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께서는 부모님이나 주위 어른들로부터 올해는 삼재가 드니 주위하라는 말을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여러분중에는 일부 철학관에 사주 보러 갔다가 삼재가 들어오니 삼재 방지 부적을 하라고 해 부적을 해보신 님도 계실지 모르겠군요. 그렇다면 삼재(三災)는 무엇을 말하고 삼재가 들면 정말로 흉한지 그리고 재앙이 끊이지 않게 발생하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재는 12년마다 누구에게나 한번씩은 돌아오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세상에 삼재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한 사람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들께서는 이번 기회에 삼재에 대한 일반적 상식을 잘 알아두었다가 앞으로 살아가면서 생활하시는데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삼재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언제 자신에게 삼재가 들어 오는지도 알아 보겠습니다.
삼재(三災)가 들면 자신에게 삼재 팔난(三災八難)이 생긴다고 하며 삼재는 화재(火災) 수재(水災)풍재(風災)를 말하기도 하며 팔난은 손재, 주색, 질병, 부모, 형제, 부부, 관재, 학업등을 말하는데 이 모두를 합쳐 삼재 팔난(三災八難)이라고 하며 삼재가 들면 삼년 동안 이러한 것들로부터 고통을 받는다고하는데 제일먼저 시작되는 때가 들삼재라 하며 중간이 눌삼재라 하고 마지막년(年)이 날삼재라 합니다.
삼재(三災)가 들면 자신에게 삼재 팔난(三災八難)이 생긴다고 합니다. 삼재는 첫재로 화재(火災) 둘째로 수재(水災) 셋째로 풍재(風災)를 말하고 팔난은 손재, 주색, 질병, 부모, 형제, 부부, 관재, 학업등을 말하는데 이것을 합쳐 삼재 팔난(三災八難)이라고 합니다. 즉 삼재가 들면 삼년 동안 이러한 것들로부터 고통을 받는다고 하는데 정말로 그러한지 아래의 내용을 끝까지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2. 나는 언제 삼재(三災)가 들어 오는가?
언제부터 삼재가 자신에게 들어오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재를 볼 때는 자신의 무슨 띠인지 알아야 언제부터 삼재가 드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아래의 표를 일단 보도록 하겠습니다.
본인 출생년
삼재 해당년
본인 출생년
삼재 해당년
亥卯未
巳午未
巳酉丑
亥子丑
寅午戌
申酉戌
申子辰
寅卯辰
위 표만 보고 여러분들께서 자신이 언제부터 삼재가 드는지 알기는 힘들 것입니다. 이 표만 보고도 알 수 있다면 역학에 많은 관심과 공부를 해온 분으로 판단됩니다.
위 표에서 보듯이 자신의 출생년 띠를 보고 해당년 띠를 찾아가면 자신이 지금 현재 삼재에 와 있는지 알 수가 있고 언제 삼재가 드는지를 알 수가 있습니다. 표를 보는 방법은 일단 자신의 어느 해(무슨 띠)에 태어 났는지를 보고 예를 들어 돼지띠와 토끼띠 양띠는 뱀띠해와 말띠해 그리고 양띠해 삼년간 삼재가 들어오는데 처음 들어오는 뱀띠해는 들삼재라고 하고 다음에 들어오는 말띠해는 눌삼재(묵삼재) 마지막으로 들어오는 양띠해는 날삼재라고 합니다. 일단 삼재에 들어오면 삼년 동안은 삼재의 영향아래 있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이것을 올해의 예를 들어 설명해 보면 올해는 개띠 해(2006년 : 丙戌年-병술년)이므로 올해 삼재에 들어 있는 띠는 범띠, 말띠, 개띠가 해당되는 띠인데 올해는 삼재가 마지막 해 임으로 날 삼재에 해당됩니다. 왜냐면 올해 삼재에 해당하는 사람은 2004년부터 삼재가 시작되어 04년에 들삼재가 되고 05년에 눌삼재(묵삼재) 그리고 올해(2006년)가 삼재의 마지막으로 날삼재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하나만 더 예를 들어 설명해보면 내년은(2007년) 丁亥年(정해년)으로 돼지의 해에 해당이 되는데 그러면 뱀띠,닭띠,소띠해에 출생한 사람이 삼재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즉 내년부터 들삼재가 시작되어 삼년 동안 삼재에 해당되는 띠가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은 자신이 내년부터 삼재에 해당되는지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삼재는 어떤 원리에서 나온 것일까? 일단 자세한 것은 보다 더 연구를 해보아야 할 여지가 있지만 일단 삼재는 삼합에서 나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단 아래의 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역학공부를 해보신 분은 금방 알 것입니다. 삼합의 생지를 충 하는 년에 삼재가 들어 온다는 것을 말입니다.
예를 들어 해묘미 삼합의 경우 생지에 해당하는 해를 충 하는 사년부터 삼재가 시작 되어 오년 미년까지 삼재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 것도 보시면 그러한 원리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단 표를 다시 보고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삼합
삼재
삼합
삼재
亥卯未
巳午未
巳酉丑
亥子丑
寅午戌
申酉戌
申子辰
寅卯辰
여러분들은 위 표가 잘 이해가 안가실지 모르나 일단 그냥 보시기 바랍니다. 위 표에서 보듯이삼합과 삼재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단 삼합이 생지를 충하는 것이 삼재임을 금방 파악할 수 있습니다.
부모나 아니면 주위에서 벗님에게 삼재가 들어 오니 조심하라고 하면 기분이 그리 좋지도 않고 정말로 삼재 때문에 안 좋은 일이 생길까 하고 걱정도 하고 한번쯤 의문을 제기하는 분들이 꽤 많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다가 생활하기 바빠 삼재고 뭐고 잊고 살았는데 하는 일마다 잘 되는 사람이 있고 이런 분은 삼재에 대해 별 생각없이 지내면서 삼재고 뭐고 역시 믿을게 못된 다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떤 분은 삼재가 들어서 인지, 왠지 하는 일마다 안풀리고 점점 꼬여만 가는 분은 걱정을 안하려고 해도 안 할 수가 없습니다. 정말 삼재가 있기는 있나 보다 하고 생각하게 되고 그때부터 여기 저기 알아보고 철학관에 가서 문의도 해 보게 됩니다. 그러다 삼재 방지 부적도 하고 여러 가지 흉 방지를 위한 방법을 찾아 보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 누구는 삼재가 들어도 별 일 없이 하는 일 마다 잘되고 누구는 삼재 영향을 받는가라는 의문이 당연히 생깁니다.
그러면 어떤 분은 설명하기를 복삼재가 되면 하는 일이 잘되고 흉삼재가 되면 삼재 팔난이생긴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누구는 복삼재에 해당하고 누구는 흉 삼재에 해당이 되는것인가? 이런 의문이 생겨야 합니다. 그것은 본인 사주를 보고 운의 흐름으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즉 삼재 때문이 아니라 중요한 것은 사람의 사주와 운의 흐름입니다. 운이 나쁘면 복삼재든뭐 든 하는 일이 잘 안되고 운이 좋으면 흉삼재든 뭐 든 하는 일마다 잘됩니다. 삼재가 들어 재난과 풍파가 생기는 것이 아니고 운이 기신운으로 흐르면 삼재를 떠나 풍파가 생긴다고 보고 운이 용신운으로 흐르면 흉삼재를 떠나 하는 일마다 잘 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정확한 해석이 되는 것입니다.
즉 가장 중요한 것은 운이 현재 용신운이냐 기신운이냐지 삼재가 들어오느냐 아니냐가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바로 개인의 운이 좋으냐 나쁘냐가 관건이 되는 것입니다.여러분들은 이러한 내용을 잘 참고 하시고 판단하시면 삼재의 공포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있다고 봅니다.
이미 결론은 앞에서 났지만 그래도 다시 한번 정리해 당부의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앞으로 여러분들께서는 누가 삼재가 들어오니 조심하라고 하면 가까운 철학관을 찾아가서 자세하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철학관에 가서는 자신의 삼재가 들어오는데 어찌하는게 좋은지 문의하시고 다음으로 현재 본인 사주에서 용신이 무엇이고 현재의 대운이 상황은 기신운인지 용신운인지 다시 말해 좋은 길운인지 나쁜 흉운에 들었는지확인하고 세운은 어떠한 운인지를 확인한 뒤 본인 스스로 삼재의 길흉을 판단하시면 됩니다.
왜냐면 중요한 것은 용신운이냐 기신운이냐이지 삼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철학관에서 용신운이라고 하면 삼재고 뭐고 걱정할게 없고 기신운이라고 하면 그 때는 조심하는 게 좋겠습니다. 삼재 때문에 조심하는게 아니라 기신운이기 때문에 조심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철학관에서 용신이 무엇인지 길운,흉운 여부를 제대로 설명을 못해주는 철학관이 있다면 그런 철학관은 실력이 부족한 철학관이고 더 나아가 용신과는 상관없는 이상한 소리를 하는 철학관이 있다면 그 때는 더 들을 필요 없이 조용히 철학관을 나오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렇게 삼재에 관한 내용을 알아 보았습니다. 여러분들께서는 이번 기회에 삼재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을 알고 계셨다가 현명하게 대처하시고 앞으로는 삼재로 인한 고민에서 벗어나시기바랍니다. 이것이 이 글을 올리는 목적입니다.
부언의 말씀을 드린다면 삼재란 인간이 겪을 수 있는 모든 재난을 내포한 용어이며 고로 福三災(복삼재)란 용어는 임의로 만들어진 것일 뿐 존재치 않으며 삼재란 보편적 삼가할것을 가르치기 위한 조상들의 지혜에서 나온 관습이고 개인적 운이 좋고 나쁜 여하에 따라 길흉을 겪는것이지 삼재여부로 개인적 운의 길흉을 논할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지난 35년간의 경험에 비추어 보건데 한 집안에 삼재 든 사람이 여럿일 때 그 집안에 사망자가 생긴다던지 장기간 우환으로 고심한다던지 사고등의 불상사가 겹치는것은 자주 보았으므로 개인 운에는 작용 않는다 하드라도 삼재 드는 사람이 겹쳐서 오는 가족관계를 지닌 경우는 참고하여 유의할 일입니다.
다시 말해 새해 경우 뱀띠,닭띠,소띠인 가족이 겹쳐 있는 가정의 경우는 매사에 주의를 요합니다.
삼재(三災)에 들면 재난과 풍파가 끊이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과연 그러한지 제대로 알아 보겠습니다. 벗님들께서는 부모님이나 주위 어른들로부터 올해는 삼재가 드니 주위하라는 말을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일부 벗님중에는 철학관에 사주 보러 갔다가 삼재가 들어오니 삼재 방지 부적을 하라고 해 부적을 해보신 벗님도 계실지 모르겠군요. 그렇다면 삼재(三災)는 무엇을 말하고 삼재가 들면 정말로 흉한지 그리고 재앙이 끊이지 않게 발생하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재는 12년마다 누구에게나 한번씩은 돌아오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세상에 삼재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한 사람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벗님들 께서는 이번 기회에 삼재에 대한 일반적 상식을 잘 알아두었다가 앞으로 살아가면서 생활하시는데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삼재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언제 자신에게 삼재가 들어 오는지도 알아 보겠습니다.
삼재(三災)가 들면 자신에게 삼재 팔난(三災八難)이 생긴다고 합니다. 삼재는 첫재로 화재(火災) 둘째로 수재(水災) 셋째로 풍재(風災)를 말하고 팔난은 손재, 주색, 질병, 부모, 형제, 부부, 관재, 학업등을 말하는데 이것을 합쳐 삼재 팔난(三災八難)이라고 합니다. 즉 삼재가 들면 삼년 동안 이러한 것들로부터 고통을 받는다고 하는데 정말로 그러한지 아래의 내용을 끝까지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상위로
2. 나는 언제 삼재(三災)가 들어 오는가?
언제부터 삼재가 자신에게 들어오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재를 볼 때는 자신의 무슨 띠인지 알아야 언제부터 삼재가 드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아래의 표를 일단 보도록 하겠습니다.
본인 출생년 삼재 해당년 본인 출생년 삼재 해당년
亥卯未 巳午未 巳酉丑 亥子丑
寅午戌 申酉戌 申子辰 寅卯辰
위 표만 보고 벗님 들께서 자신이 언제부터 삼재가 드는지 알기는 힘들 것입니다. 이 표만 보고도 알 수 있다면 역학에 많은 관심과 공부를 해온 벗님으로 판단됩니다. 그래서 벗님들이 보기 쉽게 위에 있는 표를 풀어서 하나의 표를 더 만들어 보겠습니다. 아래의 표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출생년띠 삼재 해당년 띠 출생년띠 삼재 해당년 띠
해(돼지) 뱀 말 양띠해 사(뱀띠) 돼지 쥐 소 띠해
묘(토끼) 유(닭띠)
미(양띠) 축(소띠)
인(범띠) 원숭이 닭 개띠 해 신(원숭이) 범 토끼 용띠해
오(말띠) 자(쥐띠)
술(개띠) 진(용띠)
위 표에서 보듯이 자신의 출생년 띠를 보고 해당년 띠를 찾아가면 자신이 지금 현재 삼재에 와 있는지 알 수가 있고 언제 삼재가 드는지를 알 수가 있습니다. 표를 보는 방법은 일단 자신의 어느 해(무슨 띠)에 태어 났는지를 보고 예를 들어 돼지띠와 토끼띠 양띠는 뱀띠해와 말띠해 그리고 양띠해 삼년간 삼재가 들어오는데 처음 들어오는 뱀띠해는 들삼재라고 하고 다음에 들어오는 말띠해는 눌삼재 마지막으로 들어오는 양띠해는 날삼재라고 합니다. 일단 삼재에 들어오면 삼년 동안은 삼재의 영향아래 있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이것을 올해의 예를 들어 설명해 보면 올해는 용띠 해(2000년 : 庚辰年-경진년)이므로 올해 삼재에 들어 있는 띠는 원숭이띠, 쥐띠, 용띠가 해당되는 띠인데 올해는 삼재가 마지막해 임으로 날 삼재에 해당됩니다. 왜냐면 올해 삼재에 해당하는 사람은 1998년부터 삼재가 시작 되어 98년에 들삼재가 되고 99년에 눌삼재 그리고 올해가 삼재의 마지막으로 날삼재에 해당 되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하나만 더 예를 들어 설명해보면 내년은(2001년) 辛巳年 (신사년)으로 뱀의 해에 해당이 되는데 그러면 돼지띠 토끼띠 양띠해에 출생한 사람이 삼재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즉 내년부터 들삼재가 시작되어 삼년 동안 삼재에 해당되는 띠가 되는 것입니다. 벗님들은 자신이 내년부터 삼재에 해당되는지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상위로
3. 삼재의 원리
그러면 삼재는 어떤 원리에서 나온 것일까? 일단 자세한 것은 연구를 해보아야 하겠지만 일단 삼재는 삼합에서 나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단 아래의 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역학공부를 해보신 분은 금방 알 것입니다. 삼합의 생지를 충 하는 년에 삼재가 들어 온다는 것을 말입니다.
예를 들어 해묘미 삼합의 경우 생지에 해당하는 해를 충 하는 사년부터 삼재가 시작 되어 오년 미년까지 삼재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 것도 보시면 그러한 원리로 되어 있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단 표를 다시 보고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삼합 삼재 삼합 삼재
亥卯未 巳午未 巳酉丑 亥子丑
寅午戌 申酉戌 申子辰 寅卯辰
벗님들은 위 표가 잘 이해가 안가실지 모르나 일단 그냥 보시기 바랍니다. 위 표에서 보듯이삼합과 삼재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단 삼합이 생지를 충하는 것이 삼재임을 금방 파악할 수 있습니다.
상위로
4. 삼재(三災)가 들면 재난과 풍파가 끊임없이 생긴다는데...
부모나 아니면 주위에서 벗님에게 삼재가 들어 오니 조심하라고 하면 기분이 그리 좋지도 않고 정말로 삼재 때문에 안 좋은 일이 생길까 하고 걱정도 하고 한번쯤 의문을 제기하는 벗님이 꽤 많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다가 생활하기 바빠 삼재고 뭐고 잊고 살았는데 하는 일마다 잘 되는 사람이 있고 이런 분은 삼재에 대해 별 생각없이 지내면서 삼재고 뭐고 역시 믿을게 못된 다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떤 분은 삼재가 들어서 인지, 왠지 하는 일마다 안풀리고 점점 꼬여만 가는 분은 걱정을 안하려고 해도 안 할 수가 없습니다. 정말 삼재가 있기는 있나 보다 하고 생각하게 되고 그때부터 여기 저기 알아보고 철학관에 가서 문의도해 보게 됩니다. 그러다 삼재 방지 부적도 하고 여러 가지 흉 방지를 위한 방법을 찾아 보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 누구는 삼재가 들어도 별 일없이 하는 일 마다 잘되고 누구는 삼재 영향을 받는가라는 의문이 당연히 생깁니다.
그러면 어떤 분은 설명하기를 복삼재가 되면 하는 일이 잘되고 흉삼재가 되면 삼재 팔난이생긴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누구는 복삼재에 해당하고 누구는 흉 삼재에 해당이 되는것인가? 이런 의문이 생겨야 합니다. 그것은 본인 사주를 보고 운의 흐름으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즉 삼재 때문이 아니라 중요한 것은 사람의 사주와 운의 흐름입니다. 운이 나쁘면 복삼재든뭐 든 하는 일이 잘 안되고 운이 좋으면 흉삼재든 뭐 든 하는 일마다 잘됩니다. 삼재가 들어재난과 풍파가 생기는 것이 아니고 운이 기신운으로 흐르면 삼재를 떠나 풍파가 생긴다고보고 운이 용신운으로 흐르면 흉삼재를 떠나 하는 일마다 잘 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정확한해석이 되는 것입니다.
즉 가장 중요한 것은 운이 현재 용신운이냐 기신운이냐지 삼재가 들어오느냐 아니냐가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벗님들은 이러한 내용을 잘 참고 하시고 판단하시면 삼재의 공포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있다고 봅니다.
상위로
5. 중요한 것은 삼재(三災)가 아니라 자신의 운이다.
이미 결론은 앞에서 났지만 그래도 다시 한번 정리해 당부의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앞으로 벗님들께서는 누가 삼재가 들어오니 조심하라고 하면 가까운 철학관을 찾아가서 자세하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철학관에 가서는 자신의 삼재가 들어오는데 어찌하는게 좋은지 문의하시고 다음으로 현재 본인 사주에서 용신이 무엇이고 현재의 대운이 상황은 기신운인지 용신운인지 확인하고 세운은 어떠한 운인지를 확인한 뒤 본인 스스로 삼재의길흉을 판단하시면 됩니다.
왜냐면 중요한 것은 용신운이냐 기신운이냐이지 삼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철학관에서 용신운이라고 하면 삼재고 뭐고 걱정할게 없고 기신운이라고 하면 그 때는 조심하는 게 좋겠습니다. 삼재 때문에 조심하는게 아니라 기신운이기 때문에 조심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철학관에서 용신이 무엇인지 제대로 설명을 못해주는 철학관이 있다면 그런 철학관은 실력이 부족한 철학관이고 더 나아가 용신과는 상관없는 이상한 소리를 하는 철학관이있다면 그 때는 더 들을 필요 없이 조용히 철학관을 나오시는게 좋겠습니다.
철학관에서 사주를 문의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메인화면 하단의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역학 상식"에 보면 철학관에 사주 문의 방법을 올렸음으로 참고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저에게 사주를 문의하고 싶으시면 메인화면 상단의 상담실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삼재에 관한 내용을 알아 보았습니다. 벗님 들께서는 이번 기회에 삼재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을 알고 계셨다가 현명하게 대처하시고 앞으로는 삼재로 인한 고민에서 벗어나시기 바랍니다. 이것이 이 글을 올리는 목적입니다.
'삼재'라는 말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말이다. 매년 정초가 되면 삼재라는 말이 가장 흔히 통용이 되며, 각종 무속인의 집 앞에는 문전성시를 이룬다. 대부분 무슨 일이 잘 되지 않으면 삼재탓으로 하고 "삼재살이 끼어서~~"하는 식이다.
절집에서는 동지날에 이 삼재풀이를 하고 있다. 요즘은 거의 다 이 삼재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다. 이 삼재를 크게 나누어보면 물과 불과 바람(水.火.風)의 세 가지로 일어나는 재난이라 할 수 있다.
옛날에는 이 세가지가 인간이 극복하기 어려웠던 재난이다. 고도의 과학문명이 지배하는 오늘날에는 어느 정도 극복이 가능하지만, 이 세가지는 어쩔 수없이 재난을 당할 수밖에 없는 것들이다. 또 이밖에 인간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재난에는 전쟁이나, 작게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생길 수 있는 여러가지 인재(人災) 등도 있다. 이를 통털어 삼재팔난(三災八難)이라고 한다. 삼재가 들면 재산의 파재, 환난 등 흉악사가 생긴다고 하여 매사에 기피하고 있다. 삼재는 12년마다 한 번씩 들어와서 3년간 머물다 나간다.
포태법(12운성)상 년지(태어난 년도)를 기준으로 병(病). 사(死). 장(葬)에 해당되는 3년간에 걸쳐 병들고 죽어서 장례를 지낸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삼재가 드는 첫 번째 해는 '입삼재(入三災)'라고 하며, 둘째 해를 '쉬는 삼재' 마지막 해를 '날삼재'라고 한다.
≫ 입삼재는 평온하던 가정에 난데없이 우환거리가 생기고 관재수.또는가족 중에 횡액이 생기는 등의 삼재가 들어오는 표시가 있다고 한다.
≫ 쉬는삼재에는 하는 일이 잘 되지 않고 매사에 시비와 구설이 생기는 등의 실패와 불운이 연속된다고 한다.
≫ 날삼재는 입삼재보다 더욱 더 환난이 가중된다. 들어오는 삼재는 표시만 하지만 나가면서 그 흉도가 극에 이르러 삼재의 피해를 꼭 남긴다고 한다.
따라서, 예부터 산재를 예방하고 피하기 위한 각종 비술들이 전해지고 오늘 날에도 널리 행하여지고 있는, 반면 삼재에도 '복삼재'와 '악삼재'가 있는데, '복삼재'는 악삼재에 해당하는 년도를 제외하고 그 외의 삼재의 년도에서 자기 사주의 대운과 비교하여 대운과 함께 희,용신의 운으로 접어들면 아주 크게 발복한다. '악삼재'는 다음의 년도에 해당이 되면 흉의 작용이 크게 된다.
≫ 사맹(四孟生- 인,신,사,해생) : 범. 원숭이. 뱀. 돼지띠생이 ≫ 寅.申.巳.亥년- 범. 원숭이. 뱀. 돼지해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 사정(四正生- 자,오,묘,유생) : 쥐. 말. 토끼. 닭띠생이 ≫ 子.午.卯.酉년- 쥐. 말. 토끼. 닭띠해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 사고(四庫生 - 진,술,축,미생) : 용. 개. 소. 양띠생이 ≫ 辰戌丑未년 - 용. 개. 소. 양띠해에 삼재를 만나는 경우
다음은 삼재에 언제 해당하는지를 도표로 나타낸다 가령 자기의 띠가 말(午)띠에 속하면 申年(원숭이해)에 입삼재. 酉年(닭해)에 쉬는 삼재. 戌年(개해)에 날삼재이다.
★ 삼재 조견표
생년지(자신의 띠)
입삼재
쉬는 삼재
날삼재
申子辰생(원숭이.쥐.용띠생)
寅(호랑이해)
卯(토끼해)
辰(용해)
巳酉丑생(뱀.닭.소띠생)
亥(돼지해)
子(쥐해)
丑(소해)
寅午戌생(범.말.개띠생)
申(원숭이해)
酉(닭해)
戌(개해)
亥卯未생(돼지.토끼.양띠생)
巳(뱀해)
午(말해)
未(양해)
삼살방(三煞方)이란?
삼살방은 삼살 즉, 겁살(劫煞). 재살(災煞). 천살(歲煞)을 통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겁살"은 흉살 중의 흉살로서 흉하게 작용하면 비명, 횡액의 재앙을 부르게 되고 길하게 작용하면 대부대귀하게 되는 작용이 있다. "재살"은 노상횡액. 구금. 송사 등을 부르는 흉살이고 "천살"도 비슷한 흉작용을 지닌다.
삼살방에 해당되는 방위에 이사를 하거나 개업을 하면 흉하게 된다는 년신흉방이다. 또 이 방위에 건물을 짓거나 토석(土石)을 다루며 건물 등을 수리하면 흉하게 된다. 삼살방은 일년에 한번씩 해당이 되는데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삼살방 조견표
寅午戌 (범. 말. 개의 해)
亥子丑 (북) 방위
巳酉丑 (뱀. 닭. 소의 해)
寅卯辰 (동) 방위
亥卯未 (돼지. 토끼. 양의 해)
申酉戌 (서) 방위
申子辰 (원숭이. 쥐. 용의 해)
巳午未 (남) 방위
가령 2004년도가 간지로는 갑신년이니 지지 申은 원숭이에 해당되므로 남방이 삼살방이 되고 상세히는 巳方이 겁살이 되고 午方이 재살, 未方이 천살이 된다.
손(損)있는 날이란?
손 있는 날이란, 손실. 손해를 본다는 날로서 예부터 악귀와 악신이 움직이는 날을 말한다. 그래서 악귀와 악신이 움직이지 않는 날을 손없는 날이라고 해서 각종 택일의 기준으로 삼았다. 매일 한방위에서 손이 있어서 그 방위에선 악신이 활동하여 매사를 방해한다고한다.
지금도 이사를 하거나, 사업장의 개업 등에 손없는 날을 택해서 하고 있다. 특히 음력 그믐을 손없는 날이라고 해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음력 그믐 외에도 9일 10일 19일 20일 29일 30일이 손없는 날이다.
택일에 있어서 꼭 이날만을 기준으로 할 것은 못 되지만 참고로 할만하다. 손없는 날 이외에도 대장군방. 삼살방 등을 참고한다. 다음에서 손있는 날을 살펴본다.
≫ 東 방위에 손이 있는 날 - 1. 2. 11.12. 21.22 일 ≫ 西 방위에 손이 있는 날 - 5. 6. 15.16. 25.26 일 ≫ 南 방위에 손이 있는 날 - 3. 4. 13.14. 23.24일 ≫ 北 방위에 손이 있는 날 - 7. 8. 17.18. 27.28 일
대장군방(大將軍方)이란?
대장군방은 한 방위에 3년간 있게 되는데, 이 방위를 범하게 되면 군신(軍神)의 성정을 범하여 흉하게 된다는 방위이다.
이 방위에 집을 짓거나 건물수리 土石을 다루게 되면 반드시 동토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이 방위로 이사 개업 등을 피한다. 대장군방위를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대장군방 조견표
亥子丑년
酉(서방)
寅卯辰년
子(북방)
巳午未년
卯(동방)
申酉戌년
午(남방)
가령 올해가 갑신년인데 申은 신유술에 속하므로 午方, 올해는 즉 남방이 대장군방에 해당된다.
윤달(閏月)이란?
나이 많은 어른들은 윤달이 드는 해(년도)에는 그동안 미루어 왔던 꺼림직한 일을 한꺼번에 해치우는 습속이 있으며, 특히 윤달이면 조상의 묘지를 이장이나, 사토를 하며, 죽음의 옷(수의)을 미리 준비하거나, 또는 이빨을 새로 해넣는 이들이 장사진을 친다고 한다. 그리고, 집안의 화장실 등의 증,개축 등도 이 시기를 통해 이루어지며, 통칭 흉한 일들은 모두 윤달에 해야만 불길한 흉해가 없다고 믿고 있다.
흔히, 윤달은 공달이라고 하여 귀신이 알아보지 못하는 시기라고 하여 믿는 이들이 적지 않다. 또한 운명을 감정하는 입장에서 보면 어떤 이는 "전 윤달에 태어나 생일이 없는데요?" 라든지 심지어 감정하는 일부 역술가마저 "윤달에 태어난지라 생일이 없구먼..." 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말을 듣고 있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윤달은 아무런 관계가 없다. 윤달은 음력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다. 우리는 조상대대로 농경수로 문화 속에서 살아 왔는지라 음력과 관계가 매우 깊다. 농사를 짓거나 고기잡이 등에서는 음력만큼이나 정확하게 적용되는 역법도 없는 것이다.
왜냐면, 음력을 달을 기준으로 하는 역법이므로 달은 물과 관계가 깊다. 그런고로 몸의 70퍼센터가 물로 이루어진 인간의 몸도 음력과 관계가 깊다. 즉 달의 차고 기움의 변화에 따라 인간의 생리구조도 밀접하게 연관을 받는다.
그래서 음력은 우리 생활의 밀접한 도구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달의 움직임은 태양만큼이나 일정하게 운동하지 않는다. 태양 기준으로 하는 태양력도 약간의 오차가 존재하는데, 달을 기준으로 하는 음력은 오차의 정도가 매우 심하다.
그래서 그 오차를 메꾸기 위해 일정한 시점을 정해 부족한 날수를 채워넣는 것이다. 만약 오차를 메꾸지 않으면 겨울철이 봄이 되고 하는 등의 계절과 달력이 맞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윤달은 음력에서 부족한 날 수를 메꾸기 위한 수단이지 결코 없는 날이 아닌 것이다. 우리조상들은 음력과 더불어 24절기력을 사용하여 왔다. 24절기력은 태양력과 가장 밀접한 역법으로 음력의 이러한 부분들을 24절기력에 맞추어 윤달을 산출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