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파일을 클릭하면 관련 논문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무아, 윤회설에 관한 대승철학의 변증법적 발전 - 『중론』과 『대승기신론』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Mahāyāna Dialectic on Anātman and Saṃsāra - Focusing on Mādhyamika-śāstra and Mahāyāna-śraddhotpādaśāstra -
한국불교학
2022, vol., no.102, pp. 69-103 (35 pages)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종교학
정원석
목차
Ⅰ. 서론
Ⅱ. 자아에 관한 4가지 유형의 이론들
Ⅲ. 자아의 형성과 윤회유전의 세계
Ⅳ. 대승철학의 변증법적 종합
Ⅴ. 결어
초록
무아론과 윤회설은 자아의 실재성에 관한 대립적 테제로 한쪽이 일방적으로 참을담지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 변증법적 주제를 이루게 된다.이 딜레마에 대한 붓다의 종국적인 답은 무기(無記)나 중도(中道)로 대변될 수 있는데, 붓다 이후 학파별로 상이한 이론들을 제시하게 된다. 아비달마 이론에서는 단멸적 사고나 아트만적 상견론을 벗어나고자 원자적 환원주의를 중점으로 하여 무아론을고수하고, 상좌부는 재생연결식에 의한 윤회론을 주장하였으나 각각 환원주의의 한계와 식(識) 이론에 관한 모순을 만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승철학의 해법은 반야의 해탈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진제와 속제와의 변증법적 발전에 의한 중도적 귀결이었다. 그 대승철학의 사유는 환원주의와 이성적 인식론의 실체적 주체성을 벗어나 반야라는 무위, 무아적 심급(審級)으로 향한다. 이 반야가 속제에 입법한 법칙이 연기론이라고 하는 특권적인 상의인과적 논리이다. 대자적인 속제의 인식은 오온(五蘊) 체계가 만드는 허구적인 무상한 자아심리체의 형성을 겪고 이것을 ‘나’로 인식하게되며 윤회하게 된다. 그 인식과 존재는 단면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메타적구조를 갖게 되는데 그 메타적 윤회 유전 구조를 밝힌 것이 12연기론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무아윤회설이 갖는 모순대립적 난제는 오로지 대승철학의 변증법적 전개의 논리 속에서만 해명 될 수 있다고 보아 그 철학적 발전을 붓다의원전과 『중론』과 『대승기신론』등의 대승 경론에 나타난 경로를 따라 밝히는 것을목표로 한다.
키워드 ; 윤회(輪廻) 무아(無我) 연기(緣起) 인식론 변증법 공사상(空思想) 반야(般若)
saṃsāra, anātman, pratītyasamutpāda, epistemology, dialectic, śūnyatā, prajñā
참고문헌(37)
2024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1. [기타자료] - / / Anguttaranikāya / PTS
2. [기타자료] - / / Dīghanikāya / PTS
3. [기타자료] - / / Dhammasaṅganī Atthasālinī / PTS
4. [기타자료] - / / Majjhimanikāya / PTS
5. [기타자료] - / / Saṃyuttanikāya / PTS
6. [기타자료] - / / Abhidhammatthasangaha / PTS
7. [기타자료] - / / Visuddhimagga / PTS
8. [기타자료] - / / Udāna / PTS
9. [기타자료] - 求那跋陀羅 / / 雜阿含經 (T02)
10. [기타자료] - 瞿曇僧伽提婆 / / 中阿含經(T1)
11. [기타자료] - ⽞奘 / / 解深密經(T16)
12. [기타자료] - 眞諦 / / ⼤乘起信論(T32)
13. [기타자료] - 鳩摩羅什 / / 中論(T30)
14. [기타자료] - ⽞奘 / / 緣起經(T2)
15. [기타자료] - ⽞奘 / / 唯識三⼗論頌(T31)
16. [기타자료] - Kant, Immanuel / 1787 / Kritik der reinen Vernunft
17. [단행본] - 김진 / 2004 / 칸트와 불교 / 철학과 현실사
18. [단행본] - 나카무라 하지메 / 1993 / 원시불교 / 동문선
19. [단행본] - 미야자키 테츠야 / 2021 / 불교 연기 논쟁 / 올리브 그린
20. [단행본] - 무르띠 / 1995 / 불교의 중심철학 / 경서원
21. [단행본] - 임근동 / 2012 / 우파니샤드 / 을유문화사
22. [단행본] - 2칸트 / 2006 / 순수이성비판 / 아카넷
23. [단행본] - 프로이트 / 1997 /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 열린책들
24. [단행본] - 한자경 / 2010 / 불교의 무아론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5. [단행본] - 호진 / 2015 / 무아, 윤회문제의 연구 / 불광출판사
26. [단행본] - Cheng, Hsueh-li / 1984 / Empty logic: Mādhyamika Buddhism from Chinese / Motilal Banarsidass Publ
27. [단행본] - Freud, Anna / 1992 / Anna Freud’s Harvard Lectures / Karnac books
28. [단행본] - Gribbin, John / 1984 / In Search of Schrödinger's Cat / Bantam Books
29. [학술지(정기간행물)] - 고익진 / 1971 / 아함의 무아윤회 / 동국사상 6
30. [학술지(정기간행물)] - 박경준 / 1989 / 초기불교의 연기상의설 재검토 / 한국불교학 14
31. [학술지(정기간행물)] - 서성원 / 1993 / 第⼀義空經과 Vasubandhu / 인도철학 3
32. [학술지(정기간행물)] - 우동필 / 2016 / 니까야로 본 중론의 십이연기 - 「관십이인연품」(觀十二因緣品)을 중심으로 - / 불교학연구 49 : 199~231
33. [학술지(정기간행물)] - 이덕진 / 2003 / 이원성과 비이원성에서 본 자아의 문제 / 오늘의 동양사상 (8)
34. [학술지(정기간행물)] - 이중표 / 2006 / 中論의 ⼋不과 綠起 / 불교학연구 (22)
35. [학술지(정기간행물)] - 정승석 / 1994 / 무아와 윤회의 양립 문제 / 인도철학 (4) : 251~288
36. [학술지(정기간행물)] - 조성택 / 2003 / 불교의 이론과 실천 수행 / 오늘의 동양사상 (8)
37. [학술지(정기간행물)] - 한자경 / 2001 / 불교의 자아관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의 한계 / 오늘의 동양사상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