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자전거 정비교실(자정교)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스피드
    2. 페달에방금발올림
    3. 바가지
    4. 단대
    5. 아모스
    1. 가온누리1
    2. 피노키오
    3. 조쿠나
    4. 계절의신사
    5. 불꽃남자 박진수
 
 

지난주 BEST회원

 

지난주 BEST회원

 

지난주 BEST회원

 
 
 

카페 통계

 
방문
20250215
2
20250216
2
20250217
0
20250218
0
20250219
2
가입
20250215
0
20250216
0
20250217
0
20250218
0
20250219
0
게시글
20250215
1
20250216
1
20250217
0
20250218
0
20250219
1
댓글
20250215
0
20250216
0
20250217
0
20250218
0
20250219
0
 
카페 게시글
회원 자료 업로드방 스크랩 패달,신발
엠티비매니아 추천 0 조회 353 09.06.04 00:51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페달은 작지만 자전거가 움직일 수 있도록 다리의 힘을 크랭크에 전달해주는 중요한 부품이다. 그러나 ‘평페달’이라 부르는 일반 페달은 위에서 내리누르는 힘만 쓸 수 있고 발을 위로 끌어올릴 때는 크랭크에 힘을 전달할 수 없다. 이런 단점을 해결한 것이 바로 토클립(Toe-clip) 페달과 클립리스(Clipless) 페달이다.
토클립 페달과 클립리스 페달은 발과 페달을 결합시켜 페달링 하는 내내 크랭크에 다리 힘을 전달해준다. 따라서 사이클, MTB 선수는 물론 매니아들도 힘을 좀 더 효율적으로 전달해주는 이런 특수 페달을 사용한다. 그러나 페달은 많은 힘과 체중이 실리고 자전거의 성능과 성격에 직결되므로 목적과 용도에 알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수 페달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신발 또한 자전거용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물론 페달과 마찬가지로 신발도 용도별로 다양한 모델이 나오며, 각각의 용도에 맞게 신어야 한다. 클립리스 페달의 경우 메이커별로 다양한 모델이 나오는데, 여기에 맞는 클릿(cleat)도 여러 가지여서 구입할 때 반드시 신발과 페달이 호환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페달(Bicycle Pedal)
페달은 크게 일반 페달과 토클립 페달, 클립리스 페달 등으로 나뉜다. 페달에 특별한 장치가 없는 일반 페달은 생활자전거를 비롯해 저가형 자전거에 주로 쓰이지만 플랫폼(Platform) 페달이라 부르는 고급 모델은 MTB의 트라이얼이나 프리라이딩, BMX 등에 사용된다.
토클립 페달은 페달에 발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지와 끈이 달려 있다. 그러나 신발을 넣고 빼기가 불편하고 넘어졌을 때 발이 페달에서 빠지지 않아 보다 큰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최근에는 사이클 트랙경기에서만 쓰인다.
클립리스 페달은 토클립 페달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토클립 없이 신발을 페달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을 빠르고 쉽게 뺄 수 있어 편하고 안전하다. 클립리스 페달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클릿이라는 고정 장치를 달 수 있는 전용 신발이 필요하다. 또한 제작회사별로 독특한 기능과 특징을 지닌 제품을 만들어 종류가 다양하다.

사이클용
사이클용 페달은 무게와 바람에 민감한 사이클의 특성에 맞게 가볍고 공기저항이 작은 쪽으로 개발되고 있다. 클립리스 페달의 경우 보다 많은 발힘을 크랭크에 전달할 수 있게 MTB용 페달보다 크기가 크다. MTB용은 페달 양면에 바인딩이 있으나 도로용은 한쪽 면에만 있다.
토클립 페달은 클립리스 모델보다 무게가 가볍지만 도로용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트랙 경기나 경륜에서 주로 쓰인다. 대표적인 클립리스 페달로는 룩 PP396, 시마노 PD-7800, 웰고 LU-955 등이 있다.

 

 

1. PP396 / 룩(LOOK)
레이싱용 최고급 페달로 애널러 베어링과 니들 슬리브를 사용한 냉간단조 크롬몰리 액슬과 사출성형 알루미늄 합금 보디 등으로 이루어졌다. 195g의 가벼운 무게를 자랑하며, 룩 전용 델타 루지 클릿을 쓴다. 22만 원선



2. PD-7800 / 시마노(SHIMANO)
시마노가 새롭게 선보인 뉴 듀라에이스용 페달로 최고급 모델이다. 구형(PD-7750) 보다 넓어진 플랫폼으로 힘 전달력이 좋아졌고, 클릿 역시 넓어져 탈착이 편해졌다. 베어링 역시 접지면적이 넓어져 무게 분산 효과가 좋아졌다. 무게는 218g.

30만 원선



3. LU-955 / 웰고(wellgo)
보급형 토클립 페달로 보디는 알루미늄, 케이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었다. 끈으로 발등과 옆 부분을 조이는 방식이며, 가벼운 무게와 저렴한 값이 장점이다. 5만 원선

 


4. 크랭크 브라더스(CRANK BROTHERS) / 에그비터 EGG BEATER
혁신적인 디자인과 높은 기능성으로 유명한 에그비터는 많은 선수들이 사용하고 있는 모델이다. 새로운 4바인딩 시스템은 보다 빠르고 편할 뿐 아니라 바인딩에 흙이 거의 끼지 않는다. 회전축과 스프링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었고, 무게는 290g. 21만 원대

5. 룩(LOOK)
크랭크브라더스의 에그비터를 벤치마킹한 모델이다. 크롬몰리 액슬과 스테인리스 스틸 보디를 쓰며, 액슬에는 링 모양의 베어링과 니들 베어링을 사용했다. 무게는 294g. 20만 원선



MTB 크로스컨트리 레이싱용
크로스컨트리 레이싱용 모델 역시 무게를 줄이는데 중점을 둔 제품이다. 크기가 작고 구조를 간단하게 만들어 가벼운 것은 물론 진흙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묻었을 때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페달을 보호하는 케이지가 없어 다운힐이나 프리라이딩 등 험한 조건에서 사용할 경우 파손되기 쉽다. 또한 페달의 면적이 좁아 탈착에 익숙해지는데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페달을 구입하기 전에 기능성과 무게, 구름성능 등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좋다. 페달의 회전축(spindle) 안쪽에 실드 베어링을 쓴 것이 고급 제품이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크랭크 브라더스 에그비터, 룩 4X4, 시마노 PD-M540, 타임 A.T.A.C 티탄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6. 시마노(SHIMANO)
PD-M540
시마노가 새롭게 선보인 PD-M536의 후속 모델로 톱모델인 PD-M959를 벤치마킹 했다. 진흙이 잘 끼지 않는 간단한 구조에 알루미늄 바인딩 장치와 강하고 내구성이 좋은 크롬몰리 스핀들을 사용하며, 카트리지 액슬에 실드베어링을 썼다. 플라스틱 어댑터가 있어 일반 신발을 신고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게는 352g. 9만 원대



7. 타임(TIME)
A.T.A.C 티탄 카본(Titan Carbon)
타임의 크로스컨트리 레이싱 모델로 뛰어난 강도와 내구성을 지닌 티타늄 액슬과 가벼운 카본 보디를 사용했다. 바인딩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A.T.A.C(Auto tension adjustment concept)과 클릿이 페달과 결합될 때 진흙 등 이물질이 빠지는 셀프 클리닝 등 첨단 기술이 사용되었다. 34만 원선



8. 아조닉(AZONIC)
A프레임(A-Frame)
아조닉의 대표적인 플랫폼 페달로 보디는 단조 알루미늄을 선반 가공했다. 중심축은 오버사이즈 스테인리스 스틸로 강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다. 12만 원선



9. PD-MX30
시마노(SHIMANO)
BMX와 다운힐, 프리라이딩용 플랫폼 모델로 내구성이 뛰어난 크롬몰리 실드 카트리지 액슬을 쓴다. 미끄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보디에 교환 가능한 10개의 그립 핀을 달았다. 무게 492g. 12만 원대


 

 


MTB 트라이얼과 프리라이딩, BMX 등을 위한 플랫폼 페달
MTB 트라이얼과 BMX는 클립리스 페달이 아닌 플랫폼 페달을 쓴다. 플랫폼 페달은 신발의 접지력을 높이기 위해 넓게 만들고 핀을 박아 접촉성을 키웠다. 보급형은 주물로 만들지만 고급 모델은 강도를 높이고 무게를 줄이기 위해 단조 알루미늄을 CNC 가공해 만든다.
프리라이딩과 다운힐에서도 일부 쓰지만 점프 등 고난도 기술을 시도하는 베테랑 라이더들에게 적합하다. 그러나 신발이 페달에서 이탈되어 위험한 상황에 처하거나 정강이를 다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충분한 실력을 쌓은 후 보호대를 착용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품을 고를 때는 가볍고 신발의 밑창과 잘 밀착되며 핀을 교환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아조닉 A프레임, 시마노 PD-MX30, 웰고 MG-1, 우드맨 스파이키 등이 많이 쓰인다.


 

10. 웰고(wellgo)MG-1
웰고의 초경량 플랫폼 페달로 382g을 자랑한다. 원피스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보디에 CNC 가공을 한 크롬몰리 스핀들을 사용했다. MTB 프리라이딩과 다운힐, 트라이얼, BMX 등에 적합하며, 보디의 핀은 교체할 수 있다. 9만 원선


 


11. 우드맨(Woodman)
스파이키 콤프(Spiky Comp)
6061 T6 알루미늄을 CNC 가공한 보디에 크롬몰리 액슬과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베어링은 실드 볼 베어링이며, 한 면에 8개씩 총 32개의 핀이 박혀 있다. 11만 원선

 

 

 

 

 

 

 

 

 

 

 

 

 

 

 


1. PP396



2. PD-7800

 



3. LU-955

 



4. EGG-BEATER



5. LOOK

 


6. PD-M540

 



7. TIME

 



8. AZONIC-A FRAME

 



9. PD-MX30

 



10. WELLGO-MG-1

 



11. WOODMAN -SPIKY COMP


 


12. CANDY-SL

 



13. FUJI-One Side Pedal

 

 

 


14. RITCHEY-LOGIC



15. PD-M520

 



16. TIME-CARBON

 



17. MALLET

 



18. PD-M647

 


19. TIME-Z control



20. VP-133

 

 

 

 

 

 

 

 

 

 

 

 

 

 

 

 

 

 

 

 

 

 

 

 

 

 

 

 

 

 

 

 

 

 

 

 

 

 

 

 

 

 

 

 

 

 

 

 

 

 

 

 

 

 

 

 

 

 

 

 

 

 

 

 

 

 

 

 

 

 

 

 

 

 

 

 

 

 

 

 

 

 

 

 

 

 

 

 

 

 

 

 

 

 

 

 

 

 

 

 

 

 

 

 

 

 

 

 

 

 

 

 

 

 

 

 

 

 

 

 

 

 

 

 

 

 

 

 

 

 

 

 

 

 

 

 

 

 

 

 

 

 

 

 

 

 

 

 

 

 

 

 

 

 

 

 

 

 

 

 

 

 

 

 

 

 

 

 

 

 

 

 

 

 

 

 

 

 

 

 

 

 

 

 

 

 

 

 

 

 

 

 

 

 

 

 

 

 

 

 

12. 크랭크 브라더스(CRANK BROTHERS)
크랭크 브라더스가 선보인 신제품으로 에그비터의 단점을 보완한 모델이다. 페달이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카본과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든 플랫폼을 달았다. 에그비터와 마찬가지로 흙이 잘 끼지 않고 4개의 바인딩을 쓴다. 컬러는 파랑, 노랑, 초록 3가지이며, 무게는 294g. 22만 원선


 

 

13. 후지(FUJI)
시마노의 PD-M324를 벤치마킹한 보급형 XC용 모델이다. 클릿 바인딩은 물론 크롬몰리 보조 플레이트가 달려 일반 신발로도 탈 수 있다. 바인딩은 한쪽에만 달려있으며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9만 원선


 

 


MTB 크로스컨트리용
레이싱용 모델에 비해 무겁고 부피가 크지만 값이 저렴해 전용 페달과 신발을 처음 쓰는 초보자에게 적합하다. 5만 원 이하의 저가형의 경우 구조가 복잡해 바인딩 장치에 진흙이 끼면 쉽게 빠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일부 모델은 일반 신발로도 사용할 수 있게 플랫폼 페달 타입의 보조 플레이트가 달려있어 편하다. 물론 필요한 경우 분리할 수 있다.
일반적인 크로스컨트리용으로는 크랭크 브라더스 캔디 SL과 시마노 PD-M520, 타임 A.T.A.C XC 카본, 후지 원사이드 페달 등이 적당하다.


 

14. 리치(Ritchey)
시마노 SPD 시스템과 호환되는 리치의 보급형 모델이다. 양면으로 두 개의 바인딩이 달려 있으며 각각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5만 원선


 

 

15. 시마노(SHIMANO)
PD-M959와 PD-M940의 보급형 모델로 흙이 끼지 않고 값도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고급 모델에 적용되는 실드 베어링 카트리지 액슬을 사용했다. 탈착이 가능한 플라스틱 보조 플레이트가 있어 일반 신발로도 쓸 수 있다. 은색과 검정 두 가지 컬러에, 무게는 380g. 4만 원선



 

16. 타임(TIME)
알루미늄 액슬과 카본 보디를 사용한 모델로 가볍고 튼튼한 것이 특징이다. 톱모델인 A.T.A.C 티탄 카본과 마찬가지로 A.T.A.C와 셀프 클리닝 기능이 있으며, 값이 저렴하다. 22만 원선



 

17. 크랭크 브라더스(CRANK BROTHERS)
크랭크 브라더스가 에그비터로 만든 다운힐용 페달이다. 크롬몰리 스핀들과 카본 스틸 윙, 알루미늄 플랫폼 등으로 되어 있으며, 플랫폼 양끝에는 교환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 트랙션 플래이트를 달았다. 무게는 540g. 16만 원선



 

18. PD-M647  시마노(SHIMANO)
시마노의 다운힐용 제품인 PD-M646의 후속 모델이다. PD-M959와 같은 디자인의 바인딩을 사용해 흙이 잘 끼지 않는다. 보디가 플랫폼 안에 12.5°로 기울어 있어 신발의 탈착이 빠르고 쉽다. 클릿의 장력 조정나사가 위쪽을 향해있어 조절이 편하다. 무게는 552g. 12만 원선

PD-M647

PD-M545 80,000만원선
PD-M646 88,000원선

 


MTB 다운힐용
다운힐은 크로스컨트리보다 험한 지형을 달려 라이딩 도중 페달에서 발을 뗄 때가 많다. 따라서 보다 쉽고 빠르게 탈착할 수 있으며 미끄러지지 않도록 넓은 케이지가 달려 있다. 물론 거친 조건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하다.
제품을 고를 때는 진흙 배출성 보다는 탈착과 페달링의 편이성, 내구성 등을 꼼꼼히 살피도록 한다. 시마노와 VP의 다운힐 페달이 인기를 얻고 있다.

19. 타임(TIME)
타임의 A.T.A.C와 셀프 클리닝 기능이 있는 다운힐용 모델이다. 넓은 오버사이즈 플랫폼은 보다 빠르고 안정감 있는 페달링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알루미늄 바디와 크롬몰리 스핀들을 사용하고, 무게는 530g. 17만 원선



 

20. VP
대만의 페달 전문 제조업체인 VP가 시마노 PD-M646을 벤치마킹해 내놓은 다운힐 모델이다. 빨간색 보디에 검정색 케이지로 강렬한 느낌을 주며, 성능 또한 PD-M646에 결코 뒤지지 않고 값도 싸다. 8만 원선

 

 

 

 

 

 

 

 

 

 

 

 

 

 

 

 

 

 

 

 

자전거용 신발(Blcycle Shoes)
자전거용 신발은 전용 페달과 함께 같은 힘으로 보다 빠르고 강한 페달링을 할 수 있게 해준다. 가볍고 튼튼하며, 땀이 잘 배출되도록 통풍이 잘 되는 것이 특징이다. 크게 사이클과 MTB용이 있으며, MTB용은 다시 크로스컨트리 레이싱과 프리라이딩, 다운힐용으로 나뉜다.
사이클과 MTB XC 레이싱용 신발은 빠른 페달링을 위해 바닥을 딱딱하게 만드는데, 고급 제품의 경우 강도를 높이고 무게를 줄이기 위해 밑창을 카본으로 제작한다. 프리라이딩과 다운힐용 모델은 과격한 라이딩에서 발목을 보호하기 위해 목이 높고 바닥이 두껍고 부드러운 운동화 스타일이다. 또한 클립리스 페달과 신발의 연결고리인 클릿이 바닥으로 튀어나오지 않아 걸을 때 노면과 클릿이 부딪히지 않고 걷기에도 편하다.
신발 역시 용도에 맞게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페달링 때 신발이 벗겨지거나 안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발 사이즈에 딱 맞는 것을 신어야 한다. 사이즈 표기는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mm로 되어 있지 않고 유럽과 미국식 표기를 사용한다.
조임 장치로는 끈, 접착 스트랩(Strap), 버클 등이 쓰인다. 접착 스트랩과 버클 방식은 신발을 쉽게 벗고 고정할 수 있으며, 버클 방식은 가장 단단하고 발에 잘 맞게 조일 수 있다.

 

1. DMT
얼티맥스 카본(ULTIMAX CARBON)
이탈리아 DMT의 최고급 도로용 모델로 가볍고 단단한 카본 밑창을 사용한다. 룩(LOOK) 페달 전용 모델이다. 26만 원선



 

2. 노스웨이브(NORTHWAVE)
지네틱스(GENETIX)
노스웨이브의 최고급 모델로 티타늄 밑창을 사용한다. 사이즈 39~42. 31만 원선

 


3. 시마노(SHIMANO)
SH-R215
시마노가 새로 선보인 최고급 신발로 카본을 사용한다. 무게 610g. 29만 원선

 

4. SH-TR01
트라이애슬론 전용 신발로 카본 밑창을 쓴다. 페달링 하면서 신기 쉽게 뒤쪽에 큰 고리가 달렸다. 무게는 616g. 25만 원선


 

5. 시디(SIDI)
에너지(ENERGY)
시디의 최고급 모델로 루카 피올리니, 알베르토 로토도 등 세계적인 선수들이 사용하고 있다. 23만 원선


6. 디아도라(DIADORA)
스콜피온 카본(SKORPIONE CARBON)
디아도라의 최고급 XC 레이싱 모델로 가볍고 단단한 카본 밑창을 사용한다. 32만 원선



 

7. 엑서스타(EXUSTAR) / E-SM301
듀얼 몰드 아웃솔을 사용해 접지력이 좋으며, PU 코팅의 천연가죽과 메시 사용해 편안하고 가벼우며 통기성도 뛰어나다. 새로운 디자인의 트리플 벨트로 스트랩을 사용해 사이즈 조절이 편하다. 13만 원선

 

8. DMT
R3 크로스(CROSS)
이탈리아산 고급 모델로 합성수지 밑창을 사용한다. 18만 원선


 

9. 가에르네(GAERNE)
로타(ROTA)
로타는 이탈리아 개르네의 중저가 모델로 합성수지로 만든 단단한 밑창을 쓴다. 16만 원선



10. 노스웨이브(NORTHWAVE)
이구아나(IGUANA)
노스웨이브의 크로스컨트리 레이싱용 모델로 단단하고 부드러운 합성수지 밑창을 썼다. 25만 원선


 

11. 시디(SIDI)
드래곤(DRAGON) SRS
시디의 최고급 XC 레이싱 모델이다. 특수 재질로 만든 밑창은 잘 닳지 않으며 교환할 수 있다. 32만 원선


 

12. 시마노(SHIMANO)
SH-M180B
시마노의 2004년형 신제품으로 최고급 모델인 SH-M221와 소재만 다르고 디자인과 기능은 같다. 무게는 795g. 18만 원선


 

13. 레이크(LAKE)
MX 160
레이크의 바이그램 밑창을 사용해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가죽 및 메시 원단을 사용해 통풍이 잘 된다. 13만 원선


14. 스페셜라이즈드(SPECIALIZED)
프로(PRO) MTB
스페셜아이즈드의 최고급 XC 레이싱용 신발이다. 첨단소재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해 가볍고 착용감이 좋다. 25만 원선



 

15. 나이키(NIKE)
YVR-2
단단하면서도 걷기 편한 나일론 6.6 재질의 밑창을 사용했다. 견고한 TDW 메시와 인조가죽으로 만들어 가볍고 부드럽다.

17만 원선

 

 


MTB 프리라이딩, 다운힐용

16. 캐논데일(CANNONDALE)
MC900
캐논데일의 프리라이딩용 모델로 뛰어난 디자인에 높은 기능성을 지녔다. 가볍고 그립력이 좋은 밑창에 나일론 메시와 합성가죽으로 만들었다. 19만 원선


 

17. 디아도라(DIADORA)
짐(GYM) RPM
디아도라의 프리라이딩용 모델로 가볍고 편안한 밑창을 사용해 걷기 편하다. 11만 원선


 

18. 레이크(LAKE)
MX101
가죽 및 메시 원단을 사용해 발 보호 및 통풍성이 좋다. 부드럽고 튼튼한 바이그램 밑창을 사용했다. 11만 원선


 

19. 나이키(NIKE)
카토(KATO)-2
나이키의 2004년 신 모델로 튼튼하고 잘 미끄러지지 않는 합성수지 밑창에 Q1000 인조가죽과 니일론 망사 갑피를 사용했다. 12만 원선


 

20. 시마노(SHIMANO)
SH-M21D
시마노가 새롭게 선보인 초보 프리라이더를 위한 모델이다. 가볍고 튼튼한 밑창은 걷기 편하고, 발목을 보호하기 위해 목을 높게 만들었다. 무게는 760g. 7만 원선


 

21. 스페셜라이즈드(SPECIALIZED)
락하퍼(ROCKHOPPER)

라이딩과 하이킹에 알맞은 모델로 접지력이 높은 밑창과 케블러 등 튼튼한 재질의 소재를 사용했다. 인체공학적으로 만들어 편안하다. 16만 원선



 

 

 

 

 


1. DMT-ULTIMAX CARBON


2. NORTHWAVE

-GENETIX



3. SH-R215

 



4. SH-TR01



5. SIDI-ENERGY

 



6. DIADORA

 



7. EXUSTAR

 



8. DMX-CROSS

 

 


9. ROTA



10. IGUANA



11. DRAGON-SRS



12. SH-M180B

 



13. MX-160

 



14. YVR-2

 



15. PRO-MTB

 

 


16. CANONDALE

 



17. GYM RPM

 

 


18. MX-101

 

 


19. DATO-2

 

 


20. SH-M21D

 



21. ROCKHOPPER

 

 

 

 

 

 

 

 

 

 

 

 

 

 

 

 

 

 

 

 

 

 

 

 

 

 

 

 

 

 

 

 

 

 

 

 

 

 

 

 

 

 

 

 

 

 

 

 

 

 

 

 

 

 

 

 

 

 

 

 

 

 

 

 

 

 

 

 

 

 

 

 

 

 

 

 

 

 

 

 

 

 

 

 

 

 

 

 

 

 

 

 

 

 

 

 

 

 

 

 

 

 

 

 

 

 

 

 

 

 

 

 

 

 

 

 

 

 

 

 

 

 

 

 

 

 

 

 

 

 

 

 

 

 

 

 

 

 

 

 

 

 

 

 

 

 

 

 

 

 

 

 

 

 

 

 

 

 

 

 

 

 

 

 

 

 

 

 

 

 

 

 

 

 

 

 

 

 

 

 

 

 

 

 

 

 

 

 

 

 

 

 

 

 

 

 

 

 

 

 

 

 

 

 

 

 

 

 

 

 

 

 

 

 

 

 

 

 

 

 

 

 

 

 

 

 

 

 

 

 

 

 

 

 

 

 

 

 

 

 

 

 

 

 

 

 

 

 

 

 

 

 

 

 

 

 

 

 

 

 

 

 

 

 

 

 

 

 

 

 

 

 

 

 

 

 

 

 

 

 

 

 

 

 
다음검색
댓글
  • 09.09.12 08:49

    첫댓글 사진이 모두 잘렸네요!!

  • 작성자 09.10.10 00:02

    그렇게요..ㅠㅠ

  • 10.04.13 20:50

    감사합니다.....많은것배우고 갑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