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계획 ]
ㅇ 일자 : 2014년 01월 30일(목)
ㅇ 산행코스 : 광덕고개- 백운산(904)- 도마치봉(937)- 도마봉- 신로령- 국망봉(1,168m)- 국망봉 자연휴양림 하산
<산행거리 약 14km>
- 산행시간이 지체될 경우 신로령에서 국망봉자연휴양림으로 하산
ㅇ 시간계획
0715 지하철 2호선 강변역 '동서울터미널' 집결
0730 동서울 발 '사창리 경유 다목리'행 버스 탑승 (\9,800)
0900 광덕고개 하차/ 산행시작
1630 까지 국망봉휴양림 하산 완료 / 택시로 이동 터미널 이동
- 이동 택시 031-532-8902, 이동콜택시 031-531-2114, 이동택시 031-532-8934
1700 동서울 또는 상봉행 버스 탑승
1930 서울 도착/ 석식 후 해산
ㅇ 신청자격
- 1일 8시간 이상 동절기 산행 가능하신 분
ㅇ 준비물
- 철저한 동계 산행장비 : 방한/보온의류, 모자, 장갑(동계용), 선글라스, 아이젠, 스틱, 스패츠
- 중식 및 간식 취사도구 : 버너, 코펠, 중식, 행동식, 비상식
- 충분한 물 : 금번 산행 구간에는 물을 보충할 곳이 없습니다. 동서울 출발 이전에 물을 준비해야 합니다.
- 참가경비 : 실비 (버스 왕복 20,000원, 콜택시비 5,000원/대, 석식비용 1/n)
ㅇ 참가신청
- 본 글에 댓글로 신청하시고, 참여하시면 됩니다.
코스 소개 (월간 '사람과 산'에서 발췌)

<신로령으로 향하는 능선>
광덕고개~백운산~도마치봉~신로령
경기도 포천(抱川)은 한탄강을 품은 땅이기에 붙은 이름이다. 한북정맥의 주요 구간이 지나기 때문에 정맥의 땅으로 불러도 손색이 없다. 한북정맥의 산들 중에서 광덕산(1,046m), 국망봉, 청계산(849m), 운악산(936m) 등이 모두 포천에 자리하고 있다. 한북정맥 제2구간의 절반쯤 되는 이번 코스는 한북정맥에서도 백미로 꼽히는 구간이다. 특히 겨울에는 적설량이 많아 빼어난 설경을 자랑한다. 산행로 또한 선명하고 편해 정맥답지 않은 면이 있다.
백운산 정상에서 표지기를 잘 확인해서 흥룡사 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정맥 표지기를 잘 구별해서 동쪽 방향으로 길을 선택해야 한다. 이후 구간에는 곳곳에 헬기장이 있어 야영장소로 적당하다. 하지만 근처에 물이 없는 것은 아쉽다. 광덕고개에서 백운산, 도마치봉, 신로령을 타고 국망봉 자연휴양림으로 내려오는 길은 총 12.6km 정도로 쉬지 않고 걸었을 때 11시간30분쯤 소요된다. 심설산행은 보통 때 걷는 것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 산행계획을 잡을 때 구간 당 산행시간을 여유롭게 배분하는 게 좋다.
카페지기 주) 도마치봉 근처에 샘이 하나 있다.

<도마봉을 향해 가는 길>
산행 들머리인 광덕고개는 차량을 주차하고 이동하기 편하다. 중간에 있는 탈출로에서 콜택시를 이용해 다시 되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산행을 마친 뒤에도 불편하지 않게 이동할 수 있다. 날머리는 두 곳으로 흥룡사로 내려가는 길은 5km 이상 되고, 신로령에서 하산할 경우에도 2.5km쯤 내려가야 한다.
백운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흐른 백운계곡은 그 길이가 10km에 이른다. 연못과 기암괴석이 한데 어울려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계곡이다. 이곳에 광암정, 학소대, 금병암, 옥류대, 취선대, 금광폭포 등의 명소가 있다. 특히, 지난 겨울 9회째를 치른 백운계곡 동장군 축제는 지역의 대표축제로 자리 잡아 많은 관광객을 모으고 있다. 제10회 백운계곡 동장군 축제는 2013년 12월 28일(토)부터 2014년 2월 2일까지 백운계곡 국민관광단지에서 열린다.
문의: 031-535-7242,
교통
산행 들머리인 광덕고개로 가려면 동서울터미널이나 상봉터미널에서 사창리나 다목리행 버스를 타고 광덕산까지 이동한다.
동서울터미널에서 다목리행 버스는 오전 7시30분부터 오후 4시10분까지 8대가 있다. 요금은 다목리까지 12,300원이고, 소요시간은 동서울에서 광덕산까지는 1시간50분쯤 걸린다. 사창리까지 다니는 버스는 오전 6시50분부터 12시20분까지 8대가 다닌다. 요금은 10,400원이고, 소요시간은 동서울에서 광덕산까지 1시간50분쯤 걸린다.
카페지기 주) 도로사정이 좋아져서 동서울에서 광덕산(고개)까지 약 1시간 30분 소요됩니다. 요금은 \9,800 입니다.
자가용 이용시 서울에서 청계천로를 타다가 내부순환도로를 거쳐 북부간선도로를 타고 이동해 신내 나들목으로 나선다. 이후 금강로를 따라 50km를 가다 도평 교차로에서 우회전, 백운계곡 방면으로 11km 이동하면 광덕고개에 이른다.
이상. 월간 '사람과 산'에서 발췌
국망봉(1,168m) : 한북정맥 최고봉
국망봉 정상에서는 신로봉(982.5m), 도마치봉(937m), 백운산(903.1m), 광덕산(1,046.3m ), 회목봉(1,025.8m), 복주산(1,151.9m), 대성산(1,174.7m) 등 한북정맥을 떠받치고 있는 명산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상해봉(1,024m), 흥룡봉(778m), 가리산(774.3m), 번암산(840m), 각흘산(838.2m), 명성산(921.7m), 두류산(992.9m) 등도 보인다. 동쪽 방향으로는 경기 최고봉인 화악산(1,468.3m)이 빤히 건너다보이고 화악산이 거느리고 있는 중봉(1,446m), 응봉(1,436.3m), 애기봉(1,055.3m), 수덕산(796m), 석룡산(1,147m) 등도 건너다보인다. 남쪽과 남서쪽으로는 이곳 국망봉에서부터 거침없이 뻗어나간 한북정맥의 산줄기가 멀리까지 가늠되고 마디마디 솟구친 개이빨산(1,120m), 강씨봉(830.2m), 청계산(849.1m), 운악산(935m) 등이 조망된다.
첫댓글 혹시 일정이 언제 인지요?
공휴일 등 주중에 특별산행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프로필에서 닉네임을 [ sk렐라(본명) ] 으로 수정해 주세요... 성별과 전화번호도 넣어주시고요~ ㅠㅠ
1/30일 설날연휴 첫날에 잡았습니다.
그 이전에 눈이 펑펑 쏟아져 있기를 기원합니다. ^^
명절전날이라 부담되지만 며느리로소의 임무완수하고 특별산행 동참합니다^^
차두호,김화순,전미옥
며느리로서의 임무완수는.. 도시락으로 평가하겠습니다.
부럽...나두 시골 앙가고프다.........
ㅎㅎㅎ
[함께하는 분들]
강인철/ 김화순/ 차두호/ 전미옥/ 최선경/ 이종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