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감각 운동 영역
Manual Muscle Testing(근력도수검사, MMT)
목적 : * 기능장애를 진단하여 치료의 기초선과 접근방법을 결정하기 위함.
대상 : 금기대상자 이 외
금기대상자 - 탈골, 골절, 염증, 골다공증, 심혈관장애, 복수수술 후 등
Range of Motion(관절가동범위, ROM)
목적 : * 관절제한에 의한 기능장애를 규명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기 위함.
대상 : 금기대상자 이 외
금기대상자 - 염증이 있는 관절, 골다공증, 관절탈구, 혈우병, 혈종 등
감각 검사 (촉각,통각,압각,온도감각,고유수용성 감각,이점분별등)
목적 : * 감각은 운동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높은 운동기능을 가지고도 감각장애를
동반한다면 일상생활활동이 많은 제한을 받게 되므로 평가해야 함.
대상 :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 환자들에게 정기적으로 반드시 평가해야함.
Modified Ashworth Scale(근 긴장도 평가, MAS)
목적 : * funtion or/and stability 가 근긴장 문제로 인해 얼마나 손상 받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함.
* 검사자가 수동적으로 대상자의 관절을 움직였을 때 느껴지는 저항의 강도를 측정
2.상지 기능 영역
Manual Function Test(상지기능 검사, MFT)
목적 : * 뇌졸중 환자의 조기재활
* 신경학적 회복시기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능의 짧은 시간의 변화를 측정
대상 : 뇌졸중 환자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젭슨-테일러 손기능 검사)
목적 : * 기능적인 일상활동을 대표되는 과제를 통해 손의 기능과 협응능력을 평가하는 도구
* Writing a short sentence, Card turning, Picking up small common objects
Simulated feeding, Stacking checkers, Picking up large objects 등으로 구성
대상 : 5세 ~ 성인
Minnesota Rate of Manipulation Test(MRMT)
목적 : * 성인의 눈-손 협응, 속도, 손 동작을 평가
* Placing, Turing, Displacing, One-Hand Turning and Placing Test,
Two-Hand Turning and Placing Test 의 5개 test 구성
* 결과는 직업능력의 참고자료로 사용 가능
대상 : 성인
Box And Block Test
목적 : * 대동작 민첩성 측정 및 장애인의 직업전 평가에 사용
* 손의 기능에 있어 제한이 있거나 인지가 낮은 사람에게 사용
대상 : 심한 협응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사용
Purdue Pegboard
목적 : * 손가락의 기민성을 평가하기 위함.
* 직업고용을 위한 평가자료로 활용 가능
* 오른손, 왼손, 양손, 오른손과 양손, 해체 등의 5가지 항목으로 실시
대상 : 성인
Grooved Pegboard Test
목적 : * 섬세한 소동작 협응 능력을 검사하기 위함
* 25개의 구멍과 핀으로 구성
O'Conner Finger Dexterity Test(오코너 손 민첩성 검사)
목적 : * 섬세한 소동작 협응능력을 평가하기 위함
* 100개의 구멍에 핀을 3개씩 한 구멍에 넣는 시간으로 평가
장악력 평가
목적 : * 손의 근력을 평가하는 방법
* Dynamometer(악력계)를 사용하여 손의 전반적인 근력을 측정
3.일상 생활 영역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기능적 독립지수 측정, FIM)
목적 : * 일상생활을 평가하는 가장 대표적인 평가도구
* 운동, 인지의 총 18개 항목으로 구성
* 입원시, 퇴원시, 퇴원후 평가를 기본으로 한다.
Modified Barthel Index(바셀지수, MBI)
목적 : * 만성질환 환자의 일상생활 자립 정도를 알아 보기 위함
* 10가지 영역으로 구성
* 독립수준을 Total ~ Minimal 까지 5영역으로 나눔.
대상 : 만성질환을 가진 성인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척수 손상 독립지수 측정, SCIM)
목적 : * 척수 손상에 의한 사지/하지마비 환자의 기능적변화를 평가하기 위함.
대상 : 척수 손상 환자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캐나다 작업수행 측정, COPM)
목적 : * 작업수행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자가인식정도와 변화를 평가하기 위함
* 평가는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
* 자기관리, 생산적인 활동, 여가의 3가지 영역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수행도,
중요도, 만족도를 평가
대상 : 7세 이상의 환자 및 보호자
Assessment of Motor & Process Skills(AMPS)
목적 : * 일상 생활의 수행 시 어려움을 유발하는 운동과 처리기술을 파악하기 위함
* 일상 생활의 자립정도 예측할 수 있음
대상 : 3세이상의 모든 대상자
4.인지 지각 영역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간이 정신진단검사, MMSE-K)
목적 : * 짧은 시간내에 이지수행정도를 평가
* 6개 영역(지남력, 기억등록, 기억회상, 주의집중 및 계산, 언어기능, 이해 및판단)
으로 12개의 질문으로 구성
대상 : 신경계 및 노인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 검사, LOTCA)
목적 : * Orientation(지남력), Perception(지각력), Visuomotor Organization
(시동작의 조직화), Thinking Operations(사고 작용 영역)의 능력과 장애 파악
* 위의 4영역 20개로 구성됨.
대상 : 뇌손상 환자의 평가에 사용
5.아동 발달 영역
Denver Development Screening Test(DDST-Ⅱ)
목적 : * 발달의 문제점이 있는 어린이를 초기에 발견할 수 있는 도구.
* 125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Personal-Socoal(사회성 발달), Fine Moter-Adaptive(미세운동 및 적응발달)
Language(언어발달), Gross Motor(대운동발달) 의 4영역으로 구분
대상 : 생후 2주의 신생아 ~ 만 6세까지의 어린이
DeGangi-Berk Test of Sensory Integration
목적 : * 감각 통합 장애의 전반적인 측정
* 36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Postural Control, Bilateral Motor Integration, Reflex Integration 의 3영역으로 구분
대상 : 3 ~ 5세의 학령전 아동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BSID-Ⅱ)
목적 : * 발달지연을 위한 진단도구
* 운동, 정신기능, 행동의 크게 3영역으로 구성
대상 : 1 ~ 42 개월의 아동
Bruinninks Oseretsky Motor Proficiency Test(브르닝스운동발달 검사)
목적 : * 운동기능 평가도구로 대근육, 소근육 운동기술을 평가
* 8개의 소검사와 46개의 항목으로 구성.
대상 : 4세 ~ 14세
Developma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시지각 평가, DTVP-2)
목적 : * 시지각 평가도구로 시각운동 통합능력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 8개 하위영역으로 구성
- eye-hand coordination, position in space, copying,
figure-ground, spatial relations, visual closure,
visure-motor speed, form cinstancy
대상 : 4세 ~ 10세 아동으로 최소한의 언어의 사용이 가능한 지각손상, 학습장애,
신체적장애가 있는 아동에게 적용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R(MVPT-R)
목적 : * 운동기능 장애가 있는 아동에게 적절한 시지각 기능을 평가
* 5의 영역의 40문항으로 구성
대상 : 4세 ~ 11세 아동
참고문헌
이재신 외. (2004) 최신 작업치료학 개론(p125 ~ p170), 탑메디오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