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2년
1903년
1904년
2월 7일: 일본 연합함대의 대규모 무력군단을 본 러시아 제국의 포함인 코리에츠는 여순항에 지원 요청을 보냄
2월 8일
이른 아침, 코리에츠함이 일본의 순양함 지요다구를 발견하고 포를 쏨, 지요다구는 어뢰대응, 양측 화재발생,
이후, 일본의 우류제독이 경순양함, 어뢰정 10여척을 이끌고 3000명의 군사들을 제물포에 상륙시킴
이후, 서울과 대한제국의 나머지 부분을 점령
2월 9일
오후까지 일본군과 러시아군이 전투를 벌여 일본군이 러시아군의 승조원을 학살함, 이후 러시아 군은 전함 두 대를 자침시킴.
일본 함대가 제물포 항구에 5만명의 병력을 상륙시킴
2월 12일
러시아공사가 철수함.
대한제국과 러시아는 국교가 단절됨,
침몰한 러시아의 함정은 인양되어 일본군 함정으로 개조됨.
2월: 뤼순에 러시아 제국의 해군 중장, '오시포비치 마카로프' 임명
3월: 뤼순에 러시아 제국의 해군 중장, '오시포비치 마카로프' 부임
4월 13일: 러시아 제국의 해군 중장, '오시포비치 마카로프'가 탄 기함이 기뢰에 피격, 격침되고 제독 자신도 전사.
4월 30일: 러시아 제국군과 일본 제국군 사이에 신의주 주변에서 '압록강 전투' 발생
6월: 중순, 노기 마레스케 대장을 지휘관으로 하는 일본군 제3군 다롄에서 편성 완료
7월 12일: 일본군 제3군, 공식적인 일본 해군의 요청을 받고 즉시 뤼순 공략에 착수
8월 1일: 뤼순 공방전 시작
8월 19일: 뤼순 공방전 1차 총공세 시작
8월 24일: 뤼순 공방전 1차 총공세 종료
9월 19일: 뤼순 공방전 2차 총공세 시작
9월 22일: 뤼순 공방전 2차 총공세 종료
10월 26일: 뤼순 공방전 3차 총공세 시작
10월 30일: 뤼순 공방전 3차 총공세 종료
11월 초: 러시아 제국의 제2태평양함대가 인도양에 도착했다는 정보를 입수
12월 6일: 뤼순 공방전 4차 총공세, 203고지 종료: 러시아 측 사상자 6천여명, 일본측 사상자 1만6천여명.
1.1.1. 1905, 쓰시마 해전[편집]1.2. 러일전쟁(1904 ~ 1905) 끝[편집]1.2.1. 1905, 을사조약[편집]
1905년
1906년
1907년
7월 19일
대한제국 1대 황제, 고종 폐위(재위기간: 9년 9개월 8일, 3568일)
대한제국 2대 황제, 순종 즉위(재위기간: 3년 1개월 9일, 1137일)
1.2.2. 1908, 미국 FBI, BOI(Bureau of Investigation)로 탄생[편집]
1909년
1910년
1911년
1912년
일자미상: 토머스 인스, 인스빌(후에 헐리우드가 됨)이라는 마을을 만듦.
4월 14일: 밤 11시 40분, RMS 타이타닉호 빙산과 충돌, 이후 침몰.
7월 30일:
9월 13일: 노기 마레스케 할복
1913년
2. 제1차 세계 대전(1914 ~ 1918, 5년간)[편집]2.1. 1914[편집]2.1.1. 1914, 사라예보 사건[편집]2.1.2. 1914,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전쟁 선포[편집]2.1.3. 1914, 독일 제국, 벨기에 침공[편집]2.1.4. 1914, 독일 제국, 국경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승리[편집]2.1.5. 1914, 독일 제국, 탄넨베르크 전투에서 러시아 제국군에 승리[편집]2.1.6. 1914, 독일 제국, 마른 전투에서 발목이 잡힘[편집]2.1.7. 1914, 참호전의 시작(소모전)[편집]
1914년
6월 28일: 사라예보 사건 발생: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그의 부인이 세르비아의 민족주의 조직 대학생 가브릴로 프린치프에게 암살된 사건
7월 7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제국 내각이 소집됨
7월 19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첩문 완성
7월 23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통첩문 발송
세르비아의 주권을 침해하는 조항이 담겨짐
반오스트리아 교육의 금지
사라예보 사건에 연루된 세르비아 관리들의 체포 및 심문
오스트리아 관리가 직접 세르비아 영토에 들어가 수사에 참여할 것
48시간 안에 통첩에 대한 답문 요구
7월 25일: 세르비아, 최후통첩중 하나를 거부하고 나머지는 수용하는 결정을 통보하려 했으나 거부당함
7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세르비아에게 전쟁 선포
7월 31일: 러시아 제국, 세르비아의 독립을 보호할 것을 선언한 후, '총동원령'을 내림.
8월 13일
8월 14일
8월 15일
8월 16일
8월 20일: 국경 전투의 '로렌 공세'중 '모르주 전투' 발생: 프랑스 10000명의 사상자 발생, 독일제국의 승리.
8월 22일: 국경 전투의 '아르덴 공세': 프랑스 하루에 27000명의 사상자. 이후의 프랑스의 대후퇴.
8월 28일: 일본 제국,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
9월 5일: 프랑스 사령부, 센 강가의 샤틸롱쉬르센으로 옮김.
9월 6일: 마른 전투 시작
9월 10일: 마른 전투 끝.
10월: 독일 제국이 오스만 제국에게 제공한 두 척의 전함으로 러시아 제국의 세바스토폴 항구를 기습공격함. 이로서 오스만 제국도 얼떨결에 대전에 참여.
12월 8일: 포클랜드 해전: 독일 해군의 궤멸
12월 25일: 서부전선에서 대치하던 연합군과 동맹국은 암묵적으로 휴전한 채 각자의 참호에서 축하행사를 가짐. 크리스마스 정전
2.2. 1915[편집]2.2.1. 1915, 무제한 잠수함 작전[편집]2.2.2. 1915, 다르다넬스 해전[편집]2.2.3. 갈리폴리 상륙작전(1915 ~ 1916)의 시작[편집]
1915년
2월: 독일 제국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 실행: 연합국의 상선등을 무차별적으로 격침시킴
2월 19일: 다르다넬스 해전 시작
3월: 다르다넬스 해협에서 영국군이 4개의 요새를 파괴함.
3월 18일: 3척의 영국 전함이 침몰됨. 처칠은 갈리폴리 상륙작전을 입안함.
4월 25일: 갈리폴리 상륙작전 시작.
5월: 이탈리아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게 선전포고
5월 7일: 영국의 여객선 루시타니아 호가 무제한 잠수함 작전에 희생됨: 미국인 1000여명이 사망. 이후 독일은 미국에게 사과하고 작전을 중단함.
10월: 불가리아 왕국이 동맹국으로 참전, 세르비아 방면의 전투가 동맹국에게 유리하게 전개
2.3. 1916[편집]2.3.1. 갈리폴리 상륙작전(1915 ~ 1916)의 끝[편집]2.3.2. 1916, 베르됭 전투[편집]2.3.3. 1916, 솜 전투[편집]
1916년
일자미상: 금속 헬멧, 철모의 등장
1월: 갈리폴리 상륙작전 실패후, 퇴각함:연합군의 총병력 57만명중 30만명이 전사 혹은 부상. 오스만군 32만명의 병력중 25만명의 사상자 발생.
2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세르비아 점령.
2월 21일: 베르됭 전투 시작
5월: 유틀란트 해전
6월: 러시아 제국, 브루실로프 공세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게 큰 피해를 입힘.
7월: 솜 전투 시작
11월: 솜 전투 끝: 연합군 측 사상자 62만명, 독일제국의 사상자 52만명
12월 20일: 베르됭 전투 끝: 독일제국의 사상자 40여만명, 프랑스의 사상자 37만명
2.4. 1917[편집]2.4.1. 1917, 2차 무제한 잠수함 작전[편집]2.4.2. 1917, 러시아 제국의 멸망, 소련 탄생[편집]
일자미상: 미국의 주 중 2/3이상이 금주법을 실행중
1917년
2월: 독일 제국, 2번째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시작.
3월 8일: 구력 2월 23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비보로크의 방직공업 여성 노동자들과 푸틸로프 공장의 노동자들이 파업을 시작함.
3월 10일: 페트로그라드 전 도시의 총파업이 발생
3월 12일
볼린스키 연대의 병사들이 혁명 편에 가담함.
저녁, 타브리다 궁전에서 공장과 군대에서 선출된 대표가 모여 '페트로그라드 노동자 병사 대표소비에트'결성.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가 주로 구성됨.
3월 17일: 황태자 알렉세이, 남동생 미하일 대공 모두 황제직 불가능 상태로 판단, 러시아 제국은 없어지며 러시아 공화국이 선포됨.
3월: 미국 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 32기 민주당 임기종료
3월: 미국 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 33기 민주당 임기시작
3월: 치머만 전보 사건 공개
4월: 독일 제국, 레닌을 기차에 태워 러시아로 귀국시킴. 이후, '게오르기 르보프'의 임시정부를 무너트리려고 '4월 테제'를 발표
6월: 미군이 프랑스에 도착.
7월: 파스샹달 전투
8월 1일: 미국의 금주법안인 '볼스티드 법(Volstead Act)' 제출됨
10월: 카포레토 전투, 독일 제국은 이탈리아를 상대로 대승을 거둠.
11월 7일: 러시아 공화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변화, 이후 독일과 강화. 러시아 내전 시작.
2.5. 1918[편집]2.5.1. 1918, 우드로 윌슨, 민족자결주의 선언[편집]2.5.2. 1918, 미군의 본격적 병력 투입[편집]2.5.3. 1918, 백일전투의 승리[편집]
1918년
3. 전간기[편집]3.1. 1919, 3.1 운동, 5.4 운동[편집]
3.2. 광란의 1920년대(1919 ~ 1929) 시작[편집]3.2.1. 금주법 기간(1920 ~ 1933) 시작[편집]
1921년
1922년[1]
일자미상: '프리드리히 무르나우'의 영화 노스페라투(1922) 개봉.
12월 30일: 소비에트 연방 결성됨.
1923년
3.2.1.2. 1924, 이오시프 스탈린, 권력투쟁 승리[편집]
1925년
1926년
1927년
1928년
3.3. 광란의 1920년대(1919 ~ 1929) 끝[편집]3.4. 세계 대공황(1929 ~ 1939)의 시작[편집]
1929년
1930년
일자미상: 마피아 세력간에 카스텔람마레 전쟁이 벌어져 50명 이상이 사망함.
1932년
7월 8일: 다우지수 41.22를 기록. 바닥 중의 바닥.
3.4.2. 금주법 기간(1920 ~ 1933) 끝[편집]
1933년
일자미상: 독일유산학술협회, 아넨에르베, 민간기구로 설립
일자미상: 미국 연방 수사국, 'DOI'로 이름 변경
3월: 미국 31대 대통령 허버트 후버 36기 공화당 임기종료
3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37기 민주당 임기시작
3월 22일: 하인리히 힘러, 다카우 근처에 나치 수용소를 설립
3.4.2.1. 1934, 아돌프 히틀러의 등장[편집]
1934년
1935년[2]
3.4.2.2. 1936, 일본 제국에서 2.26 사건 발생[편집]
1936년[3]
3.4.3. 중일전쟁(1937 ~ 1945) 시작[편집]
1937년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37기 민주당 임기종료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38기 민주당 임기시작
3.5. 세계 대공황(1929 ~ 1939)의 끝[편집]4. 제2차 세계 대전[편집]4.1. 1939[편집]4.1.1. 1939, 독일의 폴란드 침공[편집]
1939년
1939년
배경: 핀란드, 소련의 요구 거부
11월 26일: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동맹, 마이닐라에서 핀란드군이 소련군을 폭격한 것을 명분으로 선전포고 사실 소련의 자작극이었다(...)
4.2. 1940[편집]4.2.1. 1940, 독일의 프랑스 침공[편집]
1940년
4.3. 1941[편집]4.3.1. 1941, 일본의 미국 침공: 진주만 공습[편집]4.3.2. 독소전쟁(1941 ~ 1945)의 시작[편집]4.3.2.1. 1941, 독일의 소련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편집]
1941년
4.4. 1942[편집]4.4.1. 1942, 미해군의 일본 해군 섬멸: 미드웨이 해전[편집]4.4.2. 1942, 소련의 주도권 전환: 스탈린그라드 전투[편집]
1942년
4.5. 1943[편집]4.5.1. 1943, 소련의 우위 확인: 쿠르스크 전투[편집]4.5.2. 1943, 임팔 작전[편집]
1943년
4.6. 1944[편집]4.6.1. 1944, 유럽해방: 노르망디 상륙작전[편집]4.6.2. 1944, 브레튼우즈 체제(금본위제)[편집]4.6.3. 1944, 바그라티온 작전, 소련군의 반격[편집]4.6.4. 아르덴 대공세(1944 ~ 1945) 시작[편집]
1944년
4.7. 1945[편집]4.7.1. 아르덴 대공세(1944 ~ 1945) 끝: 독일 공군 전멸[편집]4.7.1.1. 1945,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사망[편집]4.7.1.2. 1945, 베를린 전투: 독일의 항복[편집]4.7.1.3. 1945, 아돌프 히틀러의 자살[편집]4.7.1.4. 1945,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일본의 항복[편집]4.7.2. 독소전쟁(1941 ~ 1945)의 끝[편집]4.7.3. 중일전쟁(1937 ~ 1945) 종료[편집]
1945년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39기 민주당 임기종료
1월: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40기 민주당 임기시작
1월 12일: 윈스턴 처칠이 소련군에게 동부전선에서 독일군을 공격해 달라고 요청, 이에 소련군 독일로 진격,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시작.
1월 13일: 소련군, 동프로이센 영토로 진격
1월 28일: 소련군, '메멜' 탈취.
2월 15일: 독일군 소련군에 대한 공세 시작.
2월 18일: 독일군 사령관의 부상으로 독일군 공세 중단
2월 19일: 소련군 사령관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가 반격 개시
2월 19일: 람리 섬 전투
2월 24일: 독일군 참패후, 후퇴.
3월 9일: 도쿄 대공습 시작
3월 10일: 도쿄 대공습 종료
3월 28일
4월[13]
4월 1일: 오키나와 전투
4월 12일: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40기 민주당 뇌출혈로 사망
4월 12일: 미국 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40기 민주당 임기시작
4월 19일: 베를린 공방전중, '젤로 고지'전투 끝: 소련군 돌파. 게오르기 주코프가 베를린 공략의 주공을 맡게 됨.
4월 21일: 게오르기 주코프 휘하의 제1벨라루스 전선군 포병, 베를린 무차별 포격시작.
4월 23일
4월 24일: '펠릭스 슈타이너' 무장친위대 대장의 배신을 알아챈 아돌프 히틀러, "나는 전쟁에서 졌다!"라고 소리치며 자살을 결심.
4월 28일: 베니토 무솔리니, 게릴라에게 잡혀 총살당함.
4월 29일
4월 30일
5월 8일: 독일 정부, 서방 연합군에 항복
5월 9일: 독일 정부, 소련을 포함한 전체 연합군에 항복
8월 6일: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
8월 9일: 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1946년
1947년
8월 15일: 영국의 인도 독립 승인, 인도 공화국 성립.
1948년
1949년
1950년
1951년
1953년
1월: 미국 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41기 민주당 임기종료
1월: 미국 34대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42기 공화당 임기시작
7월 27일: 한국전쟁 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