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에너지 자원의 종류와 문제점 Ⅳ. 자원의 개발과 이용 |
교과서 66~69쪽
* 자원은 인간 생활에 꼭 필요하다. 갈수록 자원의 소비는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자원은 유한하다. 유한한 자원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또한 에너지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지구 온난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 자원이란 자연 상태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자연물 중에(자연에 있는 것 중에서), 인간에게 유용하게 이용되는 것으로(인간 생활에 쓸모가 있는 것으로), 기술적 · 경제적으로 개발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 자원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개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가치가 있어야 한다. → 좁은 의미의 자원은 천연자원(인간에 의한 가공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연으로부터 직접 얻는 자원)만을 가리키며, 천연자원은 석탄 · 석유 ·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 자원과 곡물 · 채소 등의 식량 자원, 그리고 철광석 · 구리 등의 광물 자원으로 구분한다. → 넓은 의미의 자원은 천연자원뿐만 아니라 노동력, 창의력, 기술 등의 인적 자원(사람의 노동력)과 사회 제도, 조직, 전통 등의 각종 문화적 자원을 포함한다. →
에너지란 어떤 물체가 일을 할 수 있는 힘이나 능력을 말한다. 우리는 매일매일 다양한 에너지를 쓰면서 살아가고 있다. 집, 사무실, 학교 등 어느 곳에서나 에너지가 필요하다. 에너지는 전기에너지, 운동에너지, 빛에너지, 열에너지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 자원 가운데서 에너지 자원은 산업의 원료로 사용되는 광물 자원과 함께 현대 산업 사회의 기반이다. → 에너지 자원은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자원을 뜻한다. 에너지 자원은 자원 중에서 동력을 공급하는 원료가 되는 물질을 말한다. →에너지 자원의 대표적인 것이 석유, 석탄, 천연가스, 원자력, 신 · 재생 에너지이다. → 주로 석탄, 석유,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 연료를 에너지 자원으로 사용해 왔다. 화석 연료 중에서 많이 쓰는 것은 석탄과 석유다. 하지만 화석 연료는 한 번 쓰면 다시 쓸 수 없는 자원이다.(재생 불가능한 자원) → 자원에는 재생 불가능한 자원(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과 재생 가능한 자원(태양열, 조력, 수력, 풍력 등), 그리고 재생 수준이 달라지는 자원이 있다. 재생 가능한 에너지 자원은 한 번 사용해도 고갈되지 않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재생 불가능한 에너지 자원은 한 번 사용하면 다시 사용할 수 없다. → 재생 불가능한 에너지 자원은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 연료(땅에 묻힌 동식물의 유해가 오랜 세월에 걸쳐 화석같이 굳어져 만들어진 연료로, 화석 에너지라고도 함)이다. 재생 가능한 에너지 자원은 태양 에너지, 지열, 수력, 풍력, 바이오매스(목재, 식물, 동물 배설물 등과 같은 바이오매스 연료는 직접 연소되거나, 목탄, 알코올 또는 메탄가스로 전환됨) 등 화석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자원이다. → 신 · 재생 에너지는 기존의 화석 연료를 재활용하거나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태양 에너지, 지열 에너지, 해양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등이 있다. → 갈수록 에너지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사용 증가로 인한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 그 문제점으로는 사용 가능한 자원이 고갈되어 가고, 환경오염이 증가 하고, 이산화탄소의 배출 등으로 인한 지구의 온난화 되고 있다. →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선, 재생 불가능한 에너지의 사용량을 줄이고, 방사능 유출의 위험성이 있는 원자력의 사용을 감축하고, 고휼율의 에너지 기술을 개발하고, 신·재생에너지의 개발과 이용을 늘이는 것이다.
1. 자원 자연에 있는 것 중에서 우리 생활에 쓸모가 있으며, 기술적·경제적으로 개발 가능한 것
2. 에너지 자원의 의미와 종류
① 의미 : 자원 중에서 동력을 공급하는 원료가 되는 물질
② 종류
• 석유 : 열효율이 높음, 서남아시아·아프리카·아메리카 등 특정 지역에 집중 분포, 생산지와 소비지가 달라 국제적 이동이 활발함.
• 석탄 : (산업혁명) 이후 본격 사용, 매장량이 많고 가격이 저렴함.
* 석유나 석탄 등의 화석연료는 연소하면서 산화질소·산화유황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방출합니다.
• 천연가스 : (냉동액화기술)의 발달로 본격 사용, 연소 시에 공해 물질이 적게 배출되는 청정에너지 자원이다.
* 청정에너지: 오염 물질이 잘 발생하지 않는 맑고 깨끗한 에너지.
* 태양열 에너지, 태양광 에너지, 풍력 에너지, 수력 에너지, 바다의 파도 에너지 등이 대표적인 청정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 냉동액화기술이란 실온에서 기체 상태로 남아 있는 물질을 수송과 저장이 쉬운 상태로 변화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 원자력: 전력 생산에 주로 이용, 환경오염 물질의 배출이 적음, 방사능 누출 위험과 폐기물 처리 문제 발생
* 원자력 발전은 방사성 폐기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위험이 있어요.
• 신·재생 에너지: 자연의 힘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갈의 위험이 적음. 수력·풍력·태양열·태양광·연료 전지·석탄 액화 가스·수소 에너지 등
3. 자원의 분류
① 재생 불가능한 자원 :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과 같은 화석 연료
② 재생 가능한 자원 : 태양열, 조력, 수력, 풍력 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③ 재생 수준이 달라지는 자원(고물) : 비금속 및 금속 광물이 대표적
4. 에너지 사용 증가로 인한 문제점
① 자원의 고갈: 산업 혁명 이후 화석 연료의 이용량 증가
② 환경오염 증가: 에너지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로 환경 문제 발생
③ 지구 온난화 가속화: 화석 연료의 소비량 증가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증가
5. 에너지 자원의 지속 가능한 활용 방안
① 재생 불가능한 에너지의 사용량 감소 :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정책 시행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 표시제, (탄소 포인트제)등
* 가정이나 상점(건물)에서 온실가스 감축 실적에 따라 탄소 포인트를 발급하고, 이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탄소 포인트제이다.
② 고효율 기술 개발 : 기술 개발로 에너지 효율을 높임.
③ 해외 에너지 자원 개발 참여 :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확보가 필요함.
④ 신·재생 에너지 개발 및 이용 : 에너지 자원의 고갈 문제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