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天長地久.
하늘은 오래 가고, 땅은 오래 보인다.
先言. 此以起下文.
(아래 문장에) 앞서는 문장이다. (노자는) 이 (앞) 문장으로써 아래 (다음) 문장을 이끌었다.
天地之所以能長久者, 以其不自生, 故能長生.
하늘과 땅이 오래 살고 오래 보일 수 있는 까닭, 그것은 일부러 일삼아 살지 않기 때문인데, 따라서 오래 살 수 있다.
不自生者, 猶第五章之不仁. 言不以長生爲心也. 人, 若以生爲心, 念念欲生. 則私意起. 而反傷其生. 此, 亦不虛之病也.
“일부러 일삼아 살지 않는다不自生”는 말은 제5장의 “(일부러 일삼아) 어질게 대하지 않는다”는 말과 (뜻이) 같다. 이른바, “오래 사는 것”을 (일부러 일삼아) 마음에 두지 않는다는 뜻이다. 만약, 사람이 “삶”을 (일부러 일삼아) 마음에 두게 되면, 끊임없이 “삶”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게 된다. 따라서 (본래 저절로 그러한 “삶生·性·命”을 어긋나고 벗어나는) 사사로운 의지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그 (본래 저절로 그러한) “삶生·性·命”을 다치게 하는 바로 되돌아가게 된다. (요컨대, “삶”을 다치게 함) 이것은 이른바 (“삶”을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마음을) 텅 비우지 못함이 일삼는 병폐이다.
是以聖人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 非以其無私邪. 故能成其私.
따라서 성인은 그 (자신의) 몸을 (다른 사람 몸의) 뒤에 자리하게 하는데, 따라서 그 (자신의) 몸이 (다른 사람 몸의) 앞에 자리하게 되며, 그 (자신의) 몸을 (일부러 일삼아진 이름과 이로움의) 바깥에 자리하게 하는데, 따라서 (그 자신의) 몸이 (이름과 이로움의 안쪽에) 자리하게 된다. (이것은 모두 성인이 자신의 몸) 그것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다른 사람의 앞에 자리하고자 하고, 일부러 일삼아 이름과 이로움의 안쪽에 자리하고자 하는) 사사로운 바를 가지는 바가 없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따라서 그 사사로운 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以其身而後於他人, 則他人仰慕. 自然尊榮. 故身先. 以其身而外於名利, 則明利不到, 禍患亦遠, 故身存.
“그 (자신의) 몸”으로써, 이른바 다른 사람(의 “몸”) “뒤에 자리하게 하면”, 다른 사람이 (그러한 자신의 “몸”을) 우러러보게 되며, (따라서) 마음속 깊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그 자신의 몸”이) 받들어지게 되며, (따라서) 빛나게 된다. 따라서 (“그” 자신의) “몸이 (오히려 다른 사람의 몸) 앞에 자리하게 된다.” “그 (자신의) 몸”으로써,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진) 이름과 이로움 “바깥에 자리하게 하면”, (일부러 일삼아진) 이름과 이로움이 (“그 자신의 몸” 안쪽에) 이르지 않게 되며, (따라서) 화禍와 근심거리가 이른바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그” 자신의) “몸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대로 오래) 자리하게 된다.”
盖欲先, 則必先居後. 欲存, 則必先自外. 皆, 所以明其謙虛之受益而已, 非謂聖人眞欲成其私, 而故爲是無私也.
이른바, (노자는 일컬었다) “(자신의 몸이 다른 사람의) 앞에 자리하게 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자신의 몸이 다른 사람의) 뒤에 자리하게 해야 하며, (자신의 몸이) 이름과 이로움에 자리하게 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스스로 (자신의 몸이 이름과 이로움의) 바깥에 자리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모두 그 다른 사람을 높임으로써 (일부러 일삼고자 하는 자신의 마음을) 텅 비움이 받게 되는 이로움을 밝히기 위한 것일 따름이지, “성인은 정말로 (스스로 먼저) 그 사사로운 바를 이루고자 하며, 이른바 따라서 (스스로 먼저) 그 사사로운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를 일부러 일삼는다”는 것을 일컫기 위한 것이 아니다.
右第七章.
여기까지가 제7장에 대한 풀이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