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조)207. 지도식 시행의 취급에 대하여 옳은 것은? ①
① 지도식을 시행할 때는 현장과 최근 정거장 또는 신호소간을 1폐색구간으로 한다.
② 지도식은 후속열차 운전이 있을 경우 시행한다.
③ 지도식의 운전허가증은 운전명령고지서이다.
④ 지도식의 경우에 한하여 1폐색구간에 2개열차가 동시에 운행할 수 있다.
(147조)208. 지도식의 시행에 관하여 옳은 것은? ③
① 지도식을 시행하는 경우 역장은 운전명령고지서를 발행해야 한다.
② 지도식을 시행할 때에 한하여 1폐색구간에 운전허가증을 2매 발행한다.
③ 지도식을 시행하는 경우 폐색취급을 하기 전에 운전허가증을 발행할 수 없다.
④ 지도식에서 사용하는 운전허가증은 순환 사용할 수 없다.
(148조)209. 지도식의 시행에서 열차 출발할 경우의 취급중 옳지 않은 것은? ②
① 정거장 또는 신호소에서 열차를 폐색구간에 진입시킬 때 역장은 그 구간에 열차 또는 차량 없음을 확인한 후 기관사에게 통보한다.
② 정거장 또는 신호소에서 열차를 폐색구간에 진입시킬 때 역장은 지도표를 교부한 후 그 구간에 차량 없음을 확인한다.
③ 지도표는 열차를 폐색구간에 진입시킬 시각 10분 이전에 이를 기관사에게 교부할 수 없다.
④ 기관사는 열차출발전 전방역장과 열차출발에 대한 무선통화를 하여야 한다.
(148조)210. 지도식의 시행에 관하여 옳지 않은 것은? ①
① 열차가 출발 할 때에는 지도식에 한하여 운전허가증이 없어도 된다.
② 열차가 폐색구간 한끝의 정거장 또는 신호소에 도착하였을 때 역장은 기관사로부터 지도표를 회수하여야 한다.
③ 역장이 지도표를 기관사에게 교부할 때에는 통표휴대기를 통하여 교부한다.
④ 회수한 하여 폐지한 지도표는 최소 1개월 이상 보관한다.
(154조)211. 지도표의 서식중 옳지 않은 것은? ②
① 지도표에는 발행번호가 들어간다.
② 지도표의 색깔은 백색이다.
③ 지도표에는 최후사용열차 기관사의 서명이 들어가지 않는다.
④ 지도표에는 폐지자의 서명이 들어간다.
(147조)212. 지도식에 사용하는 운전허가증에 대하여 옳지 않은 것은? ①
① 지도식에 사용하는 운전허가증이 분실 되었을 경우에는 재발행 하지 않는다.
② 지도식에 사용했던 운전허가증을 폐지 하였을 경우 최소 1개월 이상 보관한다.
③ 지도식에 사용했던 운전허가증의 폐지 방법은 앞면에 무효기호(X)를 하는 것이다.
④ 지도식에 사용하는 운전허가증은 보관함에 넣어 폐색장치 부근에 보관한다.
(162조)213. 전령법 시행의 취급중 옳은 것은? ③
① 전령법을 시행할 때 전화불통으로 양쪽 역장이 협의함이 곤란할 때에도 무조건 협의하여야 한다.
② 중단운전을 하는 경우 폐색구간에 전령법을 시행할 때 그 폐색구간 양쪽 역장은 협의하여야 한다.
③ 전화불통으로 양쪽역장 협의함이 곤란할 때 현장을 넘어 열차를 운전할 수 없다.
④ 전령법을 시행할 경우에는 현장에 있는 고장열차 또는 남겨놓았거나 굴러간 차량외 그 폐색구간에 다른 열차 또는 차량 없음을 확인할 필요가 없다.
(163조)214. 전령자에 관하여 옳지 않은 것은? ④
① 전령법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폐색구간 양끝의 정거장 또는 신호소역장이 협의하여 전령자를 선정하여야 한다.
② 전령자는 1폐색구간에 1인에 한한다.
③ 전령자는 전령법 시행사유․내용 및 열차의 도착지점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맨 앞 운전실에 승차하여야 한다.
④ 전령자는 도착할 지점의 42m 전방에 열차를 일단 정차 시켜야 한다.
(164조)216. 자동폐색구간에서 전령법 시행시 신호기의 현시조건에 따라 운전하여야 하며, 도중 폐색신호기에 정지신호가 현시되었을 때에는 일단 정차후 전방에 열차 또는 차량이 있음을 예측하고 전령자의 유도에 따라 운전해야하는데, 몇 Km/h이하로 운전하여야 하는가? ②
① 30Km/h ② 25Km/h ③ 40km/h ④ 15km/h
(164조)217. 자동폐색구간 또는 차내신호폐색식 이외구간은에 정지신호를 현시한 도중폐색 신호기까지는 신호현시 조건에 의하여 운전 후 구원요구 열차의 정차위치를 정확히 파악,1km 전방까지 ( )km/h로 운전하고 이후 ( )km/h로 주의운전 한다. 정답: ④
① 15 , 30 ② 30 , 45 ③ 35 , 25 ④ 45 , 25
(166조)223. 모양, 색 또는 소리 등으로서 열차 또는 차량에 대하여 운행의 조건을 지시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① 신호 ② 전호 ③ 표지 ④ 현시
(166조)224. 모양, 색 또는 소리 등으로서 계원상호간의 상대자에 대하여 의사를 표시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④
① 표지 ② 신호 ③ 현시 ④ 전호
(166조)225. 모양 또는 색 등으로서 물체의 위치, 방향 또는 조건을 표시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④
① 전호 ② 신호 ③ 현시 ④ 표지
(167조)226. 주간과 야간의 현시방식에 따라서 현시방식을 달리하는 신호, 전호 및 표지는 ( )부터 ( )까지는 주간의 방식,
( )부터 ( )까지는 야간의 방식에 의하여야 한다.
다음중 ( )안에 순서대로 알맞은 것은? ②
① 오전, 오후, 오후, 오전 ② 일출, 일몰, 일몰, 일출
③ 오전, 오후, 일몰, 일출 ④ 일출, 일몰, 오후, 오전
(167조)227. 주간•야간의 현시방식에서 지하구간 및 터널 내애 있어서의 신호•전호•표지는 주간이라도 야간의 방식에 의하여야 한다. 다만, 기후상태로 ( m)거리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진행 중의 열차에 대한 신호현시는 주간이라도 야간의 방식에 따른다④
① 100m ② 200m ③ 300m ④ 400m
(169조)228. 수신호․폭음신호․불꽃신호에 의하여 정지신호 현시 있었을 때, 동일지점에서 상치신호기에 진행을 지시하는 신호를 현시하고 있는 경우 기관사는 어떻게 해야하나? ②
① 상치신호에 따라 진행
② 수신호․폭음신호․불꽃신호에 따라 정지
③ 일단 정차후 진행
④ 주위운전
(171조)229. 다음중 상치신호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③
① 엄호신호기 ② 출발신호기
③ 서행신호기 ④ 유도신호기
(171조)230. 정거장외에 있어서 방호를 요하는 지점을 통과하려는 열차에 대하는 것으로서 그 신호기의 안쪽으로 진입의 가부를 지시하는 신호기는?①
① 엄호신호기 ② 입환신호기
③ 중계신호기 ④ 원방신호기
(171조)231. 원방신호기로서 출발신호기에 종속하는 신호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④
① 중계신호기 ② 엄호신호기 ③ 유도신호기 ④ 통과신호기
(171조)232. 장내신호기에 정지신호(R)이 현시된 경우 원방신호기에는 어떤 신호가 현시 되는가? ③
① 진행신호(G) ② 감속신호(YG) ③ 주의신호(Y) ④ 정지신호(R)
(171조)233. 장내신호기에 주의신호(Y)가 현시될 경우 중계신호기는 어떤 신호를 현시하는가? ②
① 백색등열 (3등) 수평 ② 백색등열 (3등) 좌하향 45도
③ 백색등열 (3등) 수직 ④ 백색등열 (3등) 우하향 45도
(172조)234. 출발신호기가 색등식의 경우 자동폐색식 시행구간에서 몇현시 이상을 사용하는가? ②
① 2현시 ② 3현시 ③ 4현시 ④ 5현시
236. 상치신호기의 정위위치가 진행을 현시하는 신호기는? ④
① 장내신호기
② 원방신호기
③ 반자동 폐색신호기
④ 복선구간의 자동폐색신호기
(171조)239. 진로표시기의 표시방식이 아닌 것은? ②
① LED 조합식 ② 완목식 ③ 등열식 ④ 화살표시방식
(173조)240. 등열식 진로표시방식에서 ㄱ형이 현시 되었을 때 어떤 것을 의미하는가? ①
① 좌측진로 개통 ② 우측진로 개통
③ 중앙진로 개통 ④ 일단정지 후 진로 통보
(173조)241. 입환신호중계기에 정지를 현시할 때 현시 방식은? ①
① 백색등(2등) 수평 점등 ② 적색등 점등
③ 백색등(2등) 수직 점등 ④ 녹색등 점등
(173조)242. 중계신호기에 고장이 일어났을 때 중계신호기는 어떤 것을 현시하도록 조치해야 하는가? ④
① 제한중계
② 진행중계
③ 경계중계
④ 정지중계 또는 소등
(173조)243.상치신호기ㆍ중계신호기ㆍ진로표시기 고장 시 조치로 틀린 것은? ④
① 상치신호기의 경우에는 이에 정지신호를 현시할 것
② 원방신호기의 경우에는 이에 주의신호를 현시할 것
③ 중계신호기의 경우에는 정지중계의 현시 또는 소등할 것
④ 진로표시기의 경우에는 점등할 것
(185조)244.신호기 고장 시 통보조치로 틀린 것은? ③
① 상치신호기ㆍ중계신호기 및 진로표시기가 고장난 경우 역장은 속히 관계열차의 기관사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② 상치신호기ㆍ중계신호기 및 진로표시기의 고장을 발견한 차장 및 기관사는 전방 최근 정거장 또는 신호소 역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③ 신호기 고장 시 열차를 그대로 계속 진행한다.
④ 차장 및 기관사는 전방 최근정거장 또는 신호소를 통과할 열차라도 정차하여 그 요지를 역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187조)245. 공사,기타로서 일시 사용을 중지하는 상치신호기의 조치사항으로 틀린것은? ②
① 완목식에 있어서는 신호기암에 반사재를 사용한 백색 야광테이프로 X형 표시를 하고 야간에는 소등할 것
② 완목식에 있어서는 신호기암에 반사재를 사용한 백색 야광테이프로 X형 표시를 하고 야간에는 점등할 것
③ 색등식 또는 등열식에 있어서는 소등할 것
④ 신호기등 함에 반사재를 사용한 백색 야광테이프로 X형 표시 또는 이를 옆으로 돌려놓을것
(189조)247.임시신호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① 서행임시신호기 ② 서행신호기
③ 서행예고신호기 ④ 서행해제신호기
(193조)248.임시신호기 신호현시방식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① 서행임시신호기 : 서행임시신호
주간 :백색테두리를 한 파랑색원판, 야간 : 파랑색등
② 서행신호기 : 서행신호
주간 : 백색테두리를 한 등황색 원판, 야간 : 등황색등
③ 서행예고신호기 : 서행예고신호
주간 : 흑색3각형 3개를 그린 백색3각형판
야간 : 흑색3각형 3개를 그린 백색등
④ 서행해제신호기 : 서행해제신호
주간 : 백색테두리를 한 녹색원판, 야간 : 녹색등
(190조)249.임시신호기의 설치위치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②
① 임시신호기는 서행개소가 있는 동일 운행선로 양방향에 설치하여야 한다.
② 임시신호기는 서행개소가 있는 동일 운행선로 한방향에 설치하여야 한다.
③ 임시신호기는 좌측에 설치하여야 한다.
④ 임시신호기의 설치 및 철거는 시설팀장 또는 지역본부장이 하여야 한다.
(193조)250.임시신호기 고장인 경우의 조치로 잘못된 것은? ③
①서행신호기 고장 또는 서행신호기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그 대용으로 서행수신호를 현시하여야 한다.
②서행해제신호기 고장 또는 서행해제신호기를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그 대용으로 진행수신호를 현시하여야 한다.
③수신호는 신호소역장이 현시토록 조치하여야 한다.
④수신호는 시설팀장이 현시토록 조치하여야 한다.
첫댓글 늦은 시간까지 업로드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