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 리 말
불교는 깨달음에 의해 스스로 대 자비심이 발로케 되어 행함을 指示(지시)해 주는 종교인 것이다.
번역이나 교정이나 강설의 의의는 독경하는 이들의 이해를 도우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바라 원문인 중국어로는 그 뜻이 모두 한문가운데 포함되어 있어 어조사(토씨)는 본래 따로 붙일 필요가 없어 중복되는 것이나 우리 불자들의 이해를 도우기 위해 덧붙여 쓴 바라 고어 방식의 어조사가 오히려 어려움을 더 하는지라 고쳐 쓰고 띄어쓰기 또한 그렇게 교정하였다.
석가 세존께서 설하신 8만 4천의 방대한 一大示敎(일대시교) 가운데 “금강경”은 그 모두를 집약 함축한 요체인 심경인 것이다. 금강경은 세존이 21년 강설하신 6백부 대반야경 4처[왕사성 취봉산, 기수급고독원, 타화자재천궁 마니보장전, 왕사성 죽림원(精舍-정사) 백로지변] 16회 설법 가운데 제9회 577권에 해당되는 진공무아의 공사상을 열어 보이신 것이다. 소승사상인 유, 아, 법집(有我法執)을 타파하고 무소입 무소주 무소득으로, 금강무구의 청정불심을 깨우쳐 대승의 일성 원통의 도리를 증득하여 자리이타, 각행원만의 보살도를 원만 성취하게 한 교시인 것이다. 그러나 금강경이 교전임이 분명하지만 禪(선)의 소의(所依) 경전으로 삼는 까닭은 반야는 모든 법의 근원이 되고 역대 현성의 불심이며 중생의 근본 마음바탕인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금강경은 작은 법을 버리고 큰 도에 들어가는 관문이 되고 삿된 법을 등지고 바른 도에 나아가는 길이며, 일체 고해를 건너고 세상을 구하는 배가되며 魔(마)를 물리치고 法徒(법도)를 부르는 신비한 진언이 되는 심지법문이기 때문에 무상의 理(이)를 체인하며 무주행을 실천케 하는 경전인 것이다. 여기 이 五家解(오가해)는 다섯 분 대덕(규봉종밀선사의 찬요, 육조혜능선사의 구결(口訣:要義-요의), 쌍림부대사의 제강송, 야부도천선사의 착어송, 예장종경선사의 제강)의 주해와 우리나라 함허당 득통선사의 설의와 이 산승(淸峯-청봉)의 강설과 착어를 포함 7가해가 된다.
종밀선사의 찬요는 교학적인 측면을 포함 4상을 청소하고 3공혜를 들어 그 종지를 들어냈으며, 6조선사의 解義(해의)인 구결은 선적 실천과 체험을 중심으로 하여 금강경의 자아구현과 창조의 구현을 지시해 진리를 드러내셨다.
부대사의 송은 선의 일체를 노래(偈頌-게송) 가운데 드러냈으며 야부대사의 송 가운데는 활구선 조사선의 응현무방 묘방자재함이 내포돼 있다.
종경선사 제강은 이론적 교의 뜻을 벗어나 선적 체험의 세계에서 문자로써 실상반야를 시현한 것이며 함허당 득통선사의 설의는 마음바탕에 의한 제시이다.
끝으로 여섯 선지식의 경륜을 살펴보면
쌍림 傅大士(부대사497~569)는 양 나라 사람으로 속성은 傅(부)씨이고 이름은 翕(흡), 자는 현풍이며 16세에 결혼해서 24세 때 인도 스님 嵩頭陀(숭두타)를 만나 불교에 귀의했다. 낮에는 품을 팔고 밤에는 처(묘광)와 함께 정진하여 속가에 있으면서 크게 깨우치신 분이다. 양무제가 지공화상에게 금강경 강설을 청하자 부대사를 추천, 부대사는 법좌에 올라 법상을 들어 한바퀴 돌리고(49송을 唱頌-창송)나서 문득 가버리자 지공은 무제에게 이 사람은 미륵의 분신이라 한 일화로 유명한 분이다. (이 금강경에는 70송이 있다)
육조 혜능선사(638~713)는 당나라 남해 신흥인으로 속성은 盧(노)씨이고 황매산 5조 홍인대사로부터 인가와 의발을 전수 받은 분이며, 금강경을 읽고 있는 객승의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마땅이 주한바 없이 그 마음을 쓰라 )이란 소리에 홀연히 마음이 열려 황매산 5조를 찾아 깊이 깨달은 뒤 5조로부터 금강경 강설함을 듣고 확철히 깨친 분이다.
규봉 종밀선사(780~841)는 당나라 사람으로 속성은 何씨이고 27세 때 수주도원에서 참선 수행하여 징관(澄觀)국사의 제자가 되었으며 시호는 정혜선사이고,
예장 종경선사(904~975)는 북송인으로 속성은 왕씨이며 덕소국사에게 법을 얻어 법안종 제3조가 되었고,
야부 도천선사(생몰연대미상)는 송나라 사람으로 속성은 秋(추)씨며 이름은 三이고 군대의 궁수인 집방이라는 직에 있다가 동제 염수좌에게 법화되어 도천이라는 법호를 받고 정인 계성선사의 법을 이은 임제 6세손이 된 분이다.
함허당 득통선사(1376~1433)는 조선 초 충북 충주 태생이며 당호가 함허당이며 법호는 득통이다. 속성은 劉씨이고 속명은 守伊(수이)이며 호는 無準(무준)이다.
무학대사로부터 가르침을 받고 법을 이은 분이다.
금강경을 한문으로 번역한 구마라집(343~413)은 인도인으로 7세에 출가하여 대승경론에 밝아 후진의 장안으로 초빙되어 국빈으로 머무르며 13년 동안 경, 율, 논 등 3백8십 여권을 한역하였다. 이 금강경은 그가 가장 먼저 번역한 경으로 이 경을 번역해 마친 뒤 어느 날 병이 들었을 때 내 번역에 오류가 없으면 분신 후에 혀가 타지 않을 것이라고 했는데 그 뒤 세수 70세로 장안에서 입적하여 다비를 했더니 혀만 타지 않았다고 한다.
이토록 금강경 5가해는 선과 교의 불법대의이므로 불자라면 깊이 수지 독송하여 깨칠 지침서로서 경전 가운데의 백미(白眉)임을 알아야 하는 것이다.
참고로 무착 보살이 일광정에 들어 도솔천에 올라 미륵보살에게 금강경의 뜻을 물으니 80수의 게송으로 해석해주었다. 무착은 그것으로 무착론 2권을 지었는데 금강경을 18주로 나누어 해석했고, 그의 제자인 천친 보살이 다시 이것을 바탕으로 천친론 3권을 지어 27의단(27가지 의심을 끊어줌)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며 양무제의 소명태자가 32분으로 나누어 해설한 것이 오늘의 금강경 32분이니 본래 나누어 세존이 설법하신 것이 아님을 알아둠이 좋을 것이다.
德崇山 惠菴門人 淸峯 淸韻 合掌.
(덕숭산 혜암문인 청봉 청운 합장)
차 례
머리말 ....................................................... 5
金剛般若波羅蜜經五家解 序說 ..................... 11
(금강반야파라밀경오가해 서설)
曹溪 六祖禪師 序 ........................................ 33
(조계 육조선사 서)
豫章沙門 宗鏡提頌綱要 序 ........................... 40
(예장사문 종경제송강요 서)
金剛般若波羅蜜經 ....................................... 46
(금강반야파라밀경)
圭峰密禪師 䟽論纂要 幷序 ............................ 52
(규봉밀선사 소론찬요 병서)
冶父 (야부)..................................................... 65
宗鏡 (종경).................................................... 72
惠庵門人 淸峯 淸韻 序 ................................. 76
(혜암문인 청봉 청운 서)
제1분 법회가 시작된 연유 .............................. 81
제2분 수보리가 일어나 법을 물음 ................... 126
제3분 대승의 바른 종지 ................................. 147
제4분 머무른 바 없이 오묘하게 행함 ............... 164
제5분 여래를 실다운 이치로 봄 ....................... 184
제6분 바르게 믿는 마음이 희유함 .................... 197
제7분 얻을 것도 없고 설할 것도 없음 ............... 231
제8분 법성에 의하여 나옴 ............................... 248
제9분 하나의 상도 형상이 없음 ........................ 265
제10분 바탕을 깨끗이 함이 장엄임 ................... 287
제11분 함이없는 복이 뛰어남 .......................... 314
제12분 바른 가르침을 존중함 .......................... 324
제13분 법답게 받아 지님 ................................. 334
제14분 상을 여의면 적멸함 .............................. 362
제15분 경을 지니는 공덕 ................................. 434
제16분 능히 업장을 깨끗이 함 ......................... 457
제17분 결국 “나”라는 것이 없음 ...................... 475
제18분 한 몸 같이 봄 ..................................... 524
제19분 법계를 모두 교화함 ............................ 550
제20분 색을 여의고 상을 여읨 ........................ 559
제21분 설해도 설함이 아님 ............................ 567
제22분 가히 얻을 법이 없음 ........................... 581
제23분 깨끗한 마음으로 바르게 수행함 .......... 588
제24분 복과 지혜는 비교할 수 없음 ................ 599
제25분 제도하되 제도한 바가 없음 ................. 607
제26분 법신은 상이 아님 ............................... 618
제27분 끊어질 것도 멸할 것도 없음 ................ 634
제28분 받지도 않고 탐하지도 않음 ................. 642
제29분 행주좌와에 흔들림 없이 고요함 ........... 652
제30분 하나로 합한 이치와 현상 ..................... 659
제31분 안다는 소견을 내지 않음 ..................... 681
제32분 응신 화신은 참이 아님 ......................... 693
종경 제송강요 후서 ....................................... 730
청량대법안선사 송 ........................................ 737
육조 구결 .................................................... 742
맺 는 말 ..................................................... 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