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설수진천자경 제3권
7. 보살행품(菩薩行品)
이때 수진천자가 다시 문수사리에게 물었다.
“무엇을 일러 보살이 정진행(精進行)을 한다고 합니까?
바라건대 말해주십시오. 저희들이 듣고자 합니다.”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행한 바가 없음이 바로 매우 청정하고 공경하는 행이니, 모두 이미 여기에 머무는 것이 바로 보살의 행이다.
모든 소유에 모자라거나 덜어냄이 없고, 고요한 곳에서 지은 바를 뜻에 응하여 판단하고 나서, 뜻을 도에 두는 것이 바로 잊어버리지 않는 행이다.
마음과 뜻이 평등한 것이 바로 보시의 행이며,
마음과 뜻이 이미 조복된 것이 바로 계율의 행이며,
마음과 뜻이 이미 고요한 것이 바로 인욕의 행이며,
뜻이 게으르거나 권태롭지 않는 것이 바로 정진의 행이며,
몸과 뜻이 조용하고 고요한 것이 바로 선정의 행이며,
법계에서 소유에 집착하지 않음을 행하는 것이 바로 지혜의 행이다.
잘못을 따지지 않는 것이 바로 자(慈)의 행이며,
일체를 두[有]지 않는 것이 바로 큰 애(哀)의 행이며,
애욕은 나의 할 바가 아니므로 이미 공(空)한 것이 바로 희(喜)의 행이며,
확연(廓然)하여 아무 생각이 없는 것이 바로 호(護)의 행이다.
천인(天人)을 바라지 않는 것이 바로 적정(寂定)의 행이며,
여러 가지 일을 분명하게 아는 것이 바로 고지(苦智)의 행이며,
5음(陰)을 헤아려 마치 허깨비처럼 여기는 것은 연기(緣起)를 아는 행이며,
지혜를 없애는 등의 부류가 바로 멸지(滅知)의 행이다.
부류를 나누어 멸하는 것이 바로 도혜(道慧)의 행이며,
합쳐 모임을 좋아하지 않는 것이 바로 인혜(因慧)의 행이며,
5음이 그러함을 분명하게 아는 것이 바로 연혜(緣慧)의 행이며,
이치에서 율(律)을 결단하는 것이 바로 함께 모이는 행이다.
이치에 처함이 없고 묵묵히 말이 없는 것이 바로 법에 의지한 행이며,
법계에 무너뜨릴 것이 없음이 바로 멸(滅)에 의지한 행이며,
이름과 빛에 소유가 없는 것이 바로 과보(果報)에 의지한 행이다.
소리와 같고 메아리와 같이 여기는 것은 가장 위의 이치에 의지한 행이며,
구족한 상호(相好)를 나타내 보이는 것은 신혜(身慧)에 의지한 행이며,
몸과 뜻이 단엄하고 상호가 구족한 것은 공(空)을 거쳐 감에 의지한 행이며,
죄가 있으면 스스로 뉘우치는 것이 바로 계율에 의지한 행이다.
사람의 마음을 아는 것이 바로 천안(天眼)의 행이며, 죄업(罪業)을 깨끗이 하는 것이 바로 귀가 밝은 행이며,
계율이 매우 청정한 것이 바로 남의 마음을 아는 행이며,
여러 가지 죄업을 이미 마친 것이 바로 전생을 아는 행이며,
3도(塗) 등을 헤아리는 것이 바로 뜻대로 움직이는[神足] 행이다.
마음이 자재함을 얻은 것이 바로 굳세고 강한 행이며, 파괴할 수 없는 것이 바로 긴요한 행이며,
움직이지도 않고 흔들리지도 않는 것이 바로 편안함에 나아가는 행이며,
진동하지도 않고 놀라지도 않는 것이 바로 평등한 행이며,
항상 생각하되 믿고 의지함이 없는 것이 바로 허공 같은 행이며,
관찰하여 다 아는 것이 바로 허깨비 같은 행이다.
장엄(莊嚴)한 모양[相]이 바로 꿈[夢]같은 행이며, 외모[邊幅]의 모양이 바로 불꽃[炎]같은 행이며,
모이지[聚] 않는 모양이 바로 그림자[影]같은 행이며,
탐내지[貪] 않는 모양이 바로 메아리 같은 행이며,
이치로서 율(律)을 결단하는 모양이 바로 아지랑이 같은 행이며,
황홀(恍惚)한 모양이 바로 공(空)한 행이며,
몸이 부류로 나누어진 모양이 바로 모양[相]이 없는 행이며,
뜻이 부류로 나누어진 모양이 바로 원(願)없는 행이다.
3계(界)가 부류로 나누어진 모양이 바로 서로 만남이 없는 행이며,
서로 만나 부류를 나누는 모양이 바로 마군을 항복하는 행이며,
마음과 뜻과 의식이 있지도 않고 상대하지도 않는 것이 바로 삼보를 끊지 않는 금강(金剛)의 행이다.
일체가 늘어나 더해지는 것이 이 행의 모양이다.
천자여, 이와 같은 마음이 보살이 도를 행하는 행이다.”
불설수진천자경 제3권
8. 분별품(分別品)
이때 수진천자가 다시 문수사리에게 물었다.
“도에 머무는 보살은 그 행이 이미 모든 성문과 벽지불 위를 벗어났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말한 바와 같이 살펴보라.
보살의 행은 참으로 모든 성문과 벽지불 위를 벗어났다. 왜 그런가?
증과를 믿음도 없고, 또한 법을 지니는 것도 아니며,
또한 8정도(正道)를 행하는 것도 아니고, 또한 수타원(須陀洹)도 아니며,
또한 사타함(斯陀含)도 아니고, 또한 아나함(阿那含)도 아니며,
또한 아라한(阿羅漢)도 아니고, 또한 벽지불도 아니며,
또한 다타갈(多陀竭)도 아니고, 또한 삼야삼불(三耶三佛)도 아니며, 또한 세다라(世多羅)도 아닌 것이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만일 이를 알지 못한다면 이 보살이 보살인 줄을 헤아리지 못할 것이다.
또한 속법(俗法)도 아니고, 또한 음법(婬法)도 아니며,
또한 노법(怒法)도 아니고, 또한 치법(癡法)도 아니며,
또한 생사법도 아니고, 또한 열반법도 아니다.
만일 이를 알지 못한다면, 이 보살이 보살인 줄을 헤아리지 못할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이와 같으며, 무엇을 인하여 보살이 믿고 증득하여 열반법에 이를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모든 법을 분명히 알고 믿어 일체를 멀리 여의어서 탐욕에 집착함이 없고 나머지 도(道)를 믿지 않는다. 왜 그런가?
6바라밀의 도를 믿기 때문이다.
믿고는 곧 지녀서 묶이고 집착한 것을 해탈시키며, 항상 미래[未然]의 지혜를 탐구하여 생사도 두려워하지 않고 열반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살은 믿음의 요체[信要]를 지닐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법의 요체[法要]를 지닐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일체 모든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법교(法敎)를 모두 다 지녔으므로 세간의 맛(味)을 좋아하지 않고 법으로 음식을 삼으며,
법의 이치에 서고 애욕에 머무르지 않으니, 법의 힘[法力]을 얻어 세속의 힘[俗力]을 쓰지 않으며,
법의 이치를 얻어 세속의 이치를 숭상하지 않으며,
법의 거룩[法尊]함을 얻어 세속의 거룩[俗尊]함이 되지 않으며,
법에 의지하고 사람을 의지하지 않으며,
똑바른 법을 말하고 법 아닌 것을 말하지 않으며,
법에 머물고 법에 처하여 법 아닌 곳에 처하지 않는다.
법으로 꿰뚫어 보아 살펴서 가리고 걸림이 없으므로 모든 법을 죄다 알고 다라니(陀羅尼)를 얻어 자세히 기억하여 잊지 않으며,
일곱 가지 일로써 보배를 구족하고, 일체의 법에 의지하여 곧 자재한 법에 머물 수 있다.
그러므로 천자여, 보살은 법의 요체를 지닐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이 여덟 가지 일을 얻을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여덟 가지 삿됨[邪]에서 벗어나 청정한 공덕으로 여덟 가지 곧은[直] 행을 얻고 소원이 원만하여 곧 도에 들 수 있지만,
일체의 세간 사람들은 여덟 가지 어려운[難] 곳에 있으므로 모두 다 어려움이 없는 곳에 머물게 하여, 남자(男子)로서 여덟 가지 깨달음[覺]의 생각을 얻어 항상 도의 뜻을 원하여 함부로 놓아버리지 않아 여덟 가지 유무선(惟務禪)을 얻는다.
그러므로 보살이 이 여덟 가지 일을 얻을 수 있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수타원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일체의 사람들을 모두 마치 바다에 빠져 물을 따라 떠내려 가다가 힘센 이가 있다면 물을 거슬러 위로 올라 올 수 있는 것처럼 보아서,
생사의 흐름을 끊고 그 근본 행을 무너뜨리지 않아서 평등함을 얻어 3악도(惡道)를 끊고 일체가 편안한 곳에 머물 수 있게 한다.
진리에 대한 망설임을 멀리 여의고 부처님 법장(法藏)에 머물게 하며, 범부(凡夫)의 자취를 벗어나 부처님 법의 자취에 서기를 좋아하여 생사의 즈음[際]을 알아 곧 열반문을 향하게 한다.
모든 세계에서 제일로 후(厚)하여 항상 사람들 가운데 서되 열반의 행에 뜻을 두어서 사람들로 하여금 도를 향하게 하여 도량(道場)에 모이도록 하며,
살펴 나타내고 가르쳐 주어서 생사를 멀리 여의도록 하고 유위 가운데 있으면서 무위를 나타내어 감탄하게 하며,
아유월치(阿惟越致)를 똑같이 좋아하게 한다. 그러므로 보살이 수타원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사타함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일체 미래의 법을 알기에 생사 가운데 들어와서 일체를 보호하고 법을 설하여 무위에 이르게 하되 유위법(有爲法)을 보지 않으며,
무위에 이른 자는 또한 오는 것도 보지 않고 머무는 것도 보지 않아서 비록 옴[來]을 나타내 보일지라도 애욕이 없다.
가서는 하는 일을 마치고 와서는 본요(本要)에 어긋나지 않으며,
와서는 마군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와서는 도량(道場)에 이르며,
와서는 곧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을 지녀서 나타내 보여 모든 법을 의지하여 믿고,
와서는 일체를 보호하여 생사의 바다를 건너게 하며,
이미 굳세고 강한 신통의 도를 얻었기에 무너뜨릴 수 있는 자가 없다.
그러므로 보살이 사타함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아나함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일체의 소견에 다시 돌아가지 않아서 모든 쌓임[陰]과 덮임[蓋]을 따르지 않고 모든 뒤바뀜[顚倒]에 떨어지지 않으며, 여기에 다시 돌아가지 않아서 또한 오지도 않고 가지도 않는다.
여기에 다시 돌아가지 않아서 또한 비법(非法)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또한 두려움이 없으며 또한 탐욕과 음욕이 없고 또한 성냄도 없으며 또한 어리석음도 없다.
다시 돌아가지 않아서 하는 바의 일이 항상 수승하고 부처님 법을 원만히 구족하며
오고 감의 공덕이 평등하여 다름이 없고, 일체의 하는 일을 이미 마쳐 탐냄이 없으며,
이미 수기를 받아 결정되었으므로 지을 수 있는 바를 일으키지 않으며,
자재하지 못한 것을 지혜로 제도하고, 영특해서 다른 사람을 따라 다니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살이 아나함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아라한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가진 것을 다 버리고 탐욕을 항복하여 일체를 위하여 법을 말하고,
모든 성내는 이를 항복하고 법으로 가르쳐서 나쁜 버릇을 제거하며,
모든 어리석은 이를 항복하여 법으로 교화한다.
이미 공의 무더기[空聚]를 얻어 모든 법을 다 보았으므로 모든 부처님 법에 대한 일체의 정진을 버리지 않으며,
세간에서 일체의 합하고 모여 모두 무상함을 마음으로 좋아하지 않고, 공양(供養)하는 가운데 항상 최고가 된다.
마치 연꽃이 진흙탕에 물들지 않음과 같으며, 나[我]도 없고 지님[持]도 없고 가짐[所有]도 없어서 모든 법을 똑같이 지녀 항상 그것을 할 것을 생각하고, 지혜로써 공(空)을 분별하며, 사람들이 즐거워하는 바를 따라 그 뜻을 세운다.
전생에 바라던 바를 모두 이미 만족하고, 뜻이 굳건히 머물러 다른 사람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으며,
좋고 나쁜 모든 말을 일체 받는 바가 없고, 환희하여 얻어서 결정하여 반드시 일체를 굴려 제도한다.
그러므로 보살이 아라한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성문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일체의 듣지 못한 바의 법을 말해주니 이것이 바로 성문이다.
성문승에 대해 믿음이 없고 모든 집착한 법에서 이미 내지도 않고 일으키지도 않아 법계에서 아직 듣지 못한 이로 하여금 듣도록 하되 모든 인연 있는 이를 반연하여 나도 없고 남도 없음으로써 익혀 듣게 한다.
공법(空法)을 가르치되 부처님 법에만 한(限)하지 않아서 그 지은 바의 법이 비유하면 마치 허공과 같아 모든 법의 요체를 지으며,
듣고는 항상 정진하여 걸리는 바가 없으므로 다른 사람으로부터 들은 법은 받아 행하지 않으며,
스스로 이 선정으로 하고 다른 가르침을 따르지 않으며,
과거와 미래와 현재에 있는 소리(音聲)를 다 깨우쳐 안다.
이루다 할 수 없는 지음[作]을 이미 끊어 구족함을 얻으며,
또한 다함없는 비유법의 이치를 얻으며,
일체 사람들의 뜻과 행하는 바를 다 알아서 지혜로써 나타내 보여 인도하여 이롭게 하고,
그 원하는 바에 따라 법을 말하여 그 마땅한 곳에 이르게 하되 잘난 체하지 않고 항상 본래의 원(願)을 행한다.
그러므로 보살이 성문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벽지불(辟支佛)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인연방편을 얻어 모든 법이 나도 없고 남도 없고 수(壽)도 없고 명(命)도 없고 주재(主宰)도 없음을 안다.
마치 스스로 꾸며놓은 것은 거짓되어 실상도 없고 소속도 없는 것과 같으며, 그 인연의 모양도 비유하면 또한 이와 같다.
모든 인연을 자세히 보아 도(道)로써 음식을 삼고, 율법을 버리지 않는 것이 바로 모든 바라밀의 반려(伴侶)이며,
일체의 도를 증득(證得)함이 곧 법의 반려이며, 4은(恩)의 일에 대해 잘난 체 함이 없는 것이 바로 신통의 반려이다.
인연법을 알아서 끊거나 집착하지 않고, 다른 업(業)을 믿지 않아서 평등한 도각(道覺)을 얻으며,
보고 아는 곳을 믿어서 다른 뜻을 행하거나 따르지 않으며,
소승(小乘)의 공덕을 무너뜨리고 대승을 세우며,
인연으로써 일체의 모든 법을 행한다. 그러므로 보살이 벽지불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부처에 이를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일체의 법이 본래 모두 공적(空寂)함을 다 깨달아 알며,
일체가 본래 소유가 없음을 깨달아 알며,
악처(惡處)와 사람과 천상(天上)의 모든 행을 깨달아 알아서,
뜻으로 중생이 좋아하고 편안히 여기는 것을 다 멀리 떠난다. 왜 그런가?
모든 지혜를 다 밝게 알았기 때문이니, 스스로 지혜를 깨달아 모든 욕(欲)이 공(空)하고 자신도 또한 공함을 알며,
한때에 생각하여 도를 깨닫고 다시 다른 데로 굴러가지 않아서 곧 무수한 갖가지 일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보살이 부처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다타갈에 이를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여래의 도(道)로 왔으니,
‘여(如)’라는 것은 진리[諦]라서 하나라도 빠뜨리거나 잊어버림이 없는 것이며,
‘여’라는 것은 만들어 세움이고,
‘여’라는 것은 보시이며,
‘여’라는 것은 계율이며,
‘여’라는 것은 인욕이며,
‘여’라는 것은 정진이며,
‘여’라는 것은 선정이며,
‘여’라는 것은 지혜이며,
‘여’라는 것은 훌륭한 방편이며,
‘여’라는 것은 혜(慧)이며,
‘여’라는 것은 사람이거나 또한 사람이 아니다.
현세에 있어서는 사람을 위하여 익혀서 생사의 행을 끊고, 모든 행 가운데서 그 위로 나란히 벗어나 두려워하는 이를 제도하여 저 언덕에 이르게 하지만,
제도할 바에 저곳[彼]이 없으며 또한 저곳에 있는 것도 아니며, 이곳에 이르러도 이곳에 있는 것이 아니다.
본래 청정하기 때문에 생사 두 곳을 벗어나 어둠을 멀리 여의고 평등하게 밝음을 보니, 어둠에도 어둠이 없어서 어둠을 제도한다.
여래는 공(空)으로부터 왔으므로 번뇌[垢穢]를 무너뜨려 흩어버려서 공으로 돌아가게 한다.
그러므로 보살이 다타갈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복가파(匐迦波)에 이르러 나고 죽는 곳을 무너뜨릴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애욕을 깨뜨리고 3계(界)의 나고 죽는 곳을 건너가, 있는 곳[有處]에서 없는 곳[無處]을 나타내 보인다.
일체의 사람들은 모두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마군들을 항복해서 모든 곳에서 좋아하고 기뻐하며 집착하는 것을 모두 멀리 여의지만, 무거운 짐을 놓아버리고 그곳을 끊어 여의게 한다.
생겨나는 좋고 나쁜 여러 곳을 두루 보아서 이미 처해 있는 곳을 떠나 즐거이 탐욕과 음욕을 버리며, 유연(柔軟)한 마음으로써 몸과 뜻을 안정시켜 계지(戒智)를 결정하여 나쁜 곳을 다 보아 여의어 집착하지 않는다.
모든 몸에 다 들어가 일체의 형태(形態)를 알고 나고 죽는 곳을 그쳐, 이로움으로 인도하여 복으로 보시하며 널리 교량(橋梁)을 시설하고 항상 공양하기를 좋아하여 3처(處)를 가득 덮되 일찍이 싫증내거나 그만두지 않아서 3계(界) 사람들의 우러름을 받는다. 그러므로 보살은 복가파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삼야삼불(三耶三佛)의 평등각(平等覺)에 이를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의 마음은 5역(逆)에 대해 바른 도[正道]와 같이 여겨 그 뜻이 평등하므로 평등하게 깨닫지 않음이 없다.
본 것과 네 가지 뒤바뀜에도 평등하고 음개[陰蓋)에서 모든 덮고 가린 것에도 평등하여 도(道)와 다름이 없이 여기므로 평등하게 깨닫지 않음이 없다.
음욕과 성냄과 어리석음 및 모든 욕(欲)에 대해 평등하여 또한 도와 똑같이 여기므로 평등하게 깨닫지 않음이 없다.
범부법(凡夫法)과 습법(習法)과 불습법(不習法)과 벽지불법과 보살법도 다 도와 똑같이 여기므로 평등하게 깨닫지 않음이 없다.
그러므로 보살이 삼야삼불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세다라(世多羅) 세존에 이를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세간 사람들을 가르쳐서 공덕을 얻어 성내지 않게 하니, 법교(法敎)를 들은 이는 모두 가르침을 받들어 지니고, 법교를 그르다고 하는 이를 위하여 법의 바퀴[法輪]를 굴려서 감교(甘敎)와 자교(慈敎)와 삼천세계교(三千世界敎)를 일체 세존의 가르침으로 삼는다.
일체를 위하여 받아 스스로 귀의하며,
일체를 위하여 등불이 되고,
일체를 위하여 밝은 가운데 가장 밝으며,
일체를 위하여 고요한 선적(禪寂)을 지어서 일체의 사람들로 하여금 생각함이 있지 않아 소멸하여 타오르지 않게 하며,
일체의 사람들을 위하여 모든 여우같은 의심을 풀어 주니, 여우같이 의심하는 모든 환난이 다 이미 끊어졌으며,
일체의 사람들을 위하여 길이 공덕을 더해서 전륜왕(轉輪王)과 사천왕(四天王)과 제석(帝釋)ㆍ범천(梵天)이 경례(敬禮)하는 바가 된다.
어리석은 이에게 가벼이 여김을 받아도 성내거나 원망하지 않고 지혜 있는 이에게 찬탄을 받아도 환희하지 않아서 마음이 항상 평등하여 늘 허공과 같으므로, 세존이 세간에서 가장 위가 된다.
그러므로 보살이 세다라(世多羅)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발속선타람(鉢遬禪陀嵐) 범인법(凡人法)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일체의 사람들이 행할 바를 좋은 방편으로써 나타내 보이고, 일체 범부의 행을 알면서도 집착하는 바가 없다.
그러므로 보살이 범부법에 들어 갈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늑가타람(勒迦陀嵐) 탐음법(貪婬法)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항상 걱정하고 슬퍼하고 울면서 부처님 법을 얻으려고 하며,
항상 여래의 몸과 같은 몸을 이루기를 탐내고 좋아하며,
일체를 자비로 대하여 성냄이 없다.
그러므로 보살이 탐음법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대타람(䨴陀嵐) 진에법(瞋恚法)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한 가지 일 가운데서 열여덟 가지 일을 보고,
성문과 벽지불승을 마치 원수의 집처럼 여겨 사람들에게 그 법을 일으키라고 권유하지 않으며,
유위 가운데서 애욕을 나타내고 애욕 가운데서 마음이 집착한 바 없다. 왜냐하면 일체를 기르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살이 진에법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무이타람(瞀訑陀嵐) 우치법(愚癡法)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아는 것이 없음을 바로 어리석다[癡]고 하니, 습인(習因)・습과(習果) 등의 정해진 법을 인식하지 못하며, 또한 알지도 못하고, 깨닫지도 못하며, 속삭이지도 않고, 쉬지도 않으며, 짓지도 않고, 무너뜨리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보살이 우치법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승살타람(僧薩陀嵐) 생사법(生死法)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생사에 움직이지 않는다. 왜 그런가?
부처님의 도를 구하기 때문이니, 굳건히 머물러서 움직이지 않아 일체의 마군들이 능히 그 기회를 얻지 못한다.
일체의 모든 행에 집착함이 없음을 얻어 생사에도 평등하고 또한 부처님 법에도 평등하며, 작은 도를 좋아 하지 않고 큰 도를 평등하게 보아서 움직이지도 않고 또한 전전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보살이 생사법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이 니원타람(泥洹陀嵐) 멸도법(滅度法)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모든 습속(習俗)을 따라 열반의 도를 나타내고,
일체의 법을 알아 익혀서 멸하며, 열반에서 열반에 들지 않고,
열반에서 영원히 열반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보살이 멸도법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불설수진천자경 제4권
9. 게송품(偈頌品)
수진천자가 다시 문수사리 동자에게 물었다.
“어떻게 보살이 방편의 지혜를 지녀 자재하게 들어가는 곳마다 풍속을 따라 교화할 수 있습니까?”
이때 문수사리가 곧 천자를 위하여 게송으로 말하였다.
마음은 애욕에 집착됨이 없어
항상 위없는 도 구하는 데 뜻을 두고
뜻으로 익힌 것을 눈으로 다 보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일체 모두 뜻을 일으키게 하여
항상 이 도를 원하게 해서
마음을 도에 두어 버리는 바가 없으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일체가 사람이며 또한 사람이 아님을
지혜로운 이는 분명하게 알아서
모두 이미 청정하고 공적(空寂)하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일체의 사람들을 다 모아서
몸을 받아 집착이 있는 모든 이를
도덕으로써 성숙(成熟)시키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몸이 본래 공(空)함도 이와 같아서
근본도 없고 보는 바도 없어
3계[三場]에 의지하여 이미 청정하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모든 가진 것을 다 은혜로 보시하되
머리와 눈과 몸 및 보배까지 해서
일체를 위해 소원을 세우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청정하게 적묵(寂黙)을 좋아하여
계(戒)에 대해 스스로 잘난 체하지 않고
몸ㆍ입ㆍ뜻이 모두 다 고요하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자기 몸에 계율을 모두 이미 갖추고
또한 계율을 지닌 이를 권하여 찬탄하니
부처도 모두 계를 따라 이루므로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나’가 없으므로 법의 지혜(法忍)를 얻고
일체의 4대(大)도 모두 공하여
몸과 입과 뜻에 모자라거나 샘[漏]이 없으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또한 몸과 입에 베풀어지지 않아서
마음이 이에 어지러움을 일으키지 않고
일체의 법이 모두 적정(寂淨)하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항상 일체의 사람들에게 인욕하여
만약 꾸짖고 욕하며 매질을 당하더라도
일체를 불쌍히 여겨 보호하여 버리지 않으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일체의 복(福)을 다 알고 믿어서
일체의 사람들에게 모두 권면(勸勉)하여
항상 도궤(道軌)를 살펴 행하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항상 삼매를 평등하게 행하여
애욕을 모두 다 없애고
버릇과 집착을 하지 않으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좋아하는 선정을 모두 버려두고
성곽(城郭)에 나타나 다니는 것은
일체를 불쌍히 여겨 인도하려는 까닭이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여기에도 있지 않고 저기에도 있지 않고
이미 바로 중간에 머물러
옳지 못한 소견을 곧 여의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항상 공(空)을 싫증내지 않으면
이런 이는 공을 밝게 아는 것이라
곧 모든 사람들을 불쌍히 여겨 보호하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모양과 법이 없어야 이에 부처를 보기에
평등이 보기를 허공과 같이하여
빛과 모양에 머무르는 바가 없으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이미 만억 부처님을 공양하고도
일체를 위해 부처님을 공양하여
다 이미 부처님 상호를 얻었으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법이 청정하여 음욕의 티끌이 없고
평등하게 보기를 허공과 같이 하여
이와 같이 법을 지니는 바가 없으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법계에 이미 머물러
짓는 바는 항상 구경(究竟)이어서
이에 움직이고 흔들리지 않으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일체의 사람들이 알 수 없고
그 법의 이치도 모두 그러하여
살펴보면 근본과 끝이 공하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태어남도 없고 또한 멸하지도 않으며
일체의 법을 다 깨우쳐 알며
가지도 않고 따라 옴도 없으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살아가는 곳에서 항상 편안하여
5음(陰)에 대해 색욕이 없고
항상 일체를 다 보호하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항상 비고 한적한 곳에 있으며 익혀서
‘나’와 ‘법’이 없고 지음[造立]도 없으며
항상 선(禪)을 닦아 삼매를 받드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마을[丘聚]이나 성곽(城郭)에서
부드러운 음성으로 가르쳐 주되
설법하는 것을 싫증내거나 게으르지 않으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3세(世)에 두려워함이 없고
괴로움과 즐거움에 머무는 바가 없어
스스로 몸을 조복해 감관[根]이 이미 고요하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대중 가운데서도 마음이 똑같이 안정되며
근심 걱정 가운데서도 뜻이 또한 그러하여
그 가운데서 몸을 다 나타내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걸림 없는 지혜를 모두 이미 행하여
언제나 명자(名字)에 머물지 않고
허공처럼 평등하여 말할 것이 없으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애욕의 속박 속에서도 나타내어
법의 가르침을 사람들에게 주어서
항상 삼보(三寶)를 찬탄하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신통으로 공덕을 행하고
항상 마음을 조복하여 고요한 삼매에 들며
스스로 가운데 처하여 높거나 낮지 않으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신통으로 날아다니는 변화를 구족해
곧바로 억(億) 개의 찰토(刹土)에 이르러
막대한 수의 부처님을 공양하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음개(陰蓋) 보기를 허깨비처럼 하고
애욕에서 색(色)에 집착함이 없어
곧바로 모든 마군을 멸하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여러 마군을 나타내 보이고
보이고 나서 곧바로 버리고 여의어
그 가운데서 일체를 제도 하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항상 해탈문을 가까이 하여
곧바로 공(空)하여 생각[思想]이 없음을 얻어
마땅히 보시할 곳에 보시하길 원하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성낼 것에 대해 성냄이 없고
어리석지 않은 지혜를 모아서
자라고 더함이 없어 ‘나’가 생겨나지 않으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마땅히 할 일을 이미 다하여
항상 뭇 지혜를 받들어 행하고
모든 바라밀을 다 지나가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비록 탐욕의 어리석음을 나타내더라도
거역하는 영리하지 못한 근기를 깨우쳐
이로써 일체를 보호하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열반 같은 평등을 얻어
곧바로 능히 한곳에 쌓임[叢聚]을 없애고
이미 3계(界)를 항복했으니
이런 까닭에 지혜의 모양이 되며
이 세간의 생사의 쌓임에서
일체의 사람들이 바로 벗이라
지은 바 복을 만족함이 없으니
이런 것이 훌륭한 방편의 모양이며
8정도[八直]로 인하여 공적(空寂)함이
이것이 바로 보살의 지혜이니
지혜와 권(權) 방편으로
이 승(乘)을 따라 부처[世雄]를 이루며
훌륭한 방편과 지혜를 행하여
나지도 않고 또 있지도 않으며
지혜와 훌륭한 방편으로
덕(德)과 혜(慧)에 이르러도 잘난 체하지 않으며
지혜와 훌륭한 방편의 지혜가
항상 서로 따르고 더불어 나란히 행하여
두 마리 소가 한 수레를 함께 하듯
위없는 법의 밭[法田]을 깨닫네.
불설수진천자경 제4권
10. 도류품(道類品)
수진천자가 다시 문수사리 동자에게 물었다.
“도는 어떤 것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내가 있는 곳이 바로 도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떤 곳이 바로 도가 있는 곳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적정함이 바로 도가 있는 곳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무엇이 이 도의 모양[相]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허공이 바로 도의 모양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도는 어떤 곳에 머물러야 도가 됩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허공에 머무는 것이 곧 도가 된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도는 누가 세웁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도는 모든 법으로부터 세워진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무엇이 이 도의 근본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평등이 곧 도의 근본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법이 무엇을 가져야 도가 됩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나[我]’ 없음과 ‘남[人]’ 없음을 가졌으니, 그런 까닭에 도가 된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느 곳이 도와 더불어 평등합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나는 바가 없고 일어나는 바가 없으면 곧 도와 더불어 평등하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도는 가서 어느 곳에 이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도는 가서 일체 사람 마음의 여러 가지 행하는 가운데 이른다. 왜 그런가? 행하는 바도 없고 또한 이르는 바도 없기 때문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도는 어느 곳에서 나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대비(大悲)가 곧 도가 나오는 곳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대비가 바로 도가 나오는 곳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일체를 제도하는 것이 바로 대비이니, 도가 나오는 곳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도는 무엇을 좇아 구합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도는 일체의 애욕 가운데서 구한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애욕이 도를 낼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8정도[八直行]를 청정히 하기 때문에 도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8정도와 애욕을 함께 합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이와 같이 8정도와 애욕이 함께 하니, 그대는 장차 도의 청정함만을 찬탄하겠는가?
음(婬)ㆍ노(怒)ㆍ치(癡)가 소멸되어 다한 까닭에 도이니, 마치 애욕을 행하는 것처럼 도를 행하는 것도 그러하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이 행 가운데서 무엇을 하여야 도와 더불어 합치됩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이 행 가운데서는 애욕도 얻을 수 없고 생사도 얻을 수 없으며 또한 열반도 얻을 수 없으니, 이런 까닭에 도이다. 도가 행하는 것이라야 도에 합치될 수 있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무엇이 이 보살의 행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62견(見)과 네 가지 뒤바뀜[顚倒]과 다섯 가지 뒤덮임[覆盖]의 일체 공덕 없는 것들이 바로 보살의 행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이 일은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훌륭한 권도(權道)의 방편으로써 널리 들어가는 곳에 따라 일체를 제도하고자 하므로 일체의 구할 바를 오직 모든 견(見)과 애욕과 네 가지 뒤바뀜 가운데서 구한다. 왜냐하면 일체가 이 가운데로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일체를 구하고 찾지만 알 수 없으며, 또한 소견(所見)도 알 수 없으며, 애욕도 알 수 없으며, 네 가지 뒤바뀜도 알 수 없으며, 일체도 아니고 또한 일체가 아닌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일체를 보호하여 벗어나게 하기 때문이다. 이
와 같으니 천자여, 마땅히 이렇게 알아야 한다.
보살의 도는 애욕 가운데서 구하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보살은 세 해탈문(解脫門)을 따르지 않고 도를 구합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공(空)을 좇아 도를 이룰 수 없으며, 또한 모양 없음[無相]을 좇아 도를 이룰 수 없으며, 또한 원 없음[無願]을 좇아 도를 이룰 수 없다.
왜냐하면 이 가운데에는 마음[心]ㆍ뜻[意]ㆍ의식[識]이 없고 생각[念] 또한 움직임이 없기 때문이니, 마음과 뜻과 의식이 있고 생각이 움직여야 이에 그 도를 이루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행하여야 도라고 합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어리석음이 도와 더불어 평등하고, 도가 어리석음과 더불어 평등하니, 이 평등함을 행한다면 곧 도와 평등하다고 할 것이다
바른 소견[直見]에도 평등하고 삿된 소견[邪見]에도 평등하며,
바른 생각[正念]에도 평등하고 삿된 생각에도 평등하며,
바른 말[直語]에도 평등하고 삿된 말에도 평등하며,
바른 삶[直活]에도 평등하고 삿된 삶에도 평등하며,
바른 업[直業]에도 평등하고 삿된 업에도 평등하며,
바른 방편[直方便]에도 평등하고 삿된 방편에도 평등하며,
바른 뜻[直意]에도 평등하고 삿된 뜻에도 평등하며,
바른 선정[直定]에도 평등하고 삿된 선정에도 평등한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바른 소견이 삿된 소견과 더불어 평등합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허공과도 평등하고 적정(寂靜)과도 평등하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허공과 적정이 어떤 차별이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허공과 평등하지 않으며 허공과 평등하니, 여기에 어찌 다름이 있겠는가.”
천자가 문수사리에게 답하여 말했다.
“허공과 평등하지 않으며 허공과 평등하여 진실로 다름이 없습니다.”
문수사리가 말했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허공과 적정이 딱 맞게 평등하여 다시 다름이 없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찌하여 평등을 말하면서 다시 칭찬하고 기리며 찬탄하는 차별이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생각[思想]이 없이 지은 바를 인하여 스스로 잘난 체하면 곧 다름이 있어서 칭찬하고 기리며 찬탄함에 이르지만, 설령 생각이 없이 지은 바를 인하여 스스로 잘난 체하더라도 이 이치와 모양을 아는 이는 다름이 있지 않다.
비유하면 마치 천하에 만 갈래의 내[川]와 사방의 흐름[流]이 각기 이름[名]이 있지만 모두 바다로 돌아가 합쳐져 한 맛[味]이 되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다름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법계를 분명하게 깨닫지 못한 이는 곧 다름이 있다고 부르짖겠지만, 법계를 분명하게 깨달은 이는 곧바로 보아서 다름이 없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법계는 어찌해야 보아서 알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법계는 가히 보아서 알 수 없다. 왜냐하면 일체의 모든 법을 전부 합하여 모았기 때문이다. 법계에서는 서로 알지 못한다.
이 법계에서 평등한 생각[念]으로 3세(世)의 지혜를 얻으면 이것이 곧 법계의 처소(處所)이며, 번뇌로 어지럽고 망설이는 마음을 버리면 이것이 곧 처소를 아는 것이며, 어지럽게 말하는 이는 끝내 그것을 받지 못하니 곧 그 처소를 아는 것이다.
비유하자면 천자여, 색상(色像)이 없는 것에서 모든 색(色)을 다 보는 것과 같으니, 이 색(色)은 또한 없는 것과 같아서 마치 허공과 같다.
이와 같으니 천자여, 법계는 매우 청정하고 티가 없어서 마치 거울로 그 얼굴을 보는 것과 같으며, 보살은 일체의 모든 법을 다 보아서 이와 같은 모든 법과 법계가 똑같이 청정함이 마치 허공과 같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은 말 잘함[辯才]의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공(空)한 몸[身]의 지혜로서 모든 소견을 끊는 바 없이 스스로 그 몸을 나타내어 일체의 사람들을 위해 덧없는 법[無常法]을 말해주어서 이 몸을 떠나게 하니,
이것이 바로 보살이 말 잘함의 지혜를 얻어서 소유(所有)가 공함을 알아 일체에 대해 모두 소유함이 없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은 모든 법을 분별할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공적(空寂)을 알아 몸이 있음[有身]과 몸이 없음[無身]에 대해 다르다는 생각을 짓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살이 모든 법을 분별할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은 도사(導師)가 될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법에도 머물지 않고 또한 머물지 않는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천자여, 보살이 도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떻게 보살은 한 가지 일을 알아서 수 없는 일을 깨달을 수 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생각[思想]이 없어서 움직이거나 흔들리지 않으니, 그러므로 보살이 한 가지 일을 알아서 수 없는 일을 깨달을 수 있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보살은 어찌하여 능히 유요(有要)할 수 있어서 3품(品)에 들어감을 나타냅니까?
무엇이 세 가지인가?
즉 정요(正要)에 평등하고 불요(不要)에 들어가며 사요(邪要)에도 들어가는 것입니다.”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정요에서 불법에 들어가고 불요에서 성문과 벽지불의 지위에 들어가며 사요에서 일체에 들어가 제도한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보살은 어찌하여 한가한 데 머물기도 하고 또한 분주한 데 머물기도 합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보살은 한가함에 힘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어째서 바로 그렇게 하지, 무슨 까닭에 분주한 데 들어갑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모든 것은 분주하기 때문에 거기에 머물러 나타내 보여서 중생들을 길러 한가함을 얻게 하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일체를 두루 보기 때문이다.
천자여, 성문들의 해탈은 자기의 몸을 위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바로 한가함을 얻기 위해서다.
보살은 이 가운데 있지 않으면서 나타내 보이고, 또 다시 저 분주한 이가 모두 와서 도를 얻으므로 보살이 가서 나타내 보이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어진 이[仁者]께서는 지금 한가함을 얻었습니까, 분주함을 얻었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나는 분주하지도 않고 또한 한가하지도 않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무슨 까닭에 그렇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나는 이를[至] 곳도 없고 얻을 것도 없지만 한가한 곳에서 한가하지 않으며, 잠깐 동안도 아니고 한때도 아니지만 생사에 구애를 받는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이 법언(法言)을 말하는 것은 마군의 판[魔場]을 항복하기 위해서 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진실로 그렇다.
천자여, 그대가 말한 바와 같이 이 법언을 말하는 것은 마군의 판을 항복하기 위해서이다.
어째서 그러한가?
천자여, 이와 같은 법언은 5음(陰)을 인식하지 않고, 또한 애욕에 대해 버리는 바가 있지 않으며, 또한 해탈에 대해 일으킨 바가 있지 않고, 또한 해탈을 가까이 하지도 않지만 다른 도[異道]를 항복한다. 어째서 그러한가?
천자여, 일체의 다른 도의 행이 그 가운데 있지 않아서 굳건히 법의 꽃을 세우는 것이다.
왜냐하면 무명(無冥)이 모두 다 밝아지기 때문이니, 법의 바퀴를 굴려서 일체의 모든 소견을 끊을 뿐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이 법언을 말함에 몇 사람이나 법의 세상을 아는 이가 있겠습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어떤 세상도 어둡지 않음이 없으니, 이것이 바로 법의 세상이 짓는 바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세간 사람이 이 법언을 듣고 해탈을 얻기를 만나기는 매우 어렵겠습니다.”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그 세간의 속박을 싫증내지 않는 이는 이에 이 법을 믿어서 해탈하지 않음이 없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세간의 속박을 싫증낸다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음(婬)ㆍ노(怒)ㆍ치(癡)를 멀리하여 애욕을 버리며, 괴로움을 깨달아 알고 해탈을 구하려는 것, 이것이 곧 세간의 속박을 싫증내는 것이다.”
천자가 다시 물었다.
“문수사리여, 누가 다시 세간의 속박을 싫증내지 않는 이입니까?”
문수사리가 대답하였다.
“천자여, 음ㆍ노ㆍ치에 평등하고, 애욕에 평등하고, 해탈에 평등하니, 그러므로 세간의 속박을 싫증내지 않는 것이다.”
이에 모인 대중들은 법언을 말함을 듣고서, 뛰면서 모두 기뻐하지 않음이 없었다.
이때 하늘꽃과 전단향(栴檀香)이 비처럼 내리고, 모든 하늘들도 의극(衣祴)을 잡고 꽃과 향을 담아 부처님과 문수사리 위에 흩뿌리고, 풍류와 노래로 와서 부처님께 공양드리며, 또한 억 백천의 여러 하늘들은 유연(柔軟)한 소리로 부처님을 찬탄하였고, 다시 허공에 의복을 흩날리면서 지금 다행히도 이 법문 들었음을 기뻐하여 뛰는 것이 갑절은 더하였다.
이때 모인 대중과 일체 사람들은 이 변화를 보고 모두 꽃과 향 및 의복을 세존과 문수사리 동자 위에 흩뿌리며 곧바로 이렇게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이 법언을 듣고도 믿어 알지 못하는 이는 부처님을 만나지 못할 것이며,
이 법언을 부처님 말씀이 아니라고 하는 이는 수염과 머리를 깎고 훌륭한 계율을 지닌 이가 아닌 것이며,
소리 높여 읽고 외우지 않을 것이며,
또한 믿고 좋아하지 않을 것이며,
사문도 아니며, 또한 법을 따르는 바라문도 아니다.
이 무리들은 4덕(德)도 없고 또한 명자(名字)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이 법언을 듣고 보살마하살과 최상(最上)보살의 갖가지 공덕을 믿는 이는 생사의 근본을 다하고 모든 악도(惡道)를 끊어 과거와 미래와 현세의 부처님 세존에게서 이 법을 얻어 지녀 굳건하게 머무를 것입니다.
이 법을 듣고 이를 인하여 모두 해탈할 것이며, 받아 지니고 크게 읽고 외워서 널리 일체를 위하여 그 이치를 해설하는 이는 바로 계율을 지님이 청정하여 구족한 것입니다.
바로 부처님을 만나 뵌 것이며, 바로 법바퀴를 굴린 것이며, 바로 사문이 되며, 바로 바라문이 되며, 바로 수염과 머리를 깎은 것이며, 바로 훌륭한 계율을 받은 것이며, 바로 얻은 바가 있는 것이며, 바로 명자가 있는 것입니다.”
이때 세존께서 무리들이 모인 가운데 칭찬하여 말씀하셨다.
“훌륭하구나, 훌륭하구나.”
이에 부처님께서 미륵(彌勒)에게 말씀하셨다.
“이 법을 받아 지녀서 마땅히 크게 읽고 외워 널리 일체를 위해 말해주어라.”
이 경을 말씀하실 때 12나술(那術))의 사람들은 티끌[塵]을 멀리하고 때[垢]를 여의어 모든 법에 법안(法眼)이 생겼으며, 8천의 비구들은 샘[漏]이 다하고 뜻이 풀렸으며, 3만의 보살들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일으켰으며, 5만의 보살들은 비롯됨이 없는 법인(法忍)을 얻었다.
부처님께서 미륵에게 말씀하셨다.
“그대가 부처님이 될 때 일체 보살 및 모든 모인 이들에게 모두 마땅히 이 법을 얻어 받들어 지니게 해서, 이 깊은 경을 듣고서 받아 지닌 이에게는 그대가 마땅히 그 수기를 주어야 한다.”
이때 세존은 현자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 법언품(法言品)을 써서 지니고 크게 읽고 받아서 널리 일체를 위하여 말해주어라.”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오직 받아서 지니겠습니다.”
아난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이것을 무슨 경이라고 이름하며, 어떻게 받들어 행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경을 ‘수진천자가 물은 것’이라고 이름할 것이며,
이것을 ‘문수사리동자가 대답한 것’이라고 이름할 것이며,
이것을 ‘일체의 모든 법에 대한 여우같은 의심을 끊음’이라고 이름할 것이며,
이것을 ‘일체의 모든 불법에 두루 들어가는 방편의 지혜’라고 이름할 것이니,
분별하여 밝히며 가르쳐 준 것을 지니되, 마땅히 지니기를 자세히 살펴 지니고, 지니기를 진실하게 지녀야 한다.”
이 법언(法言)을 말씀하실 때에 삼천대천의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찰토(刹土)가 여섯 가지로 진동하였다.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고 나자 문수사리 동자와 수진천자와 미륵보살 등과 현자 아난과 모여 있던 많은 무리들의 하늘과 사람 및 건달바와 아수라와 아수라의 사람들이 모두 크게 환희하며 부처님 앞에 예배하고 물러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