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수강을 늦게 시작한 학생이라 초반 부분 질문드립니다.
(문제) : A student might initially say "she go to school" but, after learning the rule for present tense, starts to say "She goes to school." This shift highlights the _____ nature of interlanuage.
(질문)
49번 정답이 dynamic이었는데 전 variable라고 생각했어요. 문제에서 present tense ='새로운 언어적 입력'을 받자 변화한 것으로 이해했고, dynamic은 교재에 창의적인 문장구조를 만든다고 해서(overgeneralization으로 goed와 같은 표현을 쓰는 것처럼?) variable이 답이라고 생각했는데 variable와 dynamic의 차이와 예시를 더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직 초반 수강하고 있지만 단계별로 차근차근 설명해 주셔서 언어적 장벽/배움의 장벽이 아주 낮춰진 상태로 즐겁게 듣고 있습니다~
첫댓글 안녕하세요 선생님~~
답변드리겠습니다.
---------------------------------------
systematic은 괜찮은데 variable과 dynamic이 항상 헷갈릴거예요.
최우선은 지문 내에 있는 것을 토대로 해주시고 일반적인 경우는
variable은 예를 들면 하루는 She go to school, 또 하루는 She goes to school이라고 말할 수 있고
dynamic은
초기: She go to school. (현재시제 규칙을 모르고 있음)
발전 후: She goes to school. (현재시제에 ‘-s’가 붙는 규칙을 습득)
이처럼 규칙을 습득하면서 interlanguage가 변하는 것이 dynamic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variable은 중간언어가 여러가지 형태로 일관적이지 않게 나타나고
dynamic은 중간언어가 수정되기도 하고 변화 발전되어 가는 과정이 중심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문제에서는 규칙을 배워서 go에서 goes로 변했기 때문에 dynamic으로 봐주시는 것이 적절합니다.
----------
수업 즐겁게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은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열공하시고 화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