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다 생채식 실천에서 소금 섭취는 생채식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특히 천일염 5g/끼니당, 하루 2회(총 10g)** 섭취가 권장
🧂 1. 고다 생채식에서 소금 섭취 기준
* 권장량**: 하루 **10g (5g x 2회)**
* 섭취법**:
* 혀 밑에 천천히 녹여 삼킨다 *(흡수가 빠르고 위에 부담을 주지 않음)*
* 또는 채소즙이나 물에 타서 마신다
* 가급적 **정제염이 아닌 자연 천일염** 사용 (미네랄 풍부)
🩺 2. 섭취 이유 및 의학적 원리
⏺ 이유 1. 전해질 균형 유지**
* 생채식은 칼륨이 매우 풍부하므로 나트륨 결핍**이 쉽게 발생할 수 있음
* 나트륨 부족 → 저나트륨혈증, 심하면 혼수 위험
* 천일염 섭취는 나트륨-칼륨 균형** 유지에 결정적
⏺ 이유 2. **위산 분비 촉진 및 소화력 보조**
* 생채식은 섬유질이 많고 소화에 부담이 될 수 있음
* 염분은 위산(HCl) 분비를 촉진**, 소화 능력을 향상시킴
⏺ 이유 3. 해독작용 보조**
* 생채식은 체내 독소 배출을 유도하는 식단
* 나트륨은 체액의 삼투압 조절과 노폐물 배출에 필수
⏺ 이유 4. 근육 수축 및 신경전달 유지**
* 소금은 전기전도 기능과 관련된 미네랄 제공 → 피로감 감소, 신경 안정
📌 3. 잘못된 소금 제한 시 발생 가능한 부작용
| 저나트륨혈증 - 구역, 두통, 혼돈, 경련 발생
| 저혈압과 어지러움 - 혈액 내 전해질 불균형
| 만성 피로와 근육경련 - 나트륨 결핍으로 인한 전해질 이상
| 체온 저하, 소화불량 - 위산 부족과 대사 저하
🧾 4. 사례
✅ 사례 1: 말기 암환자, 생채식 중 저염식 병행 → 저혈압과 어지러움 지속
* 고다 생채식 권장량인 10g 소금 복귀 후 혈압 정상화**, 어지러움 사라짐
* 이후 6개월 이상 생채식 유지하며 소염상태 유지**, 염증 수치 감소
✅ 사례 2: 30대 여성, 생채식 중 무소금 실천 → 생리불순과 탈력감
* 정제염 피하려다 소금을 아예 배제 → 호르몬 불균형**
* 천일염 하루 10g 도입 후 2개월 내 생리 회복**, 활력 회복
🌿 5. 좋은 소금 선택 기준
천일염 - 바닷물 증발로 얻은 자연 소금, 미네랄 풍부
구운 소금 -천일염을 구워 정제한 소금, 자극이 덜함
정제염 - 공업적 가공 소금, 생채식에서는 피해야 함
🧘♀️ 6. 섭취 팁
* 첫 식사 전 공복에 섭취 시** 위산 분비 자극에 도움
* 체질에 따라 3~4g부터 시작**, 점진적 증량
* 고혈압이 있는 경우 의료인 상담 병행 필요
(※ 생채식은 오히려 고혈압 개선 효과 보고됨)
📌 요약
* 하루 10g 천일염**은 생채식의 필수 요소
* 전해질 균형, 위산 분비, 해독, 신경전달에 필수
* 부족 시 피로, 어지러움, 생리불순 등 부작용
* 혀 밑 섭취** 또는 즙/물과 함께 섭취
* 천일염 또는 구운소금** 사용, 정제염은 피함
첫댓글 소금에 대한 자세한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