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생명을 잃고 숨이 끊어진 상태. 물리적으로 동작(활동)이 멈출 뿐 아니라 생물학적으로도 더 이상 반응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성경은 죽음이 단순히 자연스런 생명의 소멸이 아니라 죄로부터 비롯된 하나님의 형벌임을 가르친다(창 2:17; 3:19; 롬 6:23). 그리고 그 죽음은 누구도 빗겨갈 수 없는 필연적인 것이라 말한다(삼하 14:14; 히 9:27). 물론 죽음을 면제받은 두 사람(에녹과 엘리야)의 특별한 경우가 있기는 하다(창 5:24; 왕하 2:11-12; 히 11:5). 아무튼 죽이고 살리는 생명의 권세는 오직 하나님께 있는 것이다(신 32:39; 삼상 2:6). 한편 ‘죽음’을 ‘사망’으로도 번역한다(마 4:16).
죽음에 따른 절차
인생에게 죽음이 닥치면 호흡이 멈추고 생리적 기능이 정지된다(롬 4:19). 그리고 죽은 자의 영혼은 몸을 떠나(전 12:5, 7; 행 5:10; 고후 5:8; 빌 1:21-24; 약 2:26) 다른 세상으로 간다(눅 16:22-23; 계 20:12). 즉, 죽은 자는 낙원(눅 16:22; 23:43) 또는 음부(눅 16:23; 벧전 3:19)에 거하게 된다. 그리고 육신은 흙으로 돌아간다(창 3:19; 시 104:29). 그러나 그리스도의 재림 때에 모든 인생이 육체를 입고 부활한다(마 22:31; 행 17:32; 24:15; 고전 15:12-52; 빌 3:11; 히 6:2).
죽음에 대한 비유적 표현
성경은 죽음을, 잠을 자거나(신 31:16; 욥 14:12; 시 90:5-6; 단 12:2; 요 11:11), 쉬는 것으로(욥 3:13, 17) 또는 풀이 마르고 꽃이 시드는 것(욥 14:2; 사 40:6-7)으로 묘사한다. 그리고 거듭나지 못한 자(눅 9:60)나 향락을 좋아하는 자(딤전 5:6), 그릇된 행실(히 6:1)과 타락한 교회(계 3:1), 혹은 죄와 율법으로부터 자유한 자(롬 6:2, 7; 7:4; 벧전 2:24)나 세상으로부터 자유한 자(골 2:20)를 ‘죽었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영적인 죽음과 영원한 죽음
성경은 단순히 육체적 죽음만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되는 영적 죽음을 경고한다. 아담의 범죄로 하나님과의 교제가 단절되었고(창 3:22-24), 아담뿐 아니라 그 후손인 모든 인생이 사망의 권세 아래 놓이게 되었다(롬 5:12; 고전 15:22). 따라서 모든 인생은 전적으로 부패하여 영적인 진리를 분별하거나 영적인 선을 행할 능력을 완전히 상실한 영적인 죽음을 맞게 된 것이다(창 6:5; 시 14:2-3; 렘 17:9-10; 요 3:36; 롬 3:10-12; 5:12; 6:23). 이 영적 죽음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부활이요 생명의 주인이신 그리스도이시다(요 5:24; 14:6; 고전 15:53-57; 엡 2:1, 5; 계 1:18).
하나님을 끝까지 거부한 인생은 하나님의 진노를 사(살전 1:10) 영원한 멸망의 형벌을 피할 수 없게 된다(마 25:46; 살후 1:9; 벧후 2:12). 그는 영원히 예비된 캄캄한 흑암에 처해질 것이요(벧후 2:17; 유 1:13), 꺼지지 않는 불(사 66:24)이 있는 지옥(마 10:28)에 떨어질 것이다. 물론 그리스도의 재림 때에 그 역시 부활할 것이지만 그것은 심판의 부활일 뿐이다(요 5:29). 그는 둘째 사망을 당하여(계 2:11; 20:14; 21:8), 불못에 던져질 것이다(계 20:10, 15).
출처: 라이프 사전
첫댓글 예수님이 이 세상에 오신 이유는?
요한복음 10장
10.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
에베소서 2장
1. 그는 허물과 죄로 죽었던 너희를 살리셨도다
요한일서 4장
9.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난 바 되었으니 하나님이 자기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그로 말미암아 우리를 살리려 하심이라
10. 사랑은 여기 있으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속하기 위하여 화목 제물로 그 아들을 보내셨음이라
아버지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를 살려주시고 구원의 역사를 이루시기 위해 불러 사용하여 주시니 더욱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