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24048C4B58C0D68714)
![](https://t1.daumcdn.net/cfile/cafe/231E884B58C0D6880A)
![](https://t1.daumcdn.net/cfile/cafe/2740034B58C0D6891F)
위치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안길 79 (사천리20)
산과 바다가 조화를 이루고 낮은 구릉과 평탄한 들녘이 서로 이어지며 계곡이 골마다 흘러내리는 이곳은 옛부터 소금강이라 일컬어 졌으며 이곳에 불조의 선맥이 면면히 계승되고 많은 고승석덕을 배출한 한국불교의 선지종찰 수덕사가 자리잡고 있다.
백제사찰인 수덕사는 백제 위덕왕(554~597) 재위시에 창건된 것으로 학계에서 추정하고 있으며 또한 수덕사 경내 옛 절터에서 발견된 백제와당은 백제시대 창건설을 방증하고 있다. 백제 무왕때도 (600~641년) 혜현법사가 강론하고 고려 공민왕때 나옹화상이 중건하였다하며 조선시대 고종 2년(1865년)에 만공선사가 중창하여 우리나라 선종의 수도장으로 유명하다.
수덕사 대웅전은 국보 제49호 (’62. 12. 31)로 지정되었으며 고려 충렬왕(1308년)건립된 목조 건축물로 정면 3칸 측면 4칸으로 지붕은 맞배지붕과 주심포 계풍의 건물이며 충청남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03호인 수덕사 3층 석탑과 충청남도지정 문화재자료 제181호인 수덕사 7층석탑이 있으며 보물 제1263호로 지정된 노사나 괘불과 음률공양비천도, 수화도, 야화도, 금룡도 (이상 고려시대 벽화), 오불도(조선시대)등의 벽화가 유명하나 전쟁시 소실되고 현재 모조품만이 국립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또한 경내에는 정혜사, 전월사, 금선대, 향운각, 소립초당, 견성암, 환희대, 만월당, 선수암, 운수암, 극락암등이 산제 되어있다.
수덕사에는 세계일화를 바탕으로 하여 민족정신문화의 모음처라는 의미의 근역성보관이 있는데 이곳에는 불교 정보를 수집·조사·보존·전시함으로써 유물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의 축적과 더불어 불교문화의 이해와 가치 재인식의 장을 마련하고 있으며 본·말사내 백제시제부터 시작된 이 지역 불교의 원류와 시대에 따른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불교문화재 600여점을 소장 전시하고 있다.
수덕사는 완만한 덕숭산의 구릉을 따라 삼단과 석축을 쌓고 가장 위쪽에 대웅전을 배치한 전형적인 산지형 가람으로 도입·전개·결과의 연속성과 상승효과를 통한 대웅전을 강조하고 있다. 도입부는 속세로부터 사찰로 들어서는 일주문화 황하정루이고 전개부는 시계의 갑작스런 변화를 유도하며 시선을 집중시키는 조인정사까지이며 결말부는 핵심공간으로 역할과 기능을 강조하는 대웅전이며 동선의 배치와 뛰어난 구조미로 완성된다.
찾아오시는길
버스
- 서울(남부T) → 예산터미널(07:20-19:05,4회/일,2시간10분소요)
- 대전(동부T) → 예산터미널(07:00-19:00,12회/일,1시간50분소요)
- 대전(서부T) → 예산터미널(06:51-19:03,25회/일,2시간소요)
기차
- 용산역 → 예산역(05:30~20:445, 16회/일, 2시간소요)
- 용산역 → 신례원역(05:30~19:35,11회/일,1시간50분소요)
- KTX(용산역) → 천안,아산역(05:20~20:30)13회/일,37분소요)
- 수도권전철1호선(서울) → 신창역(06:50~22:27,41회/1일,2시간20분소요)
자가용
- 서울 → 서해안고속도로 → 대전당진간고속도로 → 예산.수덕사IC → 예산 → 국도45호 → 지방도622호 → 수덕사
- 대전 → 유성IC → 대전.당진간고속도로 → 예산.수덕사IC → 예산 → 국도45호 → 지방도622호 → 수덕사
- 부산 → 경부고속도로 → 대전외곽순환도로 → 대전.당진간고속도로 → 예산수덕사I·C → 예산 → 국도 45호 → 지방도622호 → 수덕사
- 광주 → 서해안고속도로 → 해미IC → 국도45호 → 덕산온천지구 → 지방도622호 → 수덕사
현지교통
- 예산T → 수덕사(06:25-19:00, 10회/일, 45분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