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의견을 올리기 전에 인터넷에서 검색되는 송이버섯 원산지 표기와 더불어 중국산 북한산 송이버섯에 대한 평가에 대한 의견부터 보시죠.^^
중국산 송이버섯 판매감소
일본기사
2007/09/10 04:02
http://blog.naver.com/poliyoon/30021982204
이 포스트를 보낸곳 ()
일본내중국산식품에대한불안감확대중국산송이버섯판매감소
일본의 가을식탁을장식하는송이버섯시장에 이변이생기고있다. 일본내송이버섯판매량의대부분을차지하고있는중국산송이버섯이 중국산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확대로인해일부슈퍼에서모습을감추고있다고6일 쿄토신문이 보도했다.
2002년중국산송이버섯에서기준치를 초과하는 잔류농약검출로 인한 중국산송이버섯 검역강화와 중국산식품의 유해물질의지속적인검출로인해올해중국산송이버섯판매량이 큰폭으로하락하고 있다. 일본내 최대 청과시장인 토쿄오오타시장(大田市場)의 송이버섯도매업자는 8월중국산 입하량이전년대비 40퍼센트정도 감소했다고 말했다.
거대
슈퍼체인이토요카도(イトーヨーカ堂)는중국산송이버섯의판매유무를결정하지않았지만, 중국산송이버섯을대체할수있는가격이 비슷한 카나다산송이버섯을 함께판매하고있다고말했다.
또한간사이지역슈퍼체인후레스코의상품부담당자는, 현재취급하는 송이버섯 중 중국산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중국산식품에 대한 이미지 저하로 판매수량이 전년동기와 비교해서 20-30퍼센트감소、10월본격적인송이버섯시장의시작과함께 한국산과 북미산송이버섯취급을확대할것이라고밝혔다.
소고백화점코베점의경우는중국산판매를중지, 카나다산과미국산, 멕시코산을판매하고있으며, 다이마루백화점코베점은중국산을대체할카나다산을판매하고있다.
[출처]중국산 송이버섯 판매감소|작성자폴리
중국산 송이버섯
일본의 타베모노
2007/09/25 11:18
http://blog.naver.com/ekjungmin/110022516969
이 포스트를 보낸곳 ()
일본인들이 송이버섯을 좋아해서 그런지
중국산, 케나다산 송이버섯이 자주 눈에 띤다.
한국에선 송이가 너무 비싸서 먹기 힘들었는데
역시 중국산이라 싸다. 980엔
근데 향이 너무 약해서 송이버섯이라고 하기엔 좀...
[출처]중국산 송이버섯|작성자초록구름
위의 의견에 더불어 버섯돌이 의견을 적어 보겠습니다.
우선 일본내에서도 한국산이 가장 호평을 받습니다.
이유는 무엇일까요?
품질면에서 다른 나라 송이버섯이 우리나라 송이버섯을 따라올 수 없다는 겁니다.
향과 맛, 씹는 느낌, 신선도 등 어느 나라의 송이버섯도 한국산 송이버섯을 따라올 수 없습니다. 송이버섯의 최고 소비 국가인 일본에서 인지도를 보시면 됩니다. 물론 일본에서도 자국의 송이버섯이 있지만, 한국산 송이버섯이 제일 고가로 거래되는 실정입니다.
예전 불과 20-30년 전에 송이버섯은 국내 소비가 전무한 상태였습니다.
왜 그럴까요? 예전에는 수출품목 중 고가인 물건들은 국내 시장에서 소비되기에는 불가? 마음이 아픈 이야기지만, 더불어 국내 판매 자체를 제한하는 정책도 있었습니다.
생각해 보세요. 농산물, 수산물, 임산물 중에서 제일 좋은 상품은 일본이나 기타 소위 잘 사는 나라에 우선 수출이였습니다. 일단 다른 이야기는 접고 이제는 우리나라도 경제적으로 많은 성장과 더불어 먹고 살기 위한 생활 보다는 좀더 잘 먹고 잘 살기 위한 생활 패턴으로 바뀌고 있지요.^^ 생각해 보세요 예전에는 우리 것 보다 다른 나라에서 수입한 물건이 좋다라는 인식에서 지금은 우리 자연에서 나는 것이 가장 좋다는 건 누구나 공감하리라 봅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국민들도 먹거리에서도 가장 좋은 품질의 물건을 저렴한 가격에 드실 이유가 충분히 있다고 봅니다.
한우가 좋지요, 미국산 쇠고기와 호주산 쇠고기는 한우에 비해 가격이 쌉니다.
한우가 그냥 가격만 비싸다면 한우를 찾지 않겠지요. 품질이 좋겠지요.
그런데 외국산 소위 작업 소들이 문제입니다.
미국산 호주산 다 좋습니다. 하지만 ^^ 얘기 안 하더라도 소와 관련된 일들로 인해 국가와 국민 홍역을 치뤘습니다. 송이버섯도 위와 비슷한 점이 없지 않습니다.
비교해 보세요. 중국산과 한국산 어느 것이 좋을까요? 물론 물건의 품질을 정확히 비교해 보아야 하겠지만, 현재 중국에서는 태어나서 처음으로 먹는 분유에서부터 돈이 된다면 인공적인 달걀도 만들고, 납 꽃게 비단 이것뿐이겠습니까? 쏟아지는 보이차 솔찍히 작업차와 더불어 엄청난 시세 차익을 노려서 먹는 것으로 장난치는 나라가 바로 중국입니다.
수없이 몸에 좋다고 먹었던 바로 그 차가 수없이 많은 인위적인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욕심의 산물이라면 차라리 그냥 물 먹는 것이 가장 좋을 수도 있지요.^^
물질에 대한 욕심으로 팽배한 것이 현재 중국의 전체 모습은 아니더라도 때로 중국산이라고 하면 생길 수 있는 편견들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우해선 중국과 관련되는 수출 수입업자들이 잘하셔야 할 겁니다. 물론 중국 사람들 중에는 좋은 품질의 제품을 양심 있게 취급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국내로 들여와서 유통시킬 때도 중국산 송이버섯이라고 하고 파시면 문제가 없지요, 단지 수입되는 기간에 따라 품질이 약간 떨어지고 향과 맛의 변화가 온다는 건 감안 해야 됩니다. 그에 따라 가격이 저렴하니까 보완이 될 수 있지요.
북한산 송이버섯도 똑 같습니다. 북한산은 북한산으로 중국산은 중국산으로 제대로 평가 받고 원산지 속이지 않고 판매되면 괜찮겠지만, 작업?(원산지 속이기)을 통해 원산지가 바뀌는 유통구조가 마련되어서는 안 됩니다.
말이 길었습니다.
우선 원산지와 관련 국내산 송이버섯의 구분법은
첫째, 송이버섯의 특성상 향이 중요합니다. - 송이버섯의 향을 맡아 보시면 됩니다.
(당연히 유통구조가 짧은 국내산 송이버섯의 향이 제일 좋겠지요)
둘째, 송이버섯의 머리 부분이 유통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색변화가 옵니다.
머리 부분이 말라 있습니다. 아래 사진 참고
셋째, 한국산 송이버섯은 뿌리 부분에 흙이 있습니다-중국산이나 북한산은 통관절차에 따라 뿌리 부분에 흙이 제거 됩니다.
넷째, 송이버섯을 잘랐을 때- 색이 유백색, 우유빛, 그냥 하얗게 빛깔이 좋고 탄력성이
있는 송이가 신선한 송이버섯입니다.
다섯째, 송이버섯의 사진을 통해 많이 시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우리 공간에 있는 사진 전부 순수 한국산 송이버섯 사진입니다. 지금 제시하는 사진을 제외하고...)
위와 같은 구분법을 잘 인지하더라도 가장 중요한 것은 송이버섯을 판매하시는 분과 더불어 우리 송이버섯의 좋음을 알고 우리 송이버섯을 많이 드시는 소비자분들도 역시 중요합니다. 아무리 우리 송이버섯의 우수성이 있다 할지라도 찾지 않고, 무조건 저가, 무조건 고가의 송이버섯을 찾는 것은 송이버섯 산업 자체를 힘들게 합니다.
<내용출처 : 본인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