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장경악 장개빈 통일자 경악전서 유경 유경도익 유경부익 질의록
 
 
 
카페 게시글
잡증모01 (10-12) 09. 중풍(中風)에 대한 치료(治)를 논(論)하다
코코람보 추천 0 조회 6 23.09.10 20:41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3.09.10 20:44

    첫댓글 풍(風)을 치료(治)하는 법(法)은 천심(淺深) 허실(虛實) 및 중경(中經) 중장(中臟)의 변별(辨)에 대해 살펴야 한다.

    중경(中經)은 사기(邪)가 삼양(三陽)에 있으니 그 병(病)이 그래도 얕다.
    중장(中臟)은 사기(邪)가 삼음(三陰)에 들어간 것이니, 그 병(病)이 심(甚)한 것이다.

    만약 천(淺)에 있을 때 치료(治)하지 않으면 점차 깊은 곳으로 들어간다.
    경(經)에 있을 때 치료(治)하지 않으면 점차 장(臟)으로 들어간다.
    이는 천심(淺深)으로 말한 것

    또 만약 정기(正)가 사기(邪)를 승(勝)하면 그 사기(邪)를 직접 공(攻)할 수 있다.
    정기(正)가 사기(邪)를 승(勝)하지 못하면 반드시 먼저 그 근본(本)을 돌아보아야 한다.
    이는 허실(虛實)로 말한 것

  • 작성자 23.09.10 20:44

    대풍(大風) 대한(大寒)이 삼음(三陰)에 직중(直中)하여 위(危)에 이른 경우, 금궤속명탕(金匱續命湯)에서 석고(石膏)를 거(去)한 것으로 치료(治)
    풍한(風寒)이 경(經)에 있어 두동(頭疼) 오한(惡寒)하고 구급(拘急) 신통(身痛)하면 마땅히 마황탕(麻黃湯) 마계음(麻桂飮)을 증(證)에 따라 가감(加減)하여 주(主)
    심(甚)하면 또한 속명탕(續命湯)
    두동(頭疼) 유한(有汗) 오풍(惡風)하면 계지탕(桂枝湯)이나 혹 오적산(五積散)
    풍사(風邪)가 경(經)에 있어 열다(熱多) 한소(寒少)하면서 편고(偏枯) 동통(疼痛) 발열(發熱)하면 마땅히 대진교탕(大秦艽湯)으로 주(主)
    심(甚)하면 유풍탕(愈風湯)

  • 작성자 23.09.10 20:44

    풍한(風寒)의 제병(諸病)은 외감(外感)의 증(證)
    경(輕)하고 천(淺)하여 폐(肺)에 있으면 상풍(傷風)
    조금 심(深)하여 표리(表裏)의 사이에 있으면 학질(瘧疾)
    경락(經絡)에 유연(留連)하면 한열왕래(寒熱往來)
    육경(六經)에 두루 전(傳)하여 내(內)를 철(徹)하고 외(外)를 철(徹)하면 상한(傷寒) 온역(瘟疫)
    근골(筋骨)에 오래 머무르면(:留) 풍비(風痺) 통풍(痛風)이나 혹 편풍(偏風)
    풍열(風熱)이 위에서 옹(壅)하면 대두시독(大頭時毒)
    풍습(風濕)이 상박(相搏)하면 대풍(大風) 여풍(癘風)
    부(浮)하여 기부(肌膚)에 있으면 반진(斑疹) 창독(瘡毒)
    영남(嶺南)에서 감(感)하였으면 장기(瘴氣)
    이들은 모두 풍한(風寒)에 외감(外感)한 병(病)

    이를 제외(:舍外)하고 단지 표증(表證)이 없다면 모두 풍(風)이라고 지칭(指)할 수가 없다.

  • 작성자 23.09.10 20:46

    학습목표
    1. 풍한에 중한 경우에 대한 변별
    2. 풍한에 직중한 것에 대한 처방
    3. 풍한의 제병들

  • 작성자 24.02.22 22:06

    ◆ 대풍(大風) 대한(大寒)이 삼음(三陰)에 직중(直中)하여 위(危), 금궤속명탕(金匱續命湯) -석고(石膏)
    풍한(風寒)이 경(經)에 있어 두동(頭疼) 오한(惡寒)하고 구급(拘急) 신통(身痛) - 마황탕(麻黃湯) 마계음(麻桂飮)
    심(甚)하면 속명탕(續命湯)
    두동(頭疼) 유한(有汗) 오풍(惡風) - 계지탕(桂枝湯)이나 오적산(五積散)
    풍사(風邪)가 경(經)에 있어 열다(熱多) 한소(寒少)하면서 편고(偏枯) 동통(疼痛) 발열(發熱) - 대진교탕(大秦艽湯)
    심(甚)하면 유풍탕(愈風湯)

    경(輕)하고 천(淺)하여 폐(肺)에 있으면 상풍(傷風)
    조금 심(深)하여 표리(表裏)의 사이에 있으면 학질(瘧疾)
    경락(經絡)에 유연(留連)하면 한열왕래(寒熱往來)
    육경(六經)에 두루 전(傳)하여 내(內)를 철(徹)하고 외(外)를 철(徹)하면 상한(傷寒) 온역(瘟疫)
    근골(筋骨)에 오래 머무르면(:留) 풍비(風痺) 통풍(痛風)이나 혹 편풍(偏風)
    풍열(風熱)이 위에서 옹(壅)하면 대두시독(大頭時毒)
    풍습(風濕)이 상박(相搏)하면 대풍(大風) 여풍(癘風)
    부(浮)하여 기부(肌膚)에 있으면 반진(斑疹) 창독(瘡毒)
    영남(嶺南)에서 감(感)하였으면 장기(瘴氣)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