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강의(經史講義) 9 ○ 논어(論語) 2 계묘년(1783)에 이현도(李顯道), 정만시(鄭萬始), 조제로(趙濟魯), 이면긍(李勉兢), 김계락(金啓洛), 김희조(金煕朝), 이곤수(李崑秀), 윤행임(尹行恁), 성종인(成種仁), 이청(李晴), 이익진(李翼晉), 서형수(徐瀅修), 심진현(沈晉賢), 신복(申馥), 이유수(李儒修), 강세륜(姜世綸) 등의 대답을 뽑았다
[이인(里仁)]
여기 “군자(君子)는 밥 먹는 사이에도 인(仁)을 떠나지 않는다.”라고 하였는데, 어찌 굳이 밥 먹는 사이를 말하였는가? 선유(先儒)는 혹 ‘자리가 반듯하지 않으면 앉지 않으셨다[席不正 不坐]’, ‘거친 밥과 나물국이라도 반드시 제(祭)를 하셨다[疏食菜羹 必祭]’, ‘임금이 제(祭)를 하면 먼저 밥을 잡수셨다[君祭先飯]’ 같은 것들을 끌어다가 여기에 해당시켰다. 그렇다면 ‘인(仁)을 떠나지 않는다’는 것은 단지 먹고 마실 때에만 있는 것인가? 《집주》에서 주자는 취사(取舍)의 나뉨으로 부귀(富貴)와 빈천(貧賤) 한 구절을 풀이하였고 존양(存養)의 공부로 조차(造次)와 전패(顚沛) 한 구절을 풀이하였다. 처음의 한 구절은 과연 동(動)할 때의 공부이며 끝의 한 구절은 과연 정(靜)할 때의 공부인가?
[심진현(沈晉賢)이 대답하였다.]
‘밥 먹는 사이에도 인을 떠나지 않는다’는 것은 ‘잠시도 떠날 수 없다[不可須臾離]’는 말과 같습니다. 조차(造次)와 전패(顚沛)는 다 그 안에 있습니다. 《존의(存疑)》에 먹고 마시는 일들을 이것저것 끌어다 댄 것은 선유(先儒)가 본디 이미 힘껏 배척하였고, 《집주》의 취사(取舍)의 나뉨과 존양(存養)의 공부는 사실 모두가 동(動)과 정(靜)을 겸하여 말한 것입니다. 여기의 존양은 성찰(省察)에 대응하는 존양과는 아마 같은 용례로 보아서는 안 될 듯합니다.
이 장(章)의 《집주》에 사씨(謝氏)가 이른바 “가(可)도 없고 불가(不可)도 없으면서 참으로 도(道)로써 주장함도 없으면 제멋대로 하는 미치광이에 가깝지 않겠는가.”라고 한 것은, 향원(鄕愿)을 여기에 해당시키면 참으로 딱 들어맞지만, 불씨(佛氏)와 노자(老子)를 해당시키면, 불씨와 노자의 학문은 그 폐단이 오로지 유적(有適)과 유막(有莫)에서 말미암은 것이고, 그 때문에 정자가 상세히 논변한 것이 있다. 지금 이 사씨의 학설이 정자의 말과 다른 것은 어째서인가? 주자가 굳이 사씨의 학설을 취한 것은 또 어째서인가?
[이유수가 대답하였다.]
장남헌(張南軒)이 일찍이 이 문제로 주자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주자가 대답하기를, “처음에는 적(適)과 막(莫)이 없었으나, 의(義)를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 사사로운 생각을 따라 가부(可否)를 정하여 도리어 적(適)과 막(莫)이 있게 되었다. 이미 적과 막이 있게 되었으므로 드디어 의(義)가 있는 곳을 다시 찾지 않아서 마침내 한쪽으로 빠져 든 것이다.”라고 하였고 보면, 적과 막이 있는 것과 적과 막이 없는 것은 단지 의(義)를 알지 못함으로 해서 서로 인하여 병통이 되는 것입니다. 정자의 학설과 사씨의 학설은 요컨대 그 귀결처가 일찍이 같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의 구분을 지위(地位)로써 말한 것도 있고 덕(德)으로써 말한 것도 있다. 이 장의 회덕(懷德)과 회형(懷刑)을 하는 군자와 회토(懷土)와 회혜(懷惠)를 하는 소인은 지위로써 말한 것인가, 덕으로써 말한 것인가? 그리고 회덕이란 것은 무슨 뜻인가? 군자가 이미 자기 몸에 터득하였으면 덕(德)은 본디 내 마음에 절로 들어 있는 것인데 또 무슨 회(懷)라는 말을 할 것이 있겠는가.
[성종인이 대답하였다.]
여기 이른바 군자와 소인은 임금과 백성으로써 말한 것이 아니라 선(善)과 악(惡)으로써 말한 것입니다. 만약 이천(伊川)이 풀이한 바와 같이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덕(德)을 마음에 간직하고 있으면 백성들이 그 영토에서 안주하게 된다는 말이다.”라고 한다면, 이 장의 본래의 뜻을 잃을 듯합니다. 대저 회(懷)라는 것은 깊이 유념하여 잊지 아니함을 말합니다. 덕(德)이 비록 성분(性分)이 본디 지니고 있는 바이기는 하더라도, 어찌 ‘생각하고 있으면 얻고 생각하지 아니하면 얻지 못한다’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성인(聖人)이 증자(曾子)에게 일관(一貫)이라고 말해 주었는데 증자는 충서(忠恕)라고 문인(門人)들에게 말해 주었다. 일관은 하나이고 충서는 둘이다. 어찌 충서가 일관이라고 할 수 있는가? 선유가 이르기를 “충(忠)은 일(一)이고 서(恕)는 관(貫)이다.”라고 하였으나, 본문에 분명하게 일이관지(一以貫之)라고 말하였고 보면, 이관(以貫)의 이(以)에서 바로 일(一)과 관(貫)이 처음부터 두 가지 일이 없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나누어 붙인다면 천착으로 귀결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정만시(鄭萬始)가 대답하였다.]
일관은 성인의 충서이고 충서는 학자의 일관입니다. 충(忠)이 체(體)이고 서(恕)가 용(用)이니 체와 용이 어찌 둘이 있겠습니까. 충과 서를 일과 관에다 나누어 붙이는 것은 학자들 가운데 비판하는 사람이 많으니, 대개 일관이라는 두 글자는 나눌 수 없는 것이고 관(貫)은 다만 일(一)의 관(貫)이기 때문입니다.
이 장의 유어의(喩於義)와 유어리(喩於利)에 대해서, 정자(程子)는 “오직 분명하게 잘 알아서 이 때문에 독실히 좋아한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분명히 알게 된 뒤[喩後]의 효험으로써 말한 것이고, 상산(象山)은 “사람이 분명히 알게 되는 것은 익히는 바에서 말미암는 것이고 익히는 바는 뜻을 두는 바에서 말미암는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분명히 잘 알기 이전[喩前]의 공부로써 말한 것이다. 어느 학설이 맞는가? 주자(朱子)와 상산(象山)이 이 장을 강론하자 좌객 가운데 눈물을 흘리는 사람이 있기까지 했었다. 그 학설이 매우 절실하여 사람을 감동시킨 것이 이러했고 보면, 주자가 《집주》에 반드시 정자(程子)의 학설을 취한 것은 과연 무슨 뜻인가?
[윤행임(尹行恁)이 대답하였다.]
이 장은 반드시 정자(程子)와 육상산(陸象山)의 학설을 겸한 뒤라야 뜻이 바야흐로 완전히 갖추어집니다. 그래서 주자가 《집주》에서는 정자의 학설을 취하였으나 《혹문(或問)》에서는 육상산의 학설을 아울러 취하여 말하기를, “먼저 분명히 알아서 좋아함이 더욱 독실해지는 사람도 있고 먼저 좋아해서 앎이 더욱 깊어지는 사람도 있다. 하나의 예로 구애받아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으니, 대개 서로 보완이 되도록 하고자 한 것입니다.
기간(幾諫)이라는 것은 무슨 말인가? 《집주》에 “기(幾)는 미(微)이다.”라고 하였다. 미(微)는 미간(微諫)의 미(微)인가, 아니면 기미(幾微)의 미(微)인가?
[강세륜이 대답하였다.]
주자가 내칙(內則)에 이른바 “기운을 낮추고 얼굴빛을 온화하게 하고 목소리를 부드럽게 하여 간한다.”는 것을 인용하여 기간(幾諫)의 뜻을 풀이하였으니, 여기의 미(微) 자는 마땅히 미간(微諫)의 미(微)로 보아야 할 듯합니다.
여기 “군자는 말은 어눌하게 하고 행동은 민첩하게 한다.”고 하였는데, 말은 본디 재빠르게 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지 아니하나 또한 어찌 꼭 억지로 더듬거리는 태도를 짓는단 말인가. 부자가 일찍이 언행(言行)에 대해 말씀하셨는데, ‘근이신(謹而信)’이라고 하셨다. 행동을 근실하게 하는 것이 어찌 민첩하게 하는 것보다 낫지 않겠으며, 말을 미쁘게 하는 것이 어찌 어눌하게 하는 것보다 낫지 않겠는가?
[신복이 대답하였다.]
《역경(易經)》에 “입을 숭상하면 궁박해진다.”고 하였으니, 대개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은 쉽기 때문에 남겨 두고 감히 다 꺼내지 않는 것이지 억지로 더듬거리는 시늉을 하게 하려 함은 아닙니다. 더구나 근(謹)과 신(信)은 언(言)과 행(行)을 아울러 진취시키는 것으로써 말한 것이고, 눌이민(訥而敏)은 오로지 역행(力行)을 거듭 말한 것이니, 주장하는 바의 뜻이 본래부터 같지 않습니다.
위는 이인편(里仁篇)이다.
[주1] 부자가 …… 하셨다 : 《논어(論語)》 학이(學而)에 ‘근이신(謹而信)’이라고 하였는데, 그 주석에 “근(謹)이라는 것은 행동에 떳떳함[常]이 있음이고 신(信)이라는 것은 말에 성실함[實]이 있음이다.”라고 하였다.
[里仁]
此云君子無終食之間違仁。何必曰終食之間也。先儒或引席不正不坐。疏食菜羹必祭。君祭先飯之類以當之。然則無違仁。只在飮食之時耶。集註朱子以取舍之分。釋富貴貧賤一節。以存養之功。釋造次顚沛一節。首一節。果是動時工夫。末一節。果是靜時工夫耶。晉賢對。無終食之間違仁。猶言不可須臾離也。造次顚沛。都在其中。存疑之雜引飮食之節。先儒固 已力斥之。而集註取舍之分。存養之功。實皆兼動靜說。此存養與對省察之存養。恐不當一例看。此章集註。謝氏所謂無可無不可。而苟無道以主之。則不幾於猖狂自恣者。以鄕愿當之。則固襯合矣。以佛老當之。則佛老之學。其弊專由於有適有莫。故程子論之詳矣。今此謝說之異於程子。何也。朱子之必取謝說。又何也。儒修對。張南軒嘗以此往復於朱子。而朱子答之曰。初無適莫而不知義。故徇其私意。以爲可否。而反歸於有適莫。旣有適莫。故遂不復求義之所在。 而卒陷於一偏云云。則有適莫與無適莫。只爲不知義而相因爲病。程說謝說。要其歸。未嘗不同也。君子小人。有以位言者。有以德言者。此章懷德懷刑之君子。懷土懷惠之小人。以位言耶。以德言耶。且懷德者。何義。君子旣得於己。則德固吾心之所自有。又何懷之可言耶。種仁對。此所謂君子小人。非以君民言。卽以善惡言。若如伊川所解謂在上者懷德。民安其土云爾。則恐失此章本義。大抵懷者。念念不忘之謂。德雖性分之所固有。豈不曰思則得之。不思則不得也 乎。聖人告曾子以一貫。而曾子以忠恕告門人。一貫一而忠恕二也。豈可謂忠恕之爲一貫耶。先儒云忠是一。恕是貫。本文明言一以貫之。則以貫之以。便見得一與貫之初無二事。若是分屬。得不歸於穿鑿耶。萬始對。一貫。聖人之忠恕也。忠恕。學者之一貫也。忠是體而恕是用。則體用豈有二致。然忠恕之分屬一貫。諸家或多非之。蓋一貫二字。不可分。貫只是一之貫故也。此章喩於義。喩於利。程子則曰。惟其深喩。是以篤好。 此以喩後之效言也。象山則曰。人之所喩。由其所習。所習。由其所志。此以喩前之工言也。何說爲得。朱子與象山。講論此章。座客至有泣下者。其說之深切而感人如此。則朱子之於集註。必取程說。果何義耶。行恁對。此章。必兼程陸兩說。然後意方完備。故朱子於集註。取程說。於或問。幷取陸說曰。有先喩之而好愈篤者。有先好之而喩愈深者。不可以一例拘。蓋欲其互相發也。幾諫者。何謂也。集註曰。幾。微也。微是微諫之微耶。抑是幾微之微耶。世綸對。朱子引內則所謂下氣怡色柔聲以諫者。以釋幾諫之義。則此微字。似當以微諫之微看。此云。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言固不貴於捷捷。而亦何須强作訥訥之態耶。夫子嘗訓言行矣。曰謹而信。行之謹。豈不愈於敏。言之信。豈不愈於訥耶。馥對。經曰尙口乃窮。蓋放言易。故有餘不敢盡。非欲其强作訥訥也。况謹與信。以言行竝進而言。訥而敏。專就力行上重言之。所主之義。本自不同也耶。以上里仁
출전 : 한국고전번역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