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Ⅱ. 식량의 생산, 소비, 분배
1. 식량 생산지
가. 식량 작물(食糧作物. food crops)
식량작물은 살아가는데 필요한 먹을 거리(food. 食糧. 糧食)를 생산하기 위하여 심어서 가꾸는 농작물을 말한다. 대표적인 식량 작물은 쌀, 밀, 옥수수 등이며 각 지역의 자연환경을 반영한 식량 작물을 생산한다.
식량작물은 이윤 또는 생활의 양식을 위하여 광범위하게 인간 또는 가축(사료작물)을 위한 식량으로
서 재배되어 수확되는 식물 생산물이다. 식량작물은 수확한 부분이나 보다 정제된 상태(탈각, 탈피등)에서의 수확물을 의미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식량작물은 농업 또는 양식에서 재배된다. 식량작물은 보통 육안에 보이는 진균류(예. 버섯) 또는 조류(조류)(조류재배)를 확대 포함한다(A food crop is "a plant product that can be grown and harvested as food for humans or livestock (fodder crops) extensively for profit or subsistence." Food crop may refer either to the harvested parts or to the harvest in a more refined state (husked, shelled, etc.). Most food crops are cultivated in agriculture or aquaculture. A food crop is usually expanded to include macroscopic fungus (e.g. mushrooms), or alga (algaculture))
나. 식량 생산지((global production in thousand metric tonnes)
Crop | 생육 | 지역 | 2000 | 2013 |
Sugarcane | 1,256,380 | 1,877,110 | ||
Maize | 기후적응력 탁월 | 미대륙, 대량생산 | 592,479 | 1,016,740 |
Rice (paddy) | 고온다우 | 아시아게절풍지역 | 599,355 | 745,710 |
Wheat | 저온건조지역 | 유럽, 대양주, 미대륙 | 585,691 | 713,183 |
Potatoes | 327,600 | 368,096 |
2. 식량의 소비와 분배
가. 식량 소비와 분배
작물 | 생산 | 소비 | 생산지소비지 | 이동 |
쌀 | 아시아지역 | 아시아지역 | 일치 | |
밀 | 미대륙, 대양주(남반부) | 북반부 | 국제이동 | |
밀 | 미대륙 평원지대 | 전세계 | 국제이동 |
나. 바이오 에너지의 친환경 에너지로 각광
원료로 사용되는 옥수수, 콩, 유채 등이 소비 증가
다. 육류소비 증가로 인한 가축 사료용 곡물 소비 증가
곡물 사용량 간소시켜 쌀, 밀 , 옥수수 가격 상승 초래
라. 세계적으로 식량 분배 불균형
3. 식량 문제 해결 방법
가. 식량문제
인구 증가, 식량 생산량 부족, 식량 분배의 지역적 불균형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
나. 식량 문제
⑴ Africa를 비롯한 개발도상국 : 식량 생산의 절대적 부족과 식량 저장시;설 및 유통시설 부족으로 식량문제
⑵ 식량 풍부국 : 비만과 성인병 걱정
다. 식량문제 해결
⑴ 식량 생산 증대
① 경작 불가능한 토지를 경작 가능한 농경지 전환
② 대체 식량 및 신품종 개발
③ 관개 시설 확보 및 품종 개량을 통한 단위 면적당 수확량 증대
⑵ 식량 분배 원활화
① 세계적(지구적) 차원 지원
② 원조
③ 식량 수출입 원활화 협력
토론 주제
GMOs(유전자 변형 유기제)로 세계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논술 주제
세계화와 식품 위생
Ⅲ. 자원의 분포와 소비 실태
1. 자원 분포
가. 자원(資源. resources)
사람이 살아가면서 이용하는 모든 것. 어떤 목적을 위해 자연에서 얻고 생산되는 물질.
나. 자원의 상대적 개념
자원은 시공(時空, 시간과 장소, time and space)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다. 무체물의 자원성
자원은 유형의 물체(tangibles, 유체물)라기 보다는 인간의 요구, 필요 및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여부가 결정(유체물+무체물)
라. 유한자원과 자원 고갈
자원은 유한하고 산업화 이후 100년이 지나면서 지하자원은 계속 고갈(枯渴, dried up, exhausted)되고 있다.
마. 자원외교(資源外交, resources diplomacy)
우리나라는 자원 외교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자원의 무기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Diplomacy refers to the art and practice of conducting negotiations and developing relationships between states.
Resources diplomacy refers to the pursuit of foreign policy objective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nd developing resources from any foreign country.
바. 대표적 에너지 자원
⑴ 산업 발달과 경제 성장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요소
⑵ 대표적 에너지 자원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이며 석탄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석유는 지역적 편재성이 크다.
구분 | 매장 | 주요 생산국 |
석탄 | the Appalachian Mountains. the Great Dividing Mountains 등 고기습곡산지. 분포지역 비교적 광범위 | 중국, 미국, 인도 |
석유 | 산생대 제3기 배사구조의 지층. 매장과 생산의 지역적 편재성 | Saudi Arabia, Russia, 미국, Iran |
천연가스 | 석유와 함께 발견 | Russia, 미국, Canada |
2. 자원 소비 방법
구분 | 특성 | 용도 | 주요수출국 | 주요 수입국 | |
석탄 | 무연탄 | 화력 약하고 지속성 높음 | 가정용 | Australia, Indonesia, Russia | 대한민국, 일본, 독일 |
역청탄 | 화력 강함 | 화력발전과 제철산업 | |||
석유 |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소비량 급증 | 자동차, 비행기 연료, 각종 산업기계의 원료, 공업 원료 | Saudi Arabia, Russia, Iran | 미국, 일본, 중국 | |
천연가스 | 온실가스 배출량 적어 친환경 에너지로서 각광, 액화기술 발달로 국제이동량과 소비량 증가 | 가정용. 자동차, 화력 발전 연료 등 | Australia, Indonesia, Quatar, Nigeria. Russia. 미국.. Israel | 일본, 인도 대한민국, Singapore. Mexico, Canada |
[참고]
1.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경제협력개발기구)경제협력개발기구)
가. 성립
Marshall Plan 아래서 유럽의 재건을 위한 OEEC (Organization for European Economic Cooperation, 유럽경제협력기구)를 개편하여 1960. 12. 24 OECD 설립조약이 체결되고 1961. 9. 30 효력을 발생하였다. OECD가 채택한 일련의 결의, 원칙선언 및 권고는 국제환경법을 형성하는 soft law로서 관습법형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고 처음으로 환경오염의 법적정의를 제시하였다.
나. 위치
think tank, 감시기구, 부자클럽, 비학문적대학, 잡담장소로 불린다.
다. 목적
회원국의 경제성장, 고용 및 생활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 회원국 및 비회원국의 건전한 경제성장에 기여하여 세계무역확대에 공헌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세계경제의 확대?성장?발전을 위한 주로 선진국의 경제정책을 조정한다.
라. 구성(35)
Australia, Austria, Belgium, Canada, Chile, Czech Republic, Denmark, Estonia, Finland, France, Germany, Greece, Hungary, Iceland, Ireland, Isra?l, Italy, Japan, Korea, Latvia, Luxembourg, Mexico, Netherlands, New Zealand, Norway, Poland, Portugal, Slovakia, Slovenia, Spain, Sweden, Switzerland, Turkey,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마. CD의 구조
⑴ 이사회(Council)
모든 회원국으로 된 전체기관으로 의결절차는 원칙적으로 만장일치이며 기권은 반대로 간주하지 않는다.
⑵ 집행위원회(Executive Committee)
매년 이사회에서 선출되는 10개회원국대표로 구성되는 한정기관이다.
⑶ 사무국(Secretariat)
OECD의 지원업무를 담당하는 국제기관이다.
⑷ 본부 : Paris
3. 자원 갈등 발생 지역
가. 자원의 유한성과 편재성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자원 분포도 일부 지역에 편재(偏在)되어 있다.
나. 자원민족주의(資源民族主義. resource nationalism)
자국민이나 자국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것
자원민족주의는 영토에 소재되어 있는 자연자원에 대한 관할을 주장하는 국민과 정부의 경향이다. 자원민족주의는 금속과 같은 다른 자원에도 적용되지만 최고의 석유의 접근은 많은 정부에게 전략적 및 경제적 이유로 화석연료 저장소의 소유권과 관할권을 갖게 하였다. 지원민족주의는 다국적기업의 이해관계와 충돌한다(Resource nationalism is the tendency of people and governments to assert control over natural resources located on their territory. The approach of peak oil has led many governments to take ownership or control of fossil fuel reservoirs for strategic and economic reasons, although resource nationalism applies to other resources, such as metals. Resource nationalism conflicts with the interest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다. 자원분쟁
산업이 발달하고 자원소비량이 증가하여 자원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한다.
4. 자원 분쟁과 고갈 문제 해결책
가. 에너지 효율이 높은 그슬 개발
신재생 에너지 개발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기대가 크다
나. 분쟁 심화
자원 고갈과 인구 증가가 지속될 경우 자원 분쟁은 심화될 수 있다.
다. 자원 분쟁 해결
대화, 협상 및 국제공동체의조정이 필요하다.
세계의 자원 분쟁 지역
1. Russia -Ukraine | 2008년 천연가스 공급 중단 |
2. 북극해 | 러시아, 캐나다, 미국, 덴마크, 노르웨이유전 지대의 영유권 분쟁 |
3. 아부무사 섬 | 이란, 아랍에미리트유전 지대에 위치한 섬의 영유권 분쟁 |
4. 동중국해 센카쿠 열도 | 천연사스 매장지.한일 부당장례금지 |
5. 기니 만 | 앙골라, 적도기니, 나이지리아, 콩고 민주 공화국, 가봉유전 지대의 영유권 분쟁 |
6. 오리노코 강 유역 |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미국유전 국유화를 둘러싼 분쟁 |
북극해 최근 지구 온난화로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막대한 심해 자원의 개발 가능성이 주목받자 북극해를 둘러싼 인접 국가들이 대립하고 있다. 북극해 영유권 분쟁의 핵심은 자원이다. 북극권에는 지구 전체 원유 매장량의 13%, 천연가스 매장량의 30% 정도가 매장되어 있다. 미국, 캐나다, 러시아, 덴마크, 노르웨이의 5개 국가는 200해리로 설정한 경제 수역 범위를 350해리로 확대해 줄 것을 국제 연합에 요구하고 있다.
▲ 북극해의 주요 분쟁 지역
북극해의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
석유 900 배럴
천연가스 470억 배럴
전 세계 매장량의 13%
전 세계 매장량의 30%
1. 북극에 국경을 접하고 있는 국가의 영유권 주장 내용을 조사해 보자.
세계가 북극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은 지구 온난화 때문이다. 북극의 두꺼운 얼음이 녹아내리며 각국이 천연자원의 보고이자 신항로인 북극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북극 주변국들은 자국의 배타적 경제 수역(EEZ) 확장을 통한 자원 확보를 위해 다른 나라의 출입을 제한하고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그 결과 러시아와 덴마크 간의 로모노소프 해령 갈등을 비롯해 캐나다와 덴마크 간의 한스 섬 영유권 분쟁, 캐나다와 미국 간 북서항로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2. 지도에 표시된 ②~⑤의 분쟁지역도 북극해와 같이 자세히 알아보자.
② 기니 만 : 1990년대 대규모 유전이 발견된 이후 앙골라, 콩고 민주 공화국, 가봉, 적도 기니, 나이지리아 등의 기니 만 연안 국가들이 유전 지대를 둘러싸고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 ③ 아부무사 섬 : 아랍 에미리트와 이란은 아부무사 섬의 소유권을 놓고 대립 중이다. 이 섬은 많은 석유 수송 선박이 통과하는 곳으로 영유권을 갖게 될 경우 자국에 큰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 ④ 동중국해 : 중국과 일본이 가스전 확보를 위해 분쟁을 벌이고 있는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지역은 두 국가 모두 강력하게 자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⑤ 오리노코 강 유역 : 이곳은 단일 지역으로는 세계 최대 원유 매장지로 다국적 거대 석유 기업들이 몰려 있다. 그러나 석유 산업 국유화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 석유 기업과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Ⅱ. 식량의 생산, 소비, 분배
1. 식량 생산지
가. 식량 작물(食糧作物. food crops)
식량작물은 살아가는데 필요한 먹을 거리(food. 食糧. 糧食)를 생산하기 위하여 심어서 가꾸는 농작물을 말한다. 대표적인 식량 작물은 쌀, 밀, 옥수수 등이며 각 지역의 자연환경을 반영한 식량 작물을 생산한다.
식량작물은 이윤 또는 생활의 양식을 위하여 광범위하게 인간 또는 가축(사료작물)을 위한 식량으로서 재배되어 수확되는 식물 생산물이다. 식량작물은 수확한 부분이나 보다 정제된 상태(탈각, 탈피등)에서의 수확물을 의미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식량작물은 농업 또는 양식에서 재배된다. 식량작물은 보통 육안에 보이는 진균류(예. 버섯) 또는 조류(조류)(조류재배)를 확대 포함한다(A food crop is "a plant product that can be grown and harvested as food for humans or livestock (fodder crops) extensively for profit or subsistence." Food crop may refer either to the harvested parts or to the harvest in a more refined state (husked, shelled, etc.). Most food crops are cultivated in agriculture or aquaculture. A food crop is usually expanded to include macroscopic fungus (e.g. mushrooms), or alga (algaculture))
나. 식량 생산지((global production in thousand metric tonnes)
Crop | 생육 | 지역 | 2000 | 2013 |
Sugarcane | 1,256,380 | 1,877,110 | ||
Maize | 기후적응력 탁월 | 미대륙, 대량생산 | 592,479 | 1,016,740 |
Rice (paddy) | 고온다우 | 아시아게절풍지역 | 599,355 | 745,710 |
Wheat | 저온건조지역 | 유럽, 대양주, 미대륙 | 585,691 | 713,183 |
Potatoes | 327,600 | 368,096 |
2. 식량의 소비와 분배
가. 식량 소비와 분배
작물 | 생산 | 소비 | 생산지소비지 | 이동 |
쌀 | 아시아지역 | 아시아지역 | 일치 | |
밀 | 미대륙, 대양주(남반부) | 북반부 | 국제이동 | |
밀 | 미대륙 평원지대 | 전세계 | 국제이동 |
나. 바이오 에너지의 친환경 에너지로 각광
원료로 사용되는 옥수수, 콩, 유채 등이 소비 증가
다. 육류소비 증가로 인한 가축 사료용 곡물 소비 증가
곡물 사용량 간소시켜 쌀, 밀 , 옥수수 가격 상승 초래
라. 세계적으로 식량 분배 불균형
3. 식량 문제 해결 방법
가. 식량문제
인구 증가, 식량 생산량 부족, 식량 분배의 지역적 불균형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
나. 식량 문제
⑴ Africa를 비롯한 개발도상국 : 식량 생산의 절대적 부족과 식량 저장시;설 및 유통시설 부족으로 식량문제
⑵ 식량 풍부국 : 비만과 성인병 걱정
다. 식량문제 해결
⑴ 식량 생산 증대
① 경작 불가능한 토지를 경작 가능한 농경지 전환
② 대체 식량 및 신품종 개발
③ 관개 시설 확보 및 품종 개량을 통한 단위 면적당 수확량 증대
⑵ 식량 분배 원활화
① 세계적(지구적) 차원 지원
② 원조
③ 식량 수출입 원활화 협력
토론 주제
GMOs(유전자 변형 유기제)로 세계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논술 주제
세계화와 식품 위생
Ⅲ. 자원의 분포와 소비 실태
1. 자원 분포
가. 자원(資源. resources)
사람이 살아가면서 이용하는 모든 것
나. 대표적 에너지 자원
⑴ 산업 발달과 경제 성장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요소
⑵ 대표적 에너지 자원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이며 석탄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석유는 지역적 편재성이 크다.
구분 | 매장 | 주요 생산국 |
석탄 | the Appalachian Mountains. the Great Dividing Mountains 등 고기습곡산지. 분포지역 비교적 광범위 | 중국, 미국, 인도 |
석유 | 산생대 제3기 배사구조의 지층. 매장과 생산의 지역적 편재성 | Saudi Arabia, Russia, 미국, Iran |
천연가스 | 석유와 함께 발견 | Russia, 미국, Canada |
2. 자원 소비 방법
구분 | 특성 | 용도 | 주요수출국 | 주요 수입국 | |
석탄 | 무연탄 | 화력 약하고 지속성 높음 | 가정용 | Australia, Indonesia, Russia | 대한민국, 일본, 독일 |
역청탄 | 화력 강함 | 화력발전과 제철산업 | |||
석유 | 운송수단의 발전으로 소비량 급증 | 자동차, 비행기 연료, 각종 산업기계의 원료, 공업 원료 | Saudi Arabia, Russia, Iran | 미국, 일본, 중국 | |
천연가스 | 온실가스 배출량 적어 친환경 에너지로서 각광, 액화기술 발달로 국제이동량과 소비량 증가 | 가정용. 자동차, 화력 발전 연료 등 | Australia, Indonesia, Quatar, Nigeria. Russia. 미국.. Israel | 일본, 인도 대한민국, Singapore. Mexico, Canada |
[참고]
1.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경제협력개발기구)경제협력개발기구)
가. 성립
Marshall Plan 아래서 유럽의 재건을 위한 OEEC (Organization for European Economic Cooperation, 유럽경제협력기구)를 개편하여 1960. 12. 24 OECD 설립조약이 체결되고 1961. 9. 30 효력을 발생하였다. OECD가 채택한 일련의 결의, 원칙선언 및 권고는 국제환경법을 형성하는 soft law로서 관습법형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고 처음으로 환경오염의 법적정의를 제시하였다.
나. 위치
think tank, 감시기구, 부자클럽, 비학문적대학, 잡담장소로 불린다.
다. 목적
회원국의 경제성장, 고용 및 생활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 회원국 및 비회원국의 건전한 경제성장에 기여하여 세계무역확대에 공헌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세계경제의 확대・성장・발전을 위한 주로 선진국의 경제정책을 조정한다.
라. 구성(35)
Australia, Austria, Belgium, Canada, Chile, Czech Republic, Denmark, Estonia, Finland, France, Germany, Greece, Hungary, Iceland, Ireland, Israël, Italy, Japan, Korea, Latvia, Luxembourg, Mexico, Netherlands, New Zealand, Norway, Poland, Portugal, Slovakia, Slovenia, Spain, Sweden, Switzerland, Turkey,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마. CD의 구조
⑴ 이사회(Council)
모든 회원국으로 된 전체기관으로 의결절차는 원칙적으로 만장일치이며 기권은 반대로 간주하지 않는다.
⑵ 집행위원회(Executive Committee)
매년 이사회에서 선출되는 10개회원국대표로 구성되는 한정기관이다.
⑶ 사무국(Secretariat)
OECD의 지원업무를 담당하는 국제기관이다.
⑷ 본부 : Paris
3. 자원 갈등 발생 지역
가. 자원의 유한성과 편재성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자원 분포도 일부 지역에 편재(偏在)되어 있다.
나. 자원민족주의(資源民族主義. resource nationalism)
자국민이나 자국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것
자원민족주의는 영토에 소재되어 있는 자연자원에 대한 관할을 주장하는 국민과 정부의 경향이다. 자원민족주의는 금속과 같은 다른 자원에도 적용되지만 최고의 석유의 접근은 많은 정부에게 전략적 및 경제적 이유로 화석연료 저장소의 소유권과 관할권을 갖게 하였다. 지원민족주의는 다국적기업의 이해관계와 충돌한다(Resource nationalism is the tendency of people and governments to assert control over natural resources located on their territory. The approach of peak oil has led many governments to take ownership or control of fossil fuel reservoirs for strategic and economic reasons, although resource nationalism applies to other resources, such as metals. Resource nationalism conflicts with the interest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다. 자원분쟁
산업이 발달하고 자원소비량이 증가하여 자원을 둘러싼 갈등이 발생한다.
4. 자원 분쟁과 고갈 문제 해결책
가. 에너지 효율이 높은 그슬 개발
신재생 에너지 개발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기대가 크다
나. 분쟁 심화
자원 고갈과 인구 증가가 지속될 경우 자원 분쟁은 심화될 수 있다.
다. 자원 분쟁 해결
대화, 협상 및 국제공동의조정이 필요하다.
세계의 자원 분쟁 지역
1. Russia -Ukraine | 2008년 천연가스 공급 중단 |
2. 북극해 | 러시아, 캐나다, 미국, 덴마크, 노르웨이유전 지대의 영유권 분쟁 |
3. 아부무사 섬 | 이란, 아랍에미리트유전 지대에 위치한 섬의 영유권 분쟁 |
4. 동중국해 센카쿠 열도 | 천연사스 매장지.한일 부당장례금지 |
5. 기니 만 | 앙골라, 적도기니, 나이지리아, 콩고 민주 공화국, 가봉유전 지대의 영유권 분쟁 |
6. 오리노코 강 유역 |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미국유전 국유화를 둘러싼 분쟁 |
▲ 북극해의 주요 분쟁 지역
북극해의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 | |
석유 900 배럴 | 천연가스 470억 배럴 |
전 세계 매장량의 13% | 전 세계 매장량의 30% |
1. 북극에 국경을 접하고 있는 국가의 영유권 주장 내용을 조사해 보자.
세계가 북극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은 지구 온난화 때문이다. 북극의 두꺼운 얼음이 녹아내리며 각국이 천연자원의 보고이자 신항로인 북극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북극 주변국들은 자국의 배타적 경제 수역(EEZ) 확장을 통한 자원 확보를 위해 다른 나라의 출입을 제한하고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그 결과 러시아와 덴마크 간의 로모노소프 해령 갈등을 비롯해 캐나다와 덴마크 간의 한스 섬 영유권 분쟁, 캐나다와 미국 간 북서항로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2. 지도에 표시된 ②~⑤의 분쟁지역도 북극해와 같이 자세히 알아보자.
② 기니 만 : 1990년대 대규모 유전이 발견된 이후 앙골라, 콩고 민주 공화국, 가봉, 적도 기니, 나이지리아 등의 기니 만 연안 국가들이 유전 지대를 둘러싸고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 ③ 아부무사 섬 : 아랍 에미리트와 이란은 아부무사 섬의 소유권을 놓고 대립 중이다. 이 섬은 많은 석유 수송 선박이 통과하는 곳으로 영유권을 갖게 될 경우 자국에 큰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 ④ 동중국해 : 중국과 일본이 가스전 확보를 위해 분쟁을 벌이고 있는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지역은 두 국가 모두 강력하게 자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⑤ 오리노코 강 유역 : 이곳은 단일 지역으로는 세계 최대 원유 매장지로 다국적 거대 석유 기업들이 몰려 있다. 그러나 석유 산업 국유화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 석유 기업과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