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양성 대장염 쥐의 대장 염증성 손상, 사이토카인 수치, 세포사멸에 대한 전침과 수기 침술의 효과
목적 :
궤양성 대장염(UC) 쥐의 대장 염증성 손상, 사이토카인 수치, 세포 사멸에 대한 전침(EA) 및 수기 침술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UC 개선의 근본적인 기전을 밝혀낸다.
방법 :
총 32마리의 SD 쥐를 통제군, 모델군, EA군, 수기 침술군으로 무작위로 분류했다(8마리/그룹). UC 모델은 5% 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TNBS)+탈수 알코올의 직장 내 투여에 의해 만들어졌다. 곡지(LI 11)와 족삼리(ST 36)는 모두 수기 침술군에서 20분 동안 실모양 바늘로 구멍을 뚫거나 EA군에서 EA(8Hz/25Hz, 2-4mA, 지속 시간 20분)로 자극 했다. 이 치료는 6일 연속 매일 한 차례씩 시행됐다. 체중 변화와 대장염의 병리학적 상태를 관찰했다. 대장 조직의 전염증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항염증 사이토카인(IL-10), 호모시스테인(Hcy), 마엘로페록시다제(MPO, 2개의 산소자유기 관련 물질) 함량은 ELISA에 의해 검출되었고, 대장 조직의 핵인자 카파B 키나아제 α(IκBα) 및 p-p65(핵인자의 하위 단위)의 Bcl-2, Bax, 인산화(p)-억제제의 단백질 발현 수준은 Western blot에 의해 개별적으로 검출되었다.
결과 :
대조군에 비해 모델군에서는 체중이 줄고 대장의 부종과 출혈 상태는 악화 된 반면, 대장 부종과 추렬 상태는 EA군과 수기침술군 모두 상태가 더 좋았으며, 두 치료군 모두 4일째부터 체중은 확연히 늘었다. 대조군보다 모델군에서 대장 TNF-α, IL-1β, IL-6, IL-10, MPO, Hcy 농도가 모두 유의하게 높았지만(P<0.01), EA와 수기 침술군의 대장 TNF-α, IL-1β, IL-6 모두와 EA군의 MPO와 Hcy는 시술 이후 현저하게 하향 조절되었으며(P<0.05, P<0.01), IL-10은 수기 침술군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5). 또한, 모델화에 의한 대장 Bcl-2/Bax의 현저한 하향 조절과 IκBα 및 p-p 65 단백질 발현의 현저한 상향 조절은 EA와 수기 침술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P<0.01).
결론 :
EA와 수기 침술 시행은 모두, 전염증 및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조절하고,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과 항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균형 있게 조절하며, 대장 조직에서 주요 핵 전사 인자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는 기능과 같이 UC 쥐의 대장 병변을 완화시킨다.
Shi LW, Gu H, Liu MJ, Li JG, Zhao X, Jiao JY, Cheng N.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nd Manual Acupuncture on Colonic Inflammatory Injury,
Cytokine Levels and Cell Apoptosis in Ulcerative Colitis Rats]. Zhen Ci Yan Jiu.
2017 Feb 25;42(1):56-61. Chinese. PMID: 29071999.
< 통합심신의학회 > 정리물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