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발전 및 규제 어젠다 (2025년 기준)
최근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이에 대한 윤리적·법적 규제와 사회적 영향이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AI와 관련된 글로벌 및 국내 정책, 규제 방향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 AI 기술 발전 방향
(1) 생성형 AI의 고도화
ChatGPT, Gemini, Claude 등과 같은 **초거대 AI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의 지속적인 발전
AI의 창의성 및 인간과의 협업 기능 강화
멀티모달 AI(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영상 통합 AI)의 상용화
(2) 자율 AI와 에이전트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수행하는 자율 AI(Autonomous AI) 도입 증가
AI 기반 가상비서, 자동화된 의사결정 시스템 확대
AI가 복잡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직접 수행하는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연구 활성화
(3) AI와 산업의 융합
의료(진단·신약 개발), 금융(투자 예측·리스크 관리), 법률(계약 검토·법률 상담), 세무(자동 신고·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에 AI 적용 확대
AI 기반 로봇, 드론,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AI와 IoT, 클라우드, 블록체인 기술의 융합
---
2. AI 윤리 및 규제 정책
(1) 글로벌 AI 규제 흐름
EU AI 법안(AI Act): 위험 기반 규제 프레임워크 도입, 고위험 AI 시스템에 대한 엄격한 감독
미국 AI 행정명령: AI 안전성, 데이터 보호, 윤리적 AI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중국 AI 규제: AI 콘텐츠 검열 강화, AI 개발·배포 관리
(2) 한국 AI 규제 및 법제화 동향
한국판 AI 윤리 가이드라인: AI 기술 개발 시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 원칙 준수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 AI가 수집·처리하는 데이터 보호 강화
AI 산업 진흥 vs 규제 균형: AI 스타트업 및 기업 지원 정책과 AI 사용 규제 간 균형 유지 필요
(3) 주요 쟁점
AI의 책임 소재(AI가 생성한 결과물의 법적 책임은 누구에게?)
AI의 데이터 편향성 및 차별 문제
AI를 활용한 저작권 및 개인정보 침해 문제
---
3. AI와 법률·세무 관련 영향
(1) AI가 법률 및 세무 업무에 미치는 영향
세무·회계 자동화: AI 기반 세금 신고, 조세 분석, 리스크 관리 시스템 발전
법률 AI: AI가 계약서 작성, 법률 검토, 판례 분석 등을 수행
AI 컨설팅: 세무·법률 AI가 고객 맞춤형 조언 제공
(2) AI 관련 세법 및 과세 문제
AI 기업 및 서비스에 대한 과세 문제(클라우드 AI 서비스, 생성형 AI 사용료 과세 등)
AI 자동화로 인한 세금 감소 이슈(기업의 AI 도입으로 인한 법인세·소득세 변화)
AI 개발 비용의 세액 공제 및 지원책
---
4. AI 거버넌스와 기업 대응 전략
(1) 기업의 AI 윤리 가이드라인 마련
AI의 책임성 확보(결과에 대한 법적·윤리적 검토)
AI 활용 데이터의 투명성 및 공정성 유지
AI 리스크 관리 및 보안 강화
(2) AI 법제화에 대비한 기업 전략
AI 규제 대응을 위한 법무·세무 전문가 협업 필요
AI 윤리 인증 및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확인
AI 관련 법적 분쟁 및 리스크 관리 대비
(3) AI 기술 경쟁력 확보
AI 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인재 확보
AI 기반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 혁신
글로벌 AI 규제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
AI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른 만큼, 윤리적·법적 이슈를 고려한 규제와 기업의 대응 전략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AI가 세무·회계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세무사로서 AI 법제화 및 과세 문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