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般若波羅蜜多經
제6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7권 목차-
◘初分相應品第三之四
◆불착안촉유(不著眼觸有)
◆불착안촉상(不著眼觸常)
◆불착안촉락(不著眼觸樂)
◆불착안촉아(不著眼觸我)
◆불착안촉적정(不著眼觸寂靜)
◆불착안촉공(不著眼觸空)
◆불착안촉무상(不著眼觸無相)
◆불착안촉무원(不著眼觸無願)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유(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有)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상(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常)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락(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樂)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아(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我)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적정(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寂靜)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공(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空)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무상(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無相)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무원(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無願)
◆불착지계유(不著地界有)
◆불착지계상(不著地界常)
◆불착지계락(不著地界樂)
◆불착지계아(不著地界我)
◆불착지계적정(不著地界寂靜)
◆불착지계공(不著地界空)
◆불착지계무상(不著地界無相)
◆불착지계무원(不著地界無願)
◆불착인연유(不著因緣有)
◆불착인연상(不著因緣常)
◆불착인연락(不著因緣樂)
◆불착인연아(不著因緣我)
◆불착인연적정(不著因緣寂靜)
◆불착인연공(不著因緣空)
◆불착인연무상(不著因緣無相)
◆불착인연무원(不著因緣無願)
◆불착무명유(不著無明有)
◆불착무명상(不著無明常)
◆불착무명락(不著無明樂)
◆불착무명아(不著無明我)
◆불착무명적정(不著無明寂靜)
◆불착무명공(不著無明空)
◆불착무명무상(不著無明無相)
◆불착무명무원(不著無明無願)
◆불착보시바라밀다유(不著布施波羅蜜多有)
◆불착보시바라밀다상(不著布施波羅蜜多常)
◆불착보시바라밀다락(不著布施波羅蜜多樂)
◆불착보시바라밀다아(不著布施波羅蜜多我)
◆불착보시바라밀다적정(不著布施波羅蜜多寂靜)
◆불착보시바라밀다공(不著布施波羅蜜多空)
◆불착보시바라밀다무원(不著布施波羅蜜多無願)
◆불착내공유(不著內空有)
◆불착내공상(不著內空常)
◆불착내공락(不著內空樂)
◆불착내공아(不著內空我)
◆불착내공적정(不著內空寂靜)
◆불착내공공(不著內空空)
◆불착내공무상(不著內空無相)
◆불착내공무원(不著內空無願)
◆불착진여유(不著眞如有)
◆불착진여상(不著眞如常)
◆불착진여락(不著眞如樂)
◆불착진여아(不著眞如我)
◆불착진여적정(不著眞如寂靜)
◆불착진여공(不著眞如空)
◆불착진여무상(不著眞如無相)
◆불착진여무원(不著眞如無願)
◆불착사념주유(不著四念住有)
◆불착사념주상(不著四念住常)
◆불착사념주락(不著四念住樂)
◆불착사념주아(不著四念住我)
◆불착사념주적정(不著四念住寂靜)
◆불착사념주공(不著四念住空)
◆불착사념주무상(不著四念住無相)
◆불착사념주무원(不著四念住無願)
◆불착고성제유(不著苦聖諦有)
◆불착고성제상(不著苦聖諦常)
◆불착고성제락(不著苦聖諦樂)
◆불착고성제아(不著苦聖諦我)
◆불착고성제적정(不著苦聖諦寂靜)
◆불착고성제공(不著苦聖諦空)
◆불착고성제무상(不著苦聖諦無相)
◆불착고성제무원(不著苦聖諦無願)
◆불착사정려유(不著四靜慮有)
◆불착사정려상(不著四靜慮常)
◆불착사정려락(不著四靜慮樂)
◆불착사정려아(不著四靜慮我)
◆불착사정려적정(不著四靜慮寂靜)
◆불착사정려공(不著四靜慮空)
◆불착사정려무상(不著四靜慮無相)
◆불착사정려무원(不著四靜慮無願)
◆불착팔해탈유(不著八解脫有)
◆불착팔해탈상(不著八解脫常)
◆불착팔해탈락(不著八解脫樂)
◆불착팔해탈아(不著八解脫我)
◆불착팔해탈적정(不著八解脫寂靜)
◆불착팔해탈공(不著八解脫空)
◆불착팔해탈무상(不著八解脫無相)
◆불착팔해탈무원(不著八解脫無願)
◆불착공해탈문유(不著空解脫門有)
◆불착공해탈문상(不著空解脫門常)
◆불착공해탈문락(不著空解脫門樂)
◆불착공해탈문아(不著空解脫門我)
◆불착공해탈문적정(不著空解脫門寂靜)
◆불착공해탈문공(不著空解脫門空)
◆불착공해탈문무상(不著空解脫門無相)
◆불착공해탈문무원(不著空解脫門無願)
◆불착일체다라니문유(不著一切陁羅尼門有)
◆불착일체다라니문상(不著一切陁羅尼門常)
◆불착일체다라니문락(不著一切陁羅尼門樂)
◆불착일체다라니문아(不著一切陁羅尼門我)
◆불착일체다라니문적정(不著一切陁羅尼門寂靜)
◆불착일체다라니문공(不著一切陁羅尼門空)
◆불착일체다라니문무상(不著一切陁羅尼門無相)
◆불착일체다라니문무원(不著一切陁羅尼門無願)
◆불착극희지유(不著極喜地有)
◆불착극희지상(不著極喜地常)
◆불착극희지락(不著極喜地樂)
◆불착극희지아(不著極喜地我)
◆불착극희지적정(不著極喜地寂靜)
◆불착극희지공(不著極喜地空)
◆불착극희지무상(不著極喜地無相)
◆불착극희지무원(不著極喜地無願)
◆불착오안유(不著五眼有)
◆불착오안상(不著五眼常)
◆불착오안락(不著五眼樂)
◆불착오안아(不著五眼我)
◆불착오안적정(不著五眼寂靜)
◆불착오안공(不著五眼空)
◆불착오안무상(不著五眼無相)
◆불착오안무원(不著五眼無願)
◆불착불십력유(不著佛十力有)
◆불착불십력상(不著佛十力常)
◆불착불십력락(不著佛十力樂)
◆불착불십력아(不著佛十力我)
◆불착불십력적정(不著佛十力寂靜)
◆불착불십력공(不著佛十力空)
◆불착불십력무상(不著佛十力無相)
◆불착불십력무원(不著佛十力無願)
◆불착삼십이대사상유(不著三十二大士相有)
◆불착삼십이대사상상(不著三十二大士相常)
◆불착삼십이대사상락(不著三十二大士相樂)
◆불착삼십이대사상아(不著三十二大士相我)
◆불착삼십이대사상적정(不著三十二大士相寂靜)
◆불착삼십이대사상공(不著三十二大士相空)
◆불착삼십이대사상무상(不著三十二大士相無相)
◆불착삼십이대사상무원(不著三十二大士相無願)
◆불착무망실법유(不著無忘失法有)
◆불착무망실법상(不著無忘失法常)
◆불착무망실법락(不著無忘失法樂)
◆불착무망실법아(不著無忘失法我)
◆불착무망실법적정(不著無忘失法寂靜)
◆불착무망실법공(不著無忘失法空)
◆불착무망실법무상(不著無忘失法無相)
◆불착무망실법무원(不著無忘失法無願)
◆불착일체지유(不著一切智有)
◆불착일체지상(不著一切智常)
◆불착일체지락(不著一切智樂)
◆불착일체지아(不著一切智我)
◆불착일체지적정(不著一切智寂靜)
◆불착일체지공(不著一切智空)
◆불착일체지무상(不著一切智無相)
◆불착일체지무원(不著一切智無願)
◆불착예류과유(不著預流果有)
◆불착예류과상(不著預流果常)
◆불착예류과락(不著預流果樂)
◆불착예류과아(不著預流果我)
◆불착예류과적정(不著預流果寂靜)
◆불착예류과공(不著預流果空)
◆불착예류과무상(不著預流果無相)
◆불착예류과무원(不著預流果無願)
◆불착일체보살마하살행유(不著一切菩薩摩訶薩行有)
◆불착일체보살마하살행상(不著一切菩薩摩訶薩行常)
◆불착일체보살마하살행락(不著一切菩薩摩訶薩行樂)
◆불착일체보살마하살행아(不著一切菩薩摩訶薩行我)
◆불착일체보살마하살행적정(不著一切菩薩摩訶薩行寂靜)
◆불착일체보살마하살행공(不著一切菩薩摩訶薩行空)
◆불착일체보살마하살행무상(不著一切菩薩摩訶薩行無相)
◆불착일체보살마하살행무원(不著一切菩薩摩訶薩行無願)
◆사부작시념(四不作是念)
初分相應品第三之三
초분상응품제3의3
◆불착안촉유(不著眼觸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眼觸有하고不著眼觸非有이니라
『안촉을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을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有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非有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을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을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상(不著眼觸常)
●不著眼觸常하고不著眼觸無常이니라
『안촉이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常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無常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락(不著眼觸樂)
●不著眼觸樂하고不著眼觸苦이니라
『안촉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樂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苦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아(不著眼觸我)
●不著眼觸我하고不著眼觸無我이니라
『안촉이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我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無我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아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적정(不著眼觸寂靜)
●不著眼觸寂靜하고不著眼觸不寂靜이니라
『안촉이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적정(寂靜)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寂靜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不寂靜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공(不著眼觸空)
●不著眼觸空하고不著眼觸不空이니라
『안촉이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공(空)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空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不空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무상(不著眼觸無相)
●不著眼觸無相하고不著眼觸有相이니라
『안촉이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無相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有相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무원(不著眼觸無願)
●不著眼觸無願하고不著眼觸有願이니라
『안촉이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無願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有願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유(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有하고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非有이니라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有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非有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상(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常)
●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常하고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無常이니라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常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無常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락(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樂)
●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樂하고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苦이니라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樂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苦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아(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我)
●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我하고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無我이니라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我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無我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아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적정(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寂靜)
●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寂靜하고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不寂靜이니라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적정(寂靜)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寂靜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不寂靜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공(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空)
●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空하고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不空이니라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공(空)이라 집착하거나,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공(空)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空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不空이니라
『이처와 비처와 설처와 신처와 의처가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이처와 비처와 설처와 신처와 의처가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무상(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無相)
●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無相하고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有相이니라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無相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有相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안촉위연소생제수무원(不著眼觸爲緣所生諸受無願)
●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無願하고不著眼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有願이니라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안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無願하고不著耳、鼻、舌、身、意觸이爲緣하야所生한諸受有願이니라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이촉과 비촉과 설촉과 신촉과 의촉이 인연이 되어 생겨난 모든 느낌이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지계유(不著地界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 ❮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地界有하고不著地界非有이니라
『지계가 존재가 집착하지 않고, 지계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水、火、風、空、識界有하고不著水、火、風、空、識界非有이니라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존재가 집착하지 않고,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지계상(不著地界常)
●不著地界常하고不著地界無常이니라
『지계가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지계가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水、火、風、空、識界常하고不著水、火、風、空、識界無常이니라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지계락(不著地界樂)
●不著地界樂하고不著地界苦이니라
『지계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지계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水、火、風、空、識界樂하고不著水、火、風、空、識界苦이니라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지계아(不著地界我)
●不著地界我하고不著地界無我이니라
『지계가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지계가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水、火、風、空、識界我하고不著水、火、風、空、識界無我이니라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아라 집착하지 않고,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지계적정(不著地界寂靜)
●不著地界寂靜하고不著地界不寂靜이니라
『지계가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지계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水、火、風、空、識界寂靜하고不著水、火、風、空、識界不寂靜이니라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지계공(不著地界空)
●不著地界空하고不著地界不空이니라
『지계가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지계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水、火、風、空、識界空하고不著水、火、風、空、識界不空이니라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지계무상(不著地界無相)
●不著地界無相하고不著地界有相이니라
『지계가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지계가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水、火、風、空、識界無相하고不著水、火、風、空、識界有相이니라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지계무원(不著地界無願)
●不著地界無願하고不著地界有願이니라
『지계가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지계가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水、火、風、空、識界無願하고不著水、火、風、空、識界有願이니라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수계와 화계와 풍계와 공계와 식계가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인연유(不著因緣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因緣有하고不著因緣非有이니라
『인연이 존재가 집착하지 않고, 인연이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有하고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非有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인연상(不著因緣常)
●不著因緣常하고不著因緣無常이니라
『인연이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인연이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常하고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無常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인연락(不著因緣樂)
●不著因緣樂하고不著因緣苦이니라
『인연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인연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樂하고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苦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인연아(不著因緣我)
●不著因緣我하고不著因緣無我이니라
『인연이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인연이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我하고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無我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아라 집착하지 않고,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인연적정(不著因緣寂靜)
●不著因緣寂靜하고不著因緣不寂靜이니라
『인연이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인연이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寂靜하고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不寂靜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인연공(不著因緣空)
●不著因緣空하고不著因緣不空이니라
『인연이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인연이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空하고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不空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인연무상(不著因緣無相)
●不著因緣無相하고不著因緣有相이니라
『인연이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인연이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無相하고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有相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모든 법이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인연무원(不著因緣無願)
●不著因緣無願하고不著因緣有願이니라
『인연이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인연이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無願하고不著等無閒緣과所緣緣과增上緣과及從緣所生法有願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무명유(不著無明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無明有하고不著無明非有이니라
『무명이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무명이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行、識、名色、六處、觸、受、愛、取、有、生、老死와愁歎苦憂惱有하고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非有이니라
『행과 식과 명색과 육처와 촉과 수와 애와 취와 유와 생과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무명상(不著無明常)
●不著無明常하고不著無明無常이니라
『무명이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무명이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常하고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無常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무명락(不著無明樂)
●不著無明樂하고不著無明苦이니라
『무명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무명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樂하고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苦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무명아(不著無明我)
●不著無明我하고不著無明無我이니라
『무명이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무명이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我하고不著行乃至老死화愁歎苦憂惱無我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아라 집착하지 않고,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무명적정(不著無明寂靜)
●不著無明寂靜하고不著無明不寂靜이니라
『무명이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무명이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寂靜하고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不寂靜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무명공(不著無明空)
●不著無明空하고不著無明不空이니라
『무명이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무명이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空하고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不空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무명무상(不著無明無相)
●不著無明無相하고不著無明有相이니라
『무명이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무명이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無相하고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有相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무명무원(不著無明無願)
●不著無明無願하고不著無明有願이니라
『무명이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무명이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無願하고不著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有願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보시바라밀다유(不著布施波羅蜜多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布施波羅蜜多有하고不著布施波羅蜜多非有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보시바라밀다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有하고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非有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존재가 집착하지 않고,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보시바라밀다상(不著布施波羅蜜多常)
●不著布施波羅蜜多常하고不著布施波羅蜜多無常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보시바라밀다가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常하고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無常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정계와 안인과 정려와 정진과 반야바라밀다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보시바라밀다락(不著布施波羅蜜多樂)
●不著布施波羅蜜多樂하고不著布施波羅蜜多苦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보시바라밀다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樂하고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苦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보시바라밀다아(不著布施波羅蜜多我)
●不著布施波羅蜜多我하고不著布施波羅蜜多無我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보시바라밀다가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我하고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無我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아라 집착하지 않고,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보시바라밀다적정(不著布施波羅蜜多寂靜)
●不著布施波羅蜜多寂靜하고不著布施波羅蜜多不寂靜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보시바라밀다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寂靜하고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不寂靜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보시바라밀다공(不著布施波羅蜜多空)
●不著布施波羅蜜多空하고不著布施波羅蜜多不空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보시바라밀다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空하고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不空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보시바라밀다무상(不著布施波羅蜜多無相)
●不著布施波羅蜜多無相하고不著布施波羅蜜多有相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보시바라밀다가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無相하고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有相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보시바라밀다무원(不著布施波羅蜜多無願)
●不著布施波羅蜜多無願하고不著布施波羅蜜多有願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보시바라밀다가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無願하고不著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有願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내공유(不著內空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內空有하고不著內空非有이니라
『내공이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내공이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外空、內外空、空空、大空、勝義空、有爲空、無爲空、畢竟空、無際空、散空、無變異空、本性空、自相空、共相空、一切法空、不可得空、無性空、自性空、無性自性空有하고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非有이니라
『외공과 내외공과 공공과 대공과 승의공과 유위공과 무위공과 필경공과 무제공과 산공과 무변이공과 본성공과 자상공과 공상공과 일체법공과 불가득공과 무성공과 자성공과 무성자성공이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내공상(不著內空常)
●不著內空常하고不著內空無常이니라
『내공이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내공이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常하고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無常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내공락(不著內空樂)
●不著內空樂하고不著內空苦이니라
『내공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내공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樂하고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苦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내공아(不著內空我)
●不著內空我하고不著內空無我이니라
『내공이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내공이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我하고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無我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아라 집착하지 않고,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내공적정(不著內空寂靜)
●不著內空寂靜하고不著內空不寂靜이니라
『내공이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내공이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寂靜하고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不寂靜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내공공(不著內空空)
●不著內空空하고不著內空不空이니라
『내공이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내공이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空하고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不空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내공무상(不著內空無相)
●不著內空無相하고不著內空有相이니라
『내공이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내공이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無相하고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有相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내공무원(不著內空無願)
●不著內空無願하고不著內空有願이니라
『내공이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내공이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無願하고不著外空乃至無性自性空有願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진여유(不著眞如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眞如有하고不著眞如非有이니라
『진여가 존재가 집착하지 않고, 진여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法界、法性、不虛妄性、不變異性、平等性、離生性、法定、法住、實際、虛空界、不思議界有하고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非有이니라
『법계와 법성과 불허망성과 불변이성과 평등성과 이생성과 법정과 법주와 실제와 허공계와 불사의계가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진여상(不著眞如常)
●不著眞如常하고不著眞如無常이니라
『진여가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진여가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常하고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無常이니라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법계에서 불가의계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진여락(不著眞如樂)
●不著眞如樂하고不著眞如苦이니라
『진여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진여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樂하고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苦이니라
『법계에서 불가의계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진여아(不著眞如我)
●不著眞如我하고不著眞如無我이니라
『진여가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진여가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我하고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無我이니라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아라 집착하지 않고, 법계에서 불가의계가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진여적정(不著眞如寂靜)
●不著眞如寂靜하고不著眞如不寂靜이니라
『진여가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진여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寂靜하고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不寂靜이니라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진여공(不著眞如空)
●不著眞如空하고不著眞如不空하니라
『진여가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진여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空하고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不空하니라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진여무상(不著眞如無相)
●不著眞如無相하고不著眞如有相이니라
『진여가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진여가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無相하고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有相이니라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진여무원(不著眞如無願)
●不著眞如無願하고不著眞如有願이니라
『진여가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진여가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無願하고不著法界乃至不思議界有願이니라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법계에서 불사의계가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사념주유(不著四念住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四念住有하고不著四念住非有이니라
『사념주가 존재가 집착하지 않고, 사념주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正斷、四神足、五根、五力、七等覺支、八聖道支有하고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非有이니라
『사정단과 사신족과 오근과 오력과 칠등각지와 팔성도지가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념주상(不著四念住常)
●不著四念住常하고不著四念住無常이니라
『사념주가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념주가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常하고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無常이니라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념주락(不著四念住樂)
●不著四念住樂하고不著四念住苦이니라
『사념주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사념주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樂하고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苦이니라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념주아(不著四念住我)
●不著四念住我하고不著四念住無我이니라
『사념주가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사념주가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我하고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無我이니라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아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념주적정(不著四念住寂靜)
●不著四念住寂靜하고不著四念住不寂靜이니라
『사념주가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념주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寂靜하고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不寂靜이니라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념주공(不著四念住空)
●不著四念住空하고不著四念住不空이니라
『사념주를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념주를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空하고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不空이니라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념주무상(不著四念住無相)
●不著四念住無相하고不著四念住有相이니라
『사념주가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념주가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無相하고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有相이니라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념주무원(不著四念住無願)
●不著四念住無願하고不著四念住有願이니라
『사념주가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념주가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無願하고不著四正斷乃至八聖道支有願이니라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단에서 팔성도지가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고성제유(不著苦聖諦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苦聖諦有하고不著苦聖諦非有이니라
『고성제가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고성제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集、滅、道聖諦有하고不著集、滅、道聖諦非有이니라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고성제상(不著苦聖諦常)
●不著苦聖諦常하고不著苦聖諦無常이니라
『고성제가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고성제가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集、滅、道聖諦常하고不著集、滅、道聖諦無常이니라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고성제락(不著苦聖諦樂)
●不著苦聖諦樂하고不著苦聖諦苦이니라
『고성제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고성제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集、滅、道聖諦樂하고不著集、滅、道聖諦苦이니라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고성제아(不著苦聖諦我)
●不著苦聖諦我하고不著苦聖諦無我이니라
『고성제가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고성제가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集、滅、道聖諦我하고不著集、滅、道聖諦無我이니라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아라 집착하지 않고,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고성제적정(不著苦聖諦寂靜)
●不著苦聖諦寂靜하고不著苦聖諦不寂靜이니라
『고성제가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고성제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集、滅、道聖諦寂靜하고不著集、滅、道聖諦不寂靜이니라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고성제공(不著苦聖諦空)
●不著苦聖諦空하고不著苦聖諦不空이니라
『고성제가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고성제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集、滅、道聖諦空하고不著集、滅、道聖諦不空이니라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고성제무상(不著苦聖諦無相)
●不著苦聖諦無相하고不著苦聖諦有相이니라
『고성제가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고성제가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集、滅、道聖諦無相하고不著集、滅、道聖諦有相이니라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고성제무원(不著苦聖諦無願)
●不著苦聖諦無願하고不著苦聖諦有願이니라
『고성제가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고성제가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集、滅、道聖諦無願하고不著集、滅、道聖諦有願이니라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집성제와 멸성제와 도성제가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사정려유(不著四靜慮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四靜慮有하고不著四靜慮非有이니라
『사정려가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려가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有하고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非有이니라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정려상(不著四靜慮常)
●不著四靜慮常하고不著四靜慮無常이니라
『사정려가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려가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常하고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無常이니라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정려락(不著四靜慮樂)
●不著四靜慮樂하고不著四靜慮苦이니라
『사정려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사정려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樂하고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苦이니라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정려아(不著四靜慮我)
●不著四靜慮我하고不著四靜慮無我이니라
『사정려가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려가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我하고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無我이니라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아라 집착하지 않고,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정려적정(不著四靜慮寂靜)
●不著四靜慮寂靜하고不著四靜慮不寂靜이니라
『사정려가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려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寂靜하고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不寂靜이니라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정려공(不著四靜慮空)
●不著四靜慮空하고不著四靜慮不空이니라
『사정려가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려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空하고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不空이니라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정려무상(不著四靜慮無相)
●不著四靜慮無相하고不著四靜慮有相이니라
『사정려가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려가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無相하고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有相이니라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사정려무원(不著四靜慮無願)
●不著四靜慮無願하고不著四靜慮有願이니라
『사정려가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정려가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無願하고不著四無量과四無色定有願이니라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사무량과 사무색정이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팔해탈유(不著八解脫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八解脫有하고不著八解脫非有이니라
『팔해탈을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팔해탈을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有하고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非有이니라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를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를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팔해탈상(不著八解脫常)
●不著八解脫常하고不著八解脫無常이니라
『팔해탈이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팔해탈이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常하고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無常이니라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팔해탈락(不著八解脫樂)
●不著八解脫樂하고不著八解脫苦이니라
『팔해탈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팔해탈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樂하고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苦이니라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팔해탈아(不著八解脫我)
●不著八解脫我하고不著八解脫無我이니라
『팔해탈이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팔해탈이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我하고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無我이니라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아라 집착하지 않고,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팔해탈적정(不著八解脫寂靜)
●不著八解脫寂靜하고不著八解脫不寂靜이니라
『팔해탈이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팔해탈이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寂靜하고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不寂靜이니라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팔해탈공(不著八解脫空)
●不著八解脫空하고不著八解脫不空이니라
『팔해탈이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팔해탈이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空하고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不空이니라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팔해탈무상(不著八解脫無相)
●不著八解脫無相하고不著八解脫有相이니라
『팔해탈이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팔해탈이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無相하고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有相이니라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팔해탈무원(不著八解脫無願)
●不著八解脫無願하고不著八解脫有願이니라
『팔해탈이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팔해탈이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無願하고不著八勝處、九次第定、十遍處有願이니라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팔승처와 구차제정과 십변처가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불착공해탈문유(不著空解脫門有)
◙復次에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如是❯修行般若波羅蜜多이니라
『또 다시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와 같이 해야 한다.』
●不著空解脫門有하고不著空解脫門非有이니라
『공해탈문이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공해탈문이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無相、無願解脫門有하고不著無相、無願解脫門非有이니라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존재라 집착하지 않고,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존재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공해탈문상(不著空解脫門常)
●不著空解脫門常하고不著空解脫門無常이니라
『공해탈문이 상(常)이라 집착하지 않고, 공해탈문이 무상(無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無相、無願解脫門常하고不著無相、無願解脫門無常이니라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공해탈문락(不著空解脫門樂)
●不著空解脫門樂하고不著空解脫門苦이니라
『공해탈문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공해탈문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無相、無願解脫門樂하고不著無相、無願解脫門苦이니라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즐겁다고 집착하지 않고,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괴롭다고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공해탈문아(不著空解脫門我)
●不著空解脫門我하고不著空解脫門無我이니라
『공해탈문이 아(我)라 집착하지 않고, 공해탈문이 무아(無我)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無相、無願解脫門我하고不著無相、無願解脫門無我이니라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아라 집착하지 않고,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무아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공해탈문적정(不著空解脫門寂靜)
●不著空解脫門寂靜하고不著空解脫門不寂靜이니라
『공해탈문이 적정(寂靜)이라 집착하지 않고, 공해탈문이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無相、無願解脫門寂靜하고不著無相、無願解脫門不寂靜이니라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적정이라 집착하지 않고,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적정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공해탈문공(不著空解脫門空)
●不著空解脫門空과不著空解脫門不空이니라
『공해탈문이 공(空)이라 집착하지 않고, 공해탈문이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無相、無願解脫門空하고不著無相、無願解脫門不空이니라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공이라 집착하지 않고,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공이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공해탈문무상(不著空解脫門無相)
●不著空解脫門無相하고不著空解脫門有相이니라
『공해탈문이 무상(無相)이라 집착하지 않고, 공해탈문이 유상(有相)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無相、無願解脫門無相하고不著無相、無願解脫門有相이니라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무상이라 집착하지 않고,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유상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불착공해탈문무원(不著空解脫門無願)
●不著空解脫門無願하고不著空解脫門有願이니라
『공해탈문이 무원(無願)이라 집착하지 않고, 공해탈문이 유원(有願)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不著無相、無願解脫門無願하고不著無相、無願解脫門有願이니라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무원이라 집착하지 않고, 무상해탈문과 무원해탈문이 유원이라 집착하지 않는다.』
◯舍利子야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하되與如是法과相應故로當言與般若波羅蜜多와相應이니라
『사리자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하되, 이 같은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상응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