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飮은 흔히 臂痛케 하니라】
대개 사람이 갑자기 아파서 胸 背 手脚 腰 胯가 隱痛 不可忍하고 筋骨을 連하여 牽引하면서 釣痛하며 坐臥가 不寧하고 時時로 走易不定하니라. 생각에 이는 風證이다 혹은 癰疽다 의심하지만 모두 아니다. 이는 痰涎이 伏하여 心膈의 上下에 있어서 變하여 이 疾이 된 것이니라. <集要>
臂가 痛하여 不能擧하거나 左右로 時復轉移하는 것은 伏痰이 中脘에서 停滯하므로 脾氣는 流行하지 못하며 上으로 氣와 搏하기 때문이니라. 四肢는 脾에 屬하는데, 滯하여 氣가 不升하므로, (담이) 上行하여 臂를 攻하기 때문이니라. 그 脈이 沈細하니라. 氣實하면 控涎丹(方見痰門)이 最效하며 半硝丸 消痰茯苓丸하니라. <入門>
痰飮의 臂痛에는 加減茯苓丸 芎活湯 半夏芩朮湯하니라.
臂가 痛하거나 麻木하거나 戰掉하는 것은 모두 痰飮이 하는 것이니라. 二陳湯(方見痰門)으로 靑州白元子(方見痰門)를 呑下하니라.
[半硝丸] 痰飮의 流注로 인한 疼痛을 治하느니라.
半夏 2兩 風化硝 1兩
가루내고 薑汁의 糊에 和하여 丸을 梧子大로 만든다. 薑湯으로 50丸을 下하니라. <入門>
[消痰茯苓丸] 痰飮의 流注로 臂痛 不能擧 時復轉移 脈沈細한 것을 治하느니라.
半夏 2兩 赤茯苓 1兩 枳殼 5錢 朴硝 2錢半
가루내고 薑汁의 糊에 和하여 丸을 梧子大로 만든다. 薑湯으로 30~50丸을 下하니라. 朴硝가 없으면 熖硝로 代하니라.
● 어떤 사람이 痰飮으로 고통스러워 하며 兩手가 戰掉하고 痛 不能擧하더니 이를 먹고는 나으니라. <得效>
[加減茯苓丸] 濕痰이 經絡에 壅滯하여 不通하므로 兩臂가 作痛 不能梳洗하는 것을 治하느니라.
半夏 3兩 (白礬 皂角 生薑 各1兩을 달인 湯에 7일 浸하였다가 取) 陳皮鹽水炒 白芍藥酒炒 黃芪鹽水炒 各2兩 白茯苓 1兩半 朴硝 1兩3錢 海桐皮酒洗 薑黃 木瓜 各1兩 薄桂 甘草 各5錢
이를 가루내고 薑汁 竹瀝의 糊에 和하여 丸을 梧子大로 만든다. 白湯으로 100丸을 下하니라. <醫鑑>
[芎活湯] 水飮이 經絡에 停注하여 臂痛을 發한 것을 治하느니라.
川芎 半夏 赤茯苓 獨活 陳皮 枳殼 各1錢 白朮 甘草 各5分
썰어서 1貼을 만들고 薑 5片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得效>
[半夏芩朮湯] 痰飮으로 臂痛 不能擧하는 것을 治하느니라.
半夏 蒼朮 各1錢半 片芩酒炒 白朮 南星炮 香附子 各7分 陳皮 赤茯苓 各5分 威靈仙 甘草 各3分
썰어서 1貼을 만들고 薑 5片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正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