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칼빈대학교 대학원 수원학습관
 
 
 
카페 게시글
사회복지복지실천론 2025-1 사회복지실천론-제05주(김동진)
김동진(교수) 추천 0 조회 23 25.04.14 10:16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5.04.16 21:40

    첫댓글 1. 사회복지 전문인력의 직무와 역할
    . 사회복직 전문인력은 공적영역 공무원활동하는 공무원과 민간영역 사회복지사(정신보건사회복지사, 의료사회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사 등) 활동을로 나눌 수 있다.
    2. 사회복지의 정책 시각은 분배와 성장의 관점을 두고 있다.
    . 성장의 관점은 기업이나 개인, 국민들에게 최소 세금을 징수하고, 규제를 완화하여, 자기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 회전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 분배의 관점은 국민들에게 많은 세금을 징수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나누주는 것을 말한다.
    3.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활동
    . 지역사회의 실정과 주민의 욕구파악 및 평가, 클라이언트의 성장과 자립을 위한 종합복지서비스 제공, 지역사회통합의 매개 역할, 지역사회 잠재자원의 발굴과 활용, 지역 주민을 위한 사회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25.04.23 12:59

    1.사회복지전문인력의 직무와 역할에서는 행정기관 내 사회복지 전문인력의 활동과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활동, 아동복지관련 활동,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노인복지관련활동, 의료복지관련활동, 정신건강증진관련활동, 장애인복지 관련활동, 가족 및 여성복지 증진활동 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특히 현재 활동하고 있는 노인복지관련활동 부분에 관해서는 더욱 애정과 관심이 생겼다.
    2.전문인력의 성찰은 성찰성의 개념, 성찰적 실천의 필요성, 성찰적 사회복지사란, 성찰일지 부분으로 나누어져있었으며 수업영상과 교과서를 읽어보면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이었다.

  • 25.04.25 22:23

    1.사회복지 전문인력의 직무와 역할
    사회복지 전문인력은 민간 주도의 활동에서 국가 주도로 변화하고 있다.
    사회복지는 태아부터 사망까지 모든 생애 주기에 걸쳐 적용되며, 다양한 복지 정책이 존재한다.

    2.공적 및 민간 영역의 역할
    공적 영역에서는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의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이 활동한다.
    민간 영역에서는 다양한 사회복지 사업이 진행되며, 민간 주도의 활동이 중요하다. 37

    3.사회복지 정책의 시각
    사회복지 정책에는 분배의 초점과 성장의 초점 두 가지 시각이 있다.
    분배의 초점: 자원을 고르게 나누는 것에 중점을 둠.
    성장의 초점: 경제 발전을 통해 자원을 창출하고 나누는 것에 중점을 둠. 47

    4.아동 복지 관련 활동
    아동 복지는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보호하고 지원하는 활동이다.
    아동 권리 선언과 아동 보호 규정에 따라 아동은 어떤 형태로든 착취당해서는 안 된다.
    사회복지사는 아동 상담, 가정 보호, 아동 학대 예방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256

    5.노인복지관련활동
    노인 복지는 노인의 문제 해결과 예방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다.
    노인도 일을 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육체적 노동뿐만 아니라 정신적 노동도 중요하다.

  • 25.04.26 13:08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과 민간 실천 현장에서의
    사회복지전문인력(사회복지사)가 담당하고 있는 전반적인 역할을 파악할 수 있었고
    아직 직접적인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의 경험이 없는데
    앞으로 내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면 좋을지 고민해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 25.05.04 23:20

    사회복지사는 기본적인 욕구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하고 개인의 인권을 옹호함으로써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사회 변화를 촉진하고 클라이언트에게 힘을 실어준다.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관계, 시스템 및 정책을 분석하여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돕는다.
    사회복지사가 다루는 일반적인 과제로는 빈곤, 아동 학대, 실업, 정신 질환, 약물 중독 및 외상이 있다. 사회복지사는 신뢰와 봉사정신을 바탕으로 관계를 구축한다. 이들은 클라이언트가 겪고 있는 문제를 파악하고 물리적 재배치, 치료 또는 고용 지원과 같은 해결방안이나 자원을 조정한다.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하여 노인, 아동, 정신건강, 학교사업 등의 전문 사회복지사 역할이 강조되기도 한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