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성공(부인 포함) 홍주천의 묘소 및 묘비 설치에 따른 연도별 참고 자료
※ 자료 출처 : 찬성공 표석 음기(贊成公 表石 陰記) 및 행장
1. 선비(先妣) 안동김씨(安東金氏) 사망 (1664년)
일찍이 병에 걸려 오랫동안 고생하셨는데 소자가 볼품이 없어 마련해드린 치료약이 효험을 보지 못해 갑진년(1664) 10월 24일 갑자기 세상을 등졌으니, 아! 슬프고 슬프다.
夙嬰疾病, 積年沉痼, 小子無狀, 醫藥莫效, 以甲辰十月二十四日, 奄至棄背. 嗚呼痛哉!嗚呼痛哉!
2. 선군(先君, 12세 주천) 사망
신해년(1671) 4월 20일 작은 병으로 갑자기 자녀들을 저버리고 떠나셨으니 향년 54세이다. 이는 불초 소생 등이 정성과 효도가 모두 미천해서 하늘을 감동시키지 못한 탓이다. 아, 애통하구나! 아, 애통하구나!
以辛亥四月二十日, 因微恙奄棄諸孤, 享年五十四, 此無非不肖等, 誠孝淺薄, 未能感天. 鳴呼痛哉! 鳴呼痛哉!
3. 후비(後妣) 완산이씨(完山李氏) 사망 (1673년)
신해년(1671)에 선군(先君) 상을 당하여 밤낮으로 가슴을 치며 곡을 하며 슬픔이 예절에 벗어날 정도로 슬퍼해 몸이 크게 손상을 입어 병에 휩싸임으로서 복을 마치고 난 뒤 계축년(1673) 11월 30일 마침내 세상을 버렸으니 향년 33세였다. 아! 슬프고 슬프다.
辛亥遭先君喪, 日夜哭擗, 哀毁過節, 大致損敗, 遞纒疾恙, 服除後, 以癸丑十一月三十日, 竟至棄背, 享年三十三. 嗚呼痛哉!嗚呼痛哉!
4. 선군(先君, 12세 주천) 사망시 묘소 위치 (1671년)
선군(先君, 12세 주천)의 상 때는 고양(高陽)의 고봉(高峯) 선영 건좌(乾坐) 경향(庚向)의 기슭에 임시로 매장했다가 이후 합장하였고, 선비(先妣)상에도 역시 고봉산 신좌(辛坐) 을향(乙向)의 기슭에 임시로 매장하였다.
先君喪, 權窆于高陽高峯先塋側乾坐庚向之原, 以後祔葬焉, 先妣喪, 亦權窆于山內辛坐乙向之原.
5. 선군(先君, 12세 주천) 현위치 묘소 이전 (1688년)
무진년(1688)에 고양(高陽) 고봉(高峯) 아래 성동리(城洞里) 선영 바깥 언덕의 인향(寅向) 언덕에 세분을 합폄(合窆)하고, 묘 옆에 묘지(墓誌)을 묻었는데, 묘지문을 종가에서 잃어버려 함께 실을 수가 없다.
조문규(趙文奎)는 태흥(泰興)으로, 중재(重載)는 중형(重亨)으로 후에 개명하였으며, 그 나머지 자손들은 표석 음기(陰記)에 자세히 싣는다. 이 선군의 행장은 계축년(1673) 계비(繼妣) 상 이후에 지은 것으로 연대가 상세하게 나와 있다.
무진년(1688) 60주년 되는 해에 추가로 쓰다.
歲戊辰, 合窆三位於高陽高峯下城洞里先塋外麓寅向之原, 埋誌墓側, 而誌文自宗家見失, 不得幷載. 趙文奎後改名泰興, 重載後改重亨, 其餘子孫錄, 祥載表石陰記. 此行狀先君, 癸丑年遭繼妣喪以後所撰, 而出詳年條.
戊辰周甲之嵗追識
6. 선군(先君, 12세 주천) 묘비 건립 (1693년)
아들 통정대부(通政大夫) 수(守)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 겸(兼) 병마수군절도사(兵馬水軍節度使) 순찰사(巡察使) 전주부윤(全州府尹) 만조(萬潮)가 피눈물로 삼가 적는다.
종질 가선대부(嘉善大夫) 한성부윤(漢城府尹) 우윤(右尹) 겸(兼)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총관(副摠管) 박경후(朴慶後)가 뒤에 기록한다.
숭정기원후 66년 계유(1693년) 월 일 세우다.
男, 通政大夫 守 全羅道觀察使 兼 兵馬水軍節度使 巡察使 全州府尹 萬潮, 泣血謹識.
從侄, 嘉善大夫 漢城府尹 右尹 兼 五衛都摠府 副摠管 朴慶後 書
崇禎紀元後六十六年癸酉 月 日立
7. 선군(先君, 주천) 및 부인 사망과 묘소 및 묘비 건립 현황
※ 1664년 첫째 부인 사망(고봉산 신좌(辛坐) 을향(乙向)의 기슭에 임시로 매장)
※ 1671년 선군(주천) 사망(고양(高陽)의 고봉(高峯) 선영 건좌(乾坐) 경향(庚向)의 기슭에 임시로 매장)
※ 1673년 둘째 부인 사망
※ 1688년 세분 합폄[고봉(高峯) 아래 성동리(城洞里) 선영 바깥 언덕의 인향(寅向)]
※ 1693년 묘비 건립
※ 자료 출처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https://blog.naver.com/hahnguibok/20144220596 (정발산터줏대감) 2011. 11. 25
洪柱天은 朝鮮朝 後期의 文臣으로 本貫은 豊山이며, 字는 井勳이다. 吏曹參判 兼 同知義禁府事, 五衛都摠府 都摠管 等을 지냈다. 光海君 때 大司憲을 지냈고 高陽八賢 中 한분인 慕堂 洪履祥의 孫子이며 吏曹參判 兼 同知義禁府事, 五衛都摠府 都摠管, 陽城縣監 等을 지냈다. 豊山洪氏 家門은 그의 대에 이르러 黨爭이 熾烈한 朝廷에서 西人勢力의 核心 家門 가운데 하나로 浮上하였다. 肅宗 때 都承旨, 刑曹判書, 判敦寧府事 等의 높은 벼슬을 지낸 晩退 洪萬朝가 아들이다.
洪柱天 墓는 高陽市 一山東區 城石洞 사당골 마을에 位置하고 있다. 墓는 配 贈貞夫人 安東金氏, 配 贈貞夫人 完山李氏가 하나의 封墳으로 되어 있다. 花崗石의 屛風石이 둘러쳐진 封墳은 그 둘레가 28m에 이르며 封墳의 높이 또한 230cm의 規模이다. 封墳의 正面으로는 床石, 魂遊石, 香爐石 等이 配置되어 있다. 좋은 花崗石을 使用한 石物들은 모두 넉넉하고 豊饒로움을 느끼게 한다. 특히 封墳의 左右에 세워져 있는 文人石과 長明燈은 매우 뛰어난 石物로 評價 된다.
마치 작은 龍 모습과 恰似한 石獸가 望柱石 들을 오르내리고 있다. 이 石獸 는 기둥에 붙어 이빨과 발톱 等이 詳細하게 彫刻되어 있다. 望柱 側面에 세워진 文人石은 各 部分의 무늬 彫刻 手法이 매우 精巧하다. 冠服에 보이는 여러 수, 무늬 等이 그대로 表現 되었고 얼굴 表情에서도 豊饒로움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封墳 左側에 세워진 墓碑는 높이 280cm, 幅 58cm, 두께 43cm로 매우 特異한 模樣을 하고 있다.
碑의 材質은 花崗石인데 碑身의 모양이 直四角形으로 다른 墓碑에 비해 두께가 두 배 以上 두텁다. 碑文은 全面에 걸쳐 記錄되어 있는데 碑의 前面 에는 『贈嘉善大夫 吏曹參判 兼同知義禁府事 五衛都摠府都摠管 副摠管 行通訓大夫 陽城縣監 水原鎭官兵馬郞制都尉 洪公柱天之墓 』라 記錄 되어있다. 이 碑의 碑文은 “崇禎紀元後 66年”으로 쓰여져 있어 朝鮮朝 肅宗 19年 (1693年)에 세워진 것임을 알 수 있다.
※ 자료 출처 : 네이버 지식 백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사당골 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홍주천의 묘.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사당골 마을
시대 조선시대
본문
첫째 부인 정부인(貞夫人) 안동 김씨(安東金氏), 둘째 부인 정부인(貞夫人) 완산 이씨(完山李氏)와 함께 합장묘로 조성되어 봉분은 단분이다. 봉분 뒤편으로 병풍석이 둘러싸고 있다. 봉분은 보기 드물게 큰 규모로 둘레가 28m에 이르고 높이도 2.3m에 달한다.
봉분 앞에 상석, 향로석, 혼유석이 있고 봉분 좌우로 문인석, 망주석, 장명등이 세워져 있다. 질 좋은 화강석 재질의 문인석은 조각 기법이 훌륭하며, 망주석에는 석수가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봉분 왼쪽에 있는 화강석 묘비는 1693년(숙종 19)에 건립한 것으로 높이 280cm, 폭 58cm이며 앞면 전체에 비문이 새겨져 있다. 홍주천은 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등을 지냈다.
贊成公(찬성공) 홍주천(洪柱天)의 세계와 관직(행적)
출처 : 찬성공 행장과 표석 등에서 참고하여 작성함 |
순 | 왕 | 간지 | 년 | 월 | 일 | 세계와 관직(행적) |
1 | 광해군 10년 | 무오년 | 1618 | 11 | 8 | 출생 |
2 |
| 임오년 | 1642 |
|
| 상상(上庠: 성균관) - 진사 |
3 | 인조 18년 |
| 1640 |
|
| 첫째 만원(萬源) 출생 |
4 | 인조 23년 |
| 1645 | 11 | 18 | 둘째 만조(萬潮) 출생 |
5 |
| 무자년 | 1648 |
|
| 희릉 참봉(禧陵參奉) |
6 |
| 신묘년 | 1651 |
|
| 참찬부군(參贊府君: 홍탁)의 상 |
7 |
| 계사년 | 1653 |
|
| 강릉 참봉(康陵 參奉) |
8 |
| 갑오년 | 1654 |
|
| 광흥창 부봉사(廣興倉 副奉事) |
9 |
| 갑오년 | 1654 |
|
| 빙고 별검(氷庫 別檢) - 파직 |
10 |
| 정유년 | 1657 |
|
| 의금부 도사(義禁府 都事) |
11 |
| 무술년 | 1658 |
|
| 사첨시 직장(司瞻寺 直長) |
12 |
| 기해년 | 1659 |
|
| 장악원 주부(掌樂院 主簿) |
13 |
| 임인년 | 1662 |
|
| 전생서 주부(典牲署 主簿) - 품계 하락 |
14 |
| 임인년 | 1662 |
|
| 양성 현감(陽城 縣監) |
15 |
| 을사년 | 1665 |
|
| 훈국 낭장(訓局 郞掌) - 병기 관리 |
16 |
| 갑진년 | 1664 | 10 | 24 | 정부인 안동김씨(安東金氏) 상 병진년(1616) 9월 24일 출생 고봉산 신좌(辛坐) 을향(乙向)의 기슭에 임시로 매장 |
17 |
| 경술년 | 1670 |
|
| 훈국 낭장(訓局郞掌) - 군량 관리 |
18 |
| 신해년 | 1671 | 4 | 20 | 별세(54세) 고양(高陽)의 고봉(高峯) 선영 건좌(乾坐) 경향(庚向)의 기슭에 임시로 매장 |
19 |
| 계축년 | 1673 | 11 | 30 | 후비(後妣) 완산 이씨(完山李氏) 상(33세) 신사년(1641) 1월 9일 출생 |
20 | 숙종 14년 | 무진년 | 1688 |
|
| 고양(高陽) 고봉(高峯) 아래 성동리(城洞里) 선영 바깥 언덕의 인향(寅向) 언덕에 세 분을 합폄(合窆) |
21 |
| 계유년 | 1693 |
|
| 묘비 세움 : 만조(萬潮) 가 적고 종질 박경후(朴慶후)가 기록 |
※ 12세 홍주천의 자녀 : 3남(만원, 만조, 만동) 2녀 ① 홍만원(세손은 주로 당진, 서산, 예산에 세거함 – 공조정랑공파종회) : 현감 이경항(李景沆)의 딸에게 장가 들어 2남(중적, 중겸) 2녀를 둠 ② 홍만조(세손은 주로아산, 천안에 세거함 - 정익공파종회) : 봉사 권진(權瑱)의 딸에게 장가 들어 4남 2녀를 둠. ③ 홍만동 : 일찍 사망 ④ 장 녀 : 신휴석(申休錫)에게 시집을 가서 2남 1녀를 둠 ⑤ 차 녀 : 사인(士人) 조문규(趙文奎)에게 시집 감 |
첫댓글 귀한 자료입니다.
종질 한성부윤 박경후(朴慶後) 쓰다(書)를 박경이 후에 쓴것으로 잘못 번역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