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 갈산리 곰솔









종 목 충청남도 기념물
제27호
명 칭 갈산리곰솔 (葛山里곰솔)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면적 2주/2983㎡
지정(등록)일 1982.08.03
소 재 지 충남 논산시 광석면 갈산리 산26-22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사유
관리자(관리단체) 권혁기
상 세 문 의 충청남도 논산시 문화관광과 041-730-3226
갈산리곰솔에 대한 설명입니다.곰솔은 소나무과로 잎이 소나무 잎보다 억세기 때문에 곰솔이라고 부르며, 소나무의 겨울눈은 붉은 색인데 반해 곰솔은 회백색인 것이 특징이다. 바닷가를 따라 자라기 때문에 해송으로도 부르며, 줄기 껍질의 색이 소나무보다 검다고 해서 흑송이라고도 한다. 바닷바람과 염분에 강하여 바닷가의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림이나, 해일의 피해를 막아주는 방조림으로 많이 심는다.
나무의 나이는 3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동쪽 곰솔은 높이 16m, 둘레 2.63m이고, 남쪽 곰솔은 높이 12.5m, 둘레 2.20m이다.
이 곰솔은 쌍군송이라고도 부르는데, 조선 효종 때 예조판서를 지낸 권육 선생이 65세에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으로 내려와 지내다가 67세로 생을 마치자, 그의 죽음을 슬프게 여겨 효종 6년(1665)에 왕이 수원에 있는 소나무 묘목을 보내어 이곳에 심도록 하고 ‘쌍군송(雙君松)’이라 불렀다고 한다.
갈산리 곰솔은 지방에서는 보기 드문 큰 곰솔이며, 바닷가에서 자라는 해송이 내륙에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또한 해송이 자랄 수 있는 북쪽 한계지역인 수원에서 옮겨 심었다는 점이 희귀하여 기념물로 지정하였다.
갈산리 곰솔은 조선 효종때 예조판서를 지낸 권육선생이 65세의 고령으로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으로 낙향할 것을 상소하자 조정에서는 노성 현감을 재수하여 2년후 67세의 나이로 생을 마쳤다. 그의 죽음을 슬프게 여겨 효종(1655)에 왕이 경기도 수원에 있는 소나무 보내어 이곳 묘앞에 심도록하고 쌍군송이라 명명했다고 한다. 잘 가꾸어진 잔디앞에 두그루의 쌍군송은 지방에서는 보기드문 큰 곰솔 특히 해송이 이곳 내륙에 있다는 것도 희귀하며, 자연상태에서 분포할 수 있는 북쪽의 한계가 수원인데 수원에서 옮겨왔다는 것도 희귀하다.
2013.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