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를 완료하고 Emule를 실행하면 "처음 실행 마법사"라는게 뜬는데 과감하게 "취소"를 누른다.
그럼, 초기화면이 다음과 같이 뜰 것이다.

- 먼저 할일은 서버 리스트를 정리하는 것이다.
현재 서버들은 거의다 가짜서버라고 보면 된다. 특히 미국서버들....
이들 가짜서버들은 마치 공유된 파일의 수가 많은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검색이나
다운은 실행되지 않는 서버이다. 따라서, 이들 가짜서버들을 서버리스트에서 제거하고
검증된 서버로 접속해야 한다.
아무 서버명에서 오른쪽 클릭하여 "모두제거" 를 클릭하여 제거한다.
그럼 서버리스트가 다 지워진다.
- 오른쪽에 "URL로 부터 server.met 업데이트"란에 http://www.gruk.org/server.met 를 입력하고
"업데이트"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서버리스트가 입력될 것이다.

- 서버리스트중에 접속할 서버를 선택해야 한다. 물론 사람들이 많은 서버에 접속한다.
서버리스트의 칼럼을 보면 "서버명", IP, 설명, 사용자, 최대사용자, 파일, ...
" 등등이 있는데 여기서 "사용자"가 현재 해당 서버에 접속중이 사용자 수를 의미하고
"파일"은 그 사용자가 공유중인 파일의 갯수를 의미한다.
- 따라서, "사용자"를 두번클릭하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고
다음과 같이 사용자가 제일 많은 서버에 접속한다.
"eDonkeyServer No2"서버가 제일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해당서버에 더블클릭하면 접속된다. 예전엔 많은 서버들이 있었는데
이젠 아래와 같이 3개정도의 서버들만 유지되고 있다. ㅜ.ㅜ

접속되면 로그창에 접속된 서버와 ID가 출력된다.
ID는 접속 PC의 회선상태등에 의해 결정되며 ID가 클수록 다운받는데 유리하다.
오른쪽 하단에 "eD2K:접속됨" 이라고 표시된다.
- Emule는 서버를 중계로하는 공유기능과 그렇지 않고 각각개인의
PC간에 독립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하는 Kademila네트워크 를 이용한 기능을 지원한다.
- 미국 저작권협회등등의 기관들의 압박으로 대형서버가 속속 문을 닫는 상황에서
Kademila네트워크가 유일한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 지금까지 설명한것은 전자에 해당하고 후자에 해당하는 Kademila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해선 메뉴중에 "설정"을 클릭한다.
그럼 다음과 같이 "일반"에 해당하는 창이 뜬다. 만약 아래와 같이 한글로
메뉴가 뜨지 않을 경우 "language" 란에 "korean"을 선택하면 한글로 바뀐다.

"일반" 과 "화면" 에선 별 건들것이 없고...
"접속"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는데... 건들것이 많다.
다운로드 용량을 대충 "1024"정도 쳐주고 (회선이나 PC가 받쳐준다면 많이 쳐주고)
업로드용량에 "30KB/s"정도 (물론 공유에 충실한다면 많이 쳐줘도 되지만 30정도가 적당하다.
너무 낮아도 염치가.. ^^;)입력하고 각각 제한속도에 체크해준다.
다른건 건들거 없고 "네트워크"에 Kad 란에 체크해주고 적용을 클릭한다.

그다음 설정할 것은 "디렉토리"이다.
"디렉토리"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emule를 통해서 받은파일과 임시파일을
어디에 저장할 것인지 입력할 수 있다. 전에 언급하였듯이 C:드라이브가
아닌 Emule를 설치한 용량이 넉넉한 드라이브를 지정하는것이 좋다.
본인은 I:드라이브에 다음과 같이 지정하였다.

그리고 "확인" 을 클릭하면 다시시작하라는 말이 나오고 다시시작한다.
다시시작하면 마찬가지로 서버리스트에서 제일 위에 있는 Razorback 3.0를
더블클릭하여 Ed2K에 접속하고, 메뉴에 "Kad"를 클릭하면 뜨는 창에서
오른쪽 상단에 "접속"을 클릭한다.

제대로 했다면 Ed2K및 Kad에 모두 "접속됨"이라고 표시된다.
이제, 원하는 파일을 찾고 다운받을 준비가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