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에베의 왕인 라이오스와 왕비인 이오카스테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오이디푸스이다. 왕과 왕비는 태어난 아이가 장차 “아비를 죽이고 어미를 범한다”는 무서운 신탁(神託)을 받았다. 신탁을 두려워한 나머지 어린 오이디푸스의 발목을 묶어 부하를 시켜 인적 없는 산에 내다 버리게 하였다. 그래서 '퉁퉁 부은 발'이라는 의미의 Oidipous라는 이름이 유래가 되었다.
그러나 그 일을 맡은 부하는 오이디푸스를 차마 버리지 못하고 이웃나라 코린토스의 목동에게 아이를 넘겨준다. 목동은 아이를 코린토스의 왕에게 데려가고 왕은 그 아이를 양자로 키운다. 오이디프스도 똑 같은 신탁(아비를 죽이고 어미를 범한다)을 받는다. 그래서 코린토스의 왕과 왕비를 친 부모로 생각한 오이디푸스는 장차 자신이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할 것이라는 끔찍한 운명을 피하기 위하여 코린토스를 떠나 방랑한다.
오이디푸스는 테에베에 이르는 좁은 길에서 한 노인을 만나 사소한 시비 끝에 죽이고 말았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그 노인이 곧 자기의 친부이자 테에베의 왕인 라이오스였다. 당시 테에베에는 스핑크스라는 괴물이 나타나 지나가는 나그네에게 수수께끼를 내어 풀지 못하면 잡아먹었다. 남편이 죽어 왕위를 물려받은 테에베의 여왕은 이 괴물을 죽이는 자에게 왕위는 물론, 자기 자신까지도 바치겠다고 약속한다.
오이디푸스는 지혜롭고 용맹한 용사였다. 스핑크스가 낸 수수께끼를 풀어서 스핑크스가 치욕에 못 이겨 자살하게 만들었다. 오이디푸스는 테에베의 오랜 골치거리였던 스핑크스를 죽이고 테에베에 당당하게 입성하면서 약속대로 여왕과 결혼하여 왕이 되면서 부지불식간에 끔찍한 신탁이 실현되고 말았다. 영문을 모르는 오이디푸스는 순풍에 돛 달듯 승승가도를 달리는 자신의 인생에 대해서 의기양양할 뿐이었다.
어무튼 세월이 가면서 그와 여왕 사이에서 두 아들과 두 딸을 낳았다. 오이디푸스는 테에베를 잘 통치하였으나 어느 때부터 이 나라에 심한 역병이 돌았다. 고민하던 오이디푸스는 이 역병의 도는 이유를 알 기 위해 왕비의 남동생 크레온을 아폴론 신전에 보내 신탁을 받게 한다. 신탁은 “선왕 라이오스를 죽인 사람을 찾아서 복수해주면 역병이 물러간다.”고 하였다.
예전에 자신이 길거리에서 죽인 노인이 바로 자신의 아버지 라이오스라는 사실을 전혀 모르는 오이디푸스는 라이오스의 살해자를 찾아 복수할 것을 맹세하고 그리스 최고의 예언가를 불러온다.
그 예언가는 오이디푸스가 찾고 있는 살해자가 바로 그 자신임을 말해 준다. 그러나 Incredible(믿을 수 없어)! 오이디푸스는 왕비의 남동생 크레온이 자신의 왕위를 노리고 예언가 테이레시아스에게 사주한 것으로 알고 분개한다. 그러나 곧 왕비 이오카스테에게 똑 같은 신탁(아비를 죽이고 어미를 범한다)이 내려져서 아이를 버렸던 과거사를 듣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양부였던 코린토스의 왕의 죽음을 알리러 온 사자가 버려진 아이를 데려온 목동에게서 아이를 받아 코린토스 왕에게 바쳤다는 말을 듣는다. 마지막으로 목동에게까지 확인하니 모든 것이 사실이었다.
결국 끔찍한 신탁이 모두 실현된 것이었다. 왕비 이오카스테는 자기 자식과 결혼하여 아이들 낳았다는 가공(可恐)스러운 현실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하고 만다. 오이디푸스도 이오카스테의 브로치로 두 눈을 찔러 장님이 되고 만다. 절망한 오이디푸스는 테에베를 크레온에게 맡기고 딸 안티고네에 의지하여 각지를 떠돌며 방랑하다가 결국 객사한다.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프스왕>은 왕좌에 오른 후, 자신의 출생의 의문을 파헤쳐 나가는 심리적 기법을 펼쳐 보이는 비극(悲劇)이다. <오이디푸스왕>, <안티고네>, <엘렉트라>는 모두 소포클레스의 작품이다. 지그먼트 프로이드가 심리학 용어로 ‘오이디프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로 사용하면서 더 유명해졌다. 프로이드에 의하면 오이디프스 콤플렉스는 아들이 무의식적으로 동성인 아버지를 증오하고 어머니에 대해서 품는 무의식적인 성적 애착을 갖는 것이라고 하였다.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딸이 무의식적으로 동성인 어머니를 증오하고 아버지에 대한 무의식적인 성적 애착을 갖는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