 같고 돌이킴[還]은 정(淨)과 같다.
도를 행하여 미세한 뜻을 얻었다가 그 뜻이 어긋났다면, 마땅히 다시 숨을 세거나 경(經)을 읽어야 하며,
마침내 다시 선(禪)을 행하여 미세한 뜻을 얻으면, 숨을 세는 것과 서로 따르는 것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부처님은 여섯 가지 깨끗한 뜻이 있으니,
이른바 숨을 세는 것과 서로 따르는 것과 멈춤[止]과 관(觀)과 돌이킴[還]과 정(淨)이다.
이 여섯 가지 일로 능히 형체 없는 것을 제어하신다.
숨은 또한 뜻이기도 하고 뜻이 아니기도 하니,
왜냐하면, 셀 때 뜻이 숨에 있으면 뜻이 되지만,
세지 않을 때는 뜻과 숨이 각자 스스로 행동하니, 이것은 뜻이 아니요,
숨을 좇아 생겨나니 숨이 이미 그치면 뜻도 없는 것이다.
사람이 뜻을 부리지 못하고 뜻이 사람을 부리니,
뜻을 부리는 이는 이른바 숨을 세는 것과 서로 따르는 것과 멈춤과 관과 돌이킴과 정(淨)에서 『37품경』을 생각한다.
이것이 바로 뜻을 부리는 것이니, 사람이 도를 행하지 않고, 탐내어 구하며 욕심을 따르면, 이것은 뜻이 사람을 부리는 것이다.
숨에 구식(垢息)이 있으니, 때[垢]를 버리지 못하면 숨을 얻지 못한다.
무엇이 구식인가?
3명(冥) 가운데서 가장 극심한 것이 이 구식이다.
무엇이 3명인가?
3독(毒)이 일어날 때는 몸속이 틀림없이 어둡기 때문에 3명이라고 한다.
3독은
첫째 탐음(貪婬),
둘째 성냄[瞋恚],
셋째 어리석음[愚癡]이니,
사람이 모두 이 세 가지 일로 인해서 죽는 까닭에 독(毒)이라고 한다.
숨을 셀 때는 뜻이 숨 세는 데에 있지만 세지 않을 때는 세 가지 뜻이 있으니,
선한 뜻도 있고,
악한 뜻도 있으며,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는 뜻도 있다.
사람이 숨 쉬는 상(相)을 얻었는지 알려고 한다면,
마땅히 만물과 모든 좋은 경계를 관(觀)해서 뜻이 다시 집착하지 않는다면 이것이 숨 쉬는 상을 얻은 것이요,
뜻이 다시 집착한다면 이것은 상을 얻지 못한 것이니,
마땅히 다시 정진하여 가가(家家)의 뜻을 행함을 없애려고 해야 한다.
이른바 6정(情)이 가가의 뜻이니 만물을 탐애하는 것이 모두 가가의 뜻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