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無門關) 육칙(六則)
세존염화(世尊拈花) 세존께서 꽃을 들다.
본칙(本則) 역(譯)
세존께서 옛날 영산회상에서 꽃을 들어 대중에게 보이셨다. 그때 대중들은 모두 말이 없었으나 오직 가섭존자만 빙그레 미소 지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나의 정법안장(正法眼藏) 열반묘심(涅槃妙心) 실상무상(實相無相)인 미묘(微妙)한 법문(法門)이 있으니, 문자에 의지하지 않고 교설 이외에 따로 전하여 마하가섭에게 부촉하노라. 世尊昔在靈山會上, 拈花示眾. 是時眾皆默然. 惟迦葉尊者, 破顏微笑. 世尊云, 吾有正法眼藏, 涅槃妙心, 實相無相, 微妙法門, 不立文字, 教外別傳, 付囑摩訶迦葉.
평창(評唱) 역(譯)
무문이 말했다. 누런 얼굴의 석가는 주위에 아무도 없는 듯 양민(良民)을 억눌러 천민(賤民)으로 만들고, 양(羊) 머리를 내걸고 개고기를 파는구나! 제법 기특하다 할 수 있으나, 만약 그때 대중들이 모두 웃었다면 정법안장을 어떻게 전했을까? 만일 가섭이 웃지 않았더라면 정법안장은 또 어떻게 전했을까? 만약 정법안장이 전해 줄 수 있는 것이라면 누런 얼굴의 늙은이가 세상 사람들을 속이는 것이고, 만약 정법안장이 전해 줄 수 없는 것이라면 어째서 가섭 한 사람에게만 허락하였는가? 無門曰 黃面瞿曇, 傍若無人, 壓良為賤, 懸羊頭賣狗肉. 將謂多少奇特, 只如當時大眾都笑, 正法眼藏作麼生傳. 設使迦葉不笑, 正法眼藏又作麼生傳. 若道正法眼藏有傳授, 黃面老子, 誑謼閭閻, 若道無傳授, 為甚麼獨許迦葉.
송(頌) 역(譯)
게송으로 읊기를 꽃을 들어 올렸을 때 이미 꼬리까지 드러났도다. 가섭은 빙그레 웃는데 사람과 하늘 어쩔 줄 모르네.
頌曰 拈起花來, 尾巴已露. 迦葉破顏, 人天罔措.
사족(蛇足)
염화미소(拈花微笑)는 부처님께서 천이백 제자들에게 영산회상에서 법을 설하실 때 아무 말씀도 하지 않고, 있다가 연꽃 한 송이를 들어 보였는데 오직 가섭존자만 부처님 뜻을 알아채고 가섭존자가 빙그레 웃었다는 선화(禪話)다. 선불교(禪佛敎)에서는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가섭존자(迦葉尊者)에게 전법(傳法)했다고 하여 이를 두고 삼처전심(三處傳心)으로 알려져 있다. 부처님께서 세 곳에서 이렇게 무언(無言) 전법(傳法)을 했다고 전한다. 첫 번째는 다자탑전반분좌(多子塔前半分座)이고, 두 번째가 영산회상염화미소(靈山會上拈花微笑)이고 세 번째는 니련하반곽시쌍부(泥連河畔槨示雙趺)을 말한다. 다자탑전분반좌(多子塔前半分座)는 아함경(阿含經) 중본경(中本經)의 대가섭품(大迦葉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석가세존이 사위국(舍衛國) 급고독원(給孤獨園)에서 대중을 위하여 설법(說法)하고 있는데 마하가섭이 뒤늦게 해진 옷을 입고 밖으로부터 왔다. 석가가 잘 왔다 가섭이여! 하면서 앉은 자리 반을 나누어주며 앉으라고 하였다. 대중은 저 늙은 비구가 무슨 덕이 있기에 감히 여래의 자리에 앉으라 하는가? 하고 이상히 여겼다. 석가는 대중의 의아해하는 마음을 살피고 널리 가섭의 덕을 찬양하였다. 이것이 첫 번째로 마음을 전한 것이다. 두 번째는 영산회상염거화(靈山會上擧拈花)다. 송나라 오명(悟明)이 편찬한 전등회요(傳燈會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석가가 영산회상에 계실 때 대범천왕(大梵天王)이 금색 바라화(波羅花)를 올리는 것을 세존이 손에 들어 대중에게 보이니, 일천대중이 다 망연히 있는데 오직 가섭이 얼굴을 탁 트이고 빙그레 웃었다. 이에 석가가 이르기를 나에게 정법안장(正法眼藏)과 열반묘심(涅槃妙心)이 있으니, 실상은 상이 없는 미묘한 법문이라. 마하가섭에게 부촉하노라. 하였다는 것이다. 셋째의 니련하반곽시쌍부(尼連河畔槨示雙趺)다. 대열반경 다비품(茶毘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석가가 열반에 드신 뒤 가섭존자가 먼 곳으로부터 뒤늦게 이르니 석가의 유체는 이미 입관되어 있었다. 가섭이 그 관 앞에서 슬피 울면서 세존이 어찌 벌써 열반에 드셨나이까? 하고 통곡하자 석가가 두 발을 관 밖으로 내놓으며 광명을 놓았다는 것이다. 선종(禪宗)에서는 이들 삼처전심(三處傳心)을 교외별전(敎外別傳)의 유일한 근거라 하여 매우 중요시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보조국사(普照國師)가 경절문(徑截門)을 세웠지만, 삼처전심(三處傳心)을 내세우지 않았다. 그러나 고려 말의 진정국사(眞靜國師)가 지었다는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에서는 염화미소 등을 내세웠다.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청허(淸虛)는 선가귀감(禪家龜鑑)에서 세존(世尊)이 삼처전심(三處傳心)한 것이 선지(禪旨)가 되고, 일대소설(一代所說)이 교문(敎門)이 되었다. 고 선언하였다. 교외별전곡(敎外別傳曲)에는 세존의 염화에 가섭이 미소, 삼처전심이 제1구’라는 표현이 있고, 선교석(禪敎釋)에서는 분반좌(分半座), 거염화(擧拈花), 시쌍부(示雙趺) 등을 들었다. 그 뒤로 선(禪)의 표치(標幟)를 내세우는 데는 반드시 삼처전심을 간판으로 내세우게 되었다. 조선 후기의 백파(白坡)는 선문수경(禪門手鏡)에서 삼처전심을 조사선과 격외선(格外禪)에 배당하였다. 혜개선사의 평창이 날카롭다.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정법안장(正法眼藏)을 가섭에게 부촉(付屬) 한다는 부처님 말에 양(羊) 머리를 걸어두고 개(狗)고기를 파는 격이라고 혹평(酷評)을 했다. 만약 가섭이 웃지 않았다면 정법안장은 누가 받았겠느냐? 이다. 마음으로써 마음을 전한다는 꼼수는 양민(良民)을 억압해서 천민(賤民)을 만드는 꼴이란다. 황면노자(黃面老子)가 사람들을 속이고 있다고 꼬집고 있다. 준동함령개유불성(蠢動含靈皆有佛性)인데 어찌 가섭에게만 전했느냐? 이다. 선사들의 말은 반어법(反語法)이 많다. 말 따라가면 중생을 면치 못한다. 초기불교만 믿는 학승들은 불경에 없는 삼처전심이라 믿지 않는다. 삼처전심(三處傳心)은 위경(僞經)인 대범천왕문불결의경(大梵天王問佛決疑經)에 나온다고 주장을 해서 위의 경전전거(經典典據)를 구차하게 들었다. 참고들 하시라.
화옹송평(和翁頌評)
몰록 한생각 꿈에서 깨고보니, 대천세계가 바로 내 집이로구나! 석가 노옹 무슨 법을 깨달았는고? 꽃을 드니, 빙그레 웃는 가섭의 얼굴이라네. 頓覺一念夢便醒 大千沙界是吾家 釋迦老翁何證法 拈花微笑迦葉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