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외고·국제고 졸업생들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이 평균 **70.26%**로 전년도보다 크게 상승했습니다.
2023년에는 진학률이 **67.2%**로 주춤했으나, 올해 분위기가 반전되면서 외고·국제고의 경쟁력이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진학률 상위 학교 TOP 10과 서울대 합격 실적, 해외 대학 진학 현황까지 심층 분석해 드립니다.
특히, 올해는 외고와 국제고 중에서도 국제고의 진학률이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국제고 평균 진학률은 72.74%, 외고는 **69.71%**로 집계되었습니다.
*베리스타알파기사를 참고했습니다.
🔎 외고·국제고 4년제 대학 진학률 상위 10개교 분석
진학률 1위는 청심국제고로, 졸업생의 **88.89%**가 4년제 대학에 진학했습니다. 특히 이 학교는 국내 대학뿐 아니라 해외 대학 진학률이 매우 높아 눈길을 끕니다. 다음은 2024학년도 외고·국제고 4년제 대학 진학률 상위 10개교입니다.
순위 | 학교 | 4년제 진학률 | 기타(재수 등) 비율 |
1 | 청심국제고 | 88.89% | 10.10% |
2 | 청주외고 | 87.10% | 6.00% |
3 | 전남외고 | 86.84% | 3.00% |
4 | 울산외고 | 86.23% | 3.60% |
5 | 세종국제고 | 82.61% | 3.90% |
6 | 전북외고 | 82.26% | 3.70% |
7 | 대구국제고 | 79.76% | 2.40% |
8 | 동두천외고 | 79.72% | 2.70% |
9 | 경남외고 | 79.19% | 2.90% |
10 | 충남외고 | 78.79% | 2.30% |
💡 분석 포인트
청심국제고는 해외 대학 진학자가 42명으로, 전체 진학자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국내 대학 진학자 수는 46명입니다.
청주외고와 전남외고도 높은 진학률을 기록했으며, 특히 지방 외고들도 좋은 성과를 냈습니다.
세종국제고는 올해 새롭게 상위권에 진입했으며, 높은 해외 대학 진학 비율이 특징입니다.
🎓 서울대 합격자 실적 분석: 대원외고, 한영외고, 명덕외고 톱3
외고·국제고의 서울대 합격 실적은 수시 중심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상위권 학교들은 대부분 수시 실적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순위 | 학교 | 서울대 합격자 수 | 수시 합격 | 정시 합격 |
1 | 대원외고 | 45명 | 24명 | 21명 |
2 | 한영외고 | 25명 | 21명 | 4명 |
3 | 명덕외고 | 23명 | 22명 | 1명 |
4 | 안양외고 | 19명 | 15명 | 4명 |
5 | 대일외고 | 18명 | 14명 | 4명 |
💡 분석 포인트
대원외고는 수시와 정시 합격 비율이 거의 동일하며, 서울대에 총 45명을 배출했습니다. 이는 외고·국제고 중 최고 실적입니다.
한영외고는 수시 합격에 강세를 보이며, 매년 꾸준히 서울대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명덕외고도 수시 위주로 서울대에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으며, 정시 합격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 해외 대학 진학 현황: 청심국제고, 경기외고 강세
외고·국제고는 해외 대학 진학이 활발한 고교 유형입니다. 특히 일부 학교는 별도의 해외반을 운영하여 해외 대학 진학을 대비하고 있습니다.
학교 | 해외 대학 진학자 수 |
청심국제고 | 42명 |
경기외고 | 29명 |
울산외고 | 13명 |
인천외고 | 11명 |
서울국제고 | 10명 |
충남외고 | 10명 |
💡 분석 포인트
청심국제고와 경기외고는 해외 대학 진학을 위해 별도의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두 학교는 해외 명문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울산외고, 인천외고, 서울국제고 등도 두 자릿수의 해외 대학 진학자를 배출했습니다.
📊 재수생 비율 분석: 경기외고, 부산국제고 상위
재수생 비율이 높은 학교는 주로 수도권 외고들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수도권의 높은 교육열과 기대 수준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순위 | 학교 | 재수생 비율 |
1 | 경기외고 | 45.14% |
2 | 부산국제고 | 38.41% |
3 | 과천외고 | 38.12% |
4 | 서울외고 | 38.10% |
5 | 고양외고 | 37.77% |
💡 분석 포인트
수도권 외고들은 재수생 비율이 높아 진학률 수치가 낮아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상위권 대학을 목표로 재수를 선택한 학생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경기외고는 재수생 비율이 45% 이상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 종합 분석
국제고의 진학률이 외고보다 높은 이유는 해외 대학 진학이 활발하기 때문입니다.
수시 중심의 서울대 실적과 해외 대학 진학 실적을 함께 고려하면 특정 외고·국제고의 경쟁력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재수생 비율이 높은 학교들은 상위권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출처: 베리스타알파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