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장十五章
(아주 먼) 옛날에 도道를 일삼기를 잘했던 임금은 (유위有爲가) 작았고, (유위有爲에 대해) 어렴풋했으며, (유위有爲에 대해) 어슴푸레했고, (무위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졌으며, (무위無爲가) 깊었고, (무위無爲의 깊이를) 알아차릴 수 없었다. 이른바, 오로지, (무위無爲의 깊이를) 알아차릴 수 없었는데, 따라서 (나는) 일부러 일삼아 그 모습을 일삼는다. (유위有爲를 일삼기를) 주저했다! 마치 겨울철 시내를 건너는 것처럼. (유위有爲를 일삼기를) 두려워했다! 마치 사방의 적敵을 두려워하는 것처럼. (무위無爲를 일삼는 데) 엄격했다! 마치 손님을 맞는 것처럼. (따라서 송宋나라시대) 여길보呂吉甫는 일컬었다. “(유위有爲를 일삼는 바의) 주인이 되는 바를 일삼지 않았다.” (유위有爲를 일삼는 바를) 흩뜨렸다. 마치 얼음이 이내 녹아서 풀어지는 것처럼. (무위無爲를 일삼는 데) 도타웠다! 그 통나무처럼. (유위有爲를 일삼는 바를) 텅 비웠다! 그 계곡처럼. (무위無爲를 일삼는 바와 더불어) 어우러졌다! 그 흙탕물처럼. 누구인가? (자신을 유위有爲에 대해) 흐리게 하는 바로써, (백성) 그들을 (유위有爲에 대해) 조용해지게 하고, 그들이 (무위無爲하게 살아가는 바에 대해) 서서히 맑아지게 할 수 있는 사람이. 누구인가? (자신을 유위有爲에 대해) 조용하게 하는 바로써, (백성을 무위無爲에 대해) 시끄러워지게 하고, 그들이 서서히 (무위無爲하게) 살아가게 할 수 있는 사람이. 이러한 이치를 지키는 임금은 (유위有爲를 일삼는 바를) 일삼고자 하거나 흘러넘치게 하지 않는다. 이른바, (그러한 임금은) 오로지 (유위有爲를 일삼는 바를 일삼고자 하거나) 흘러 넘치게 하지 않는데, 따라서 (백성은 저절로 그러하게) 낡아지기를 잘하게 되고, (따라서 백성은 일부러 일삼아) 새로워지는 바를 이루지 않게 된다. (따라서 송宋나라시대) 소약우邵若愚는 일컬었다. “(따라서 백성이 저절로 그러하게) 낡아지기를 잘하게 되고, (일부러 일삼아) 새로워지지 않기를 잘하게 되며, (저절로 그러하게) 이루어지기를 잘하게 된다.”
古之善為道者, 微妙玄通, 深不可識. 夫唯不可識, 故強為之容. 豫兮, 若冬涉川. 猶兮, 若畏四鄰. 儼, 若客. 呂吉甫曰: 不為主也. 渙, 若冰將釋. 敦兮, 其若樸. 曠兮, 其若谷. 混兮, 其若濁. 孰, 能濁以靜之徐清? 孰, 能安以動之徐生? 保此道者. 不欲盈. 夫唯不盈, 故能蔽, 不新成. 邵若愚曰: 能蔽, 能不新, 能成.
(이른바, 지금의 세상에서 무위無爲가) 어렴풋한 바(妙; 有爲)를 (뽑아) 가리는 사람이 모두이다. (유위有爲가) 작은 바(微; 無爲)와 (유위有爲가) 어렴풋한 바(妙; 無爲)를 (쫓아) 따르는 사람은 드물다. (무위無爲가 어렴풋한 바를) 구한 채, (유위有爲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사람이 모두이다. 이른바, (유위有爲가) 어렴풋한 채(玄; 無爲), (무위無爲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사람은 드물다.
擇妙者, 眾. 繇微而妙者, 鮮. 求通者, 多. 以玄為通者, 希.
이른바, (임금이 무위無爲를) 드러내거나 보태게 되면, (백성이 유위有爲에게) 나아가거나 넘어가지 않게 된다. 이른바, (임금인) 내가 (유위有爲에게) 찾아들거나 넘어가는 마음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되면, (무위無爲에 대해) 어렴풋한 바(妙; 有爲)가 (백성의) 갓(冠; 몸)에 자리하지 않게 된다. (백성의) 갓이 (유위有爲의) 가운데 자리하지 않게 된다. 이른바, (임금의 몸이) 감히 (무위無爲의) 갓을 쓰는데, 어찌 그 (백성의) 몸이 (유위有爲의 갓을 쓰는 바를) 시험하겠는가? 이른바, (임금의 머리가) 감히 (유위有爲의) 갓을 쓰지 않는데, 어찌 그 (백성의) 머리가 (유위有爲의 갓을 쓰는 바를) 시험하겠는가? 이른바, (임금인 내가 무위無爲의 갓을 써야 한다는 것을) 알아차리기를 싫어하고, 이른바 (임금인 내가 무위의 갓을 쓰는 바를) 감히 하지 않는데, (갓을 쓰는 바를) 시험하는 백성과 (갓을 쓰는 바에게) 넘어가는 백성이 (임금인) 나의 (그러한) 모습으로 나아가는 바를 일삼지 않은 적이 일찍이 한 번도 없었다.
夫章甫, 不可以適越. 而我, 無入越之心. 則妙, 不在冠, 不冠之中. 而敢以冠, 嘗試其身乎? 而敢以不冠, 嘗試其首乎? 又惡知, 夫不敢, 嘗試者之越, 不為我適也.
(이른바, 임금은 무위無爲에 대해 차가운 자신의 얼음 위에) 앉아야 하는데, 따라서 (무위無爲에 대해 차가운 백성의 얼음) 그것을 녹이게 된다. 왜냐하면, (임금이 무위無爲에 대해 차가운 자신의 얼음 위에 앉게 되면, 백성이 그러한 임금을 따라서 무위無爲에 대해 차가운 자신들의 얼음 위에 앉게 되고, 따라서 무위無爲에 대해 차가운 백성의) 얼음(氷; 有爲)이 따듯해지(게 되며, 따라서 무위無爲에 대해 차가운 백성의 얼음이 녹게 되)기 때문이다. (이른바, 임금은 자신을 유위有爲에 대해) 흐려지게 해야 하고, (따라서 백성이 자신들을 무위無爲에 대해) 맑아지게 하게 된다. 왜냐하면, (임금의 무위無爲의) 비가 내리게 되면, (백성은) 도롱이를 (일부러 일삼아) 꾸미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임금이 무위無爲에 대해) 굶주리게 되면, (백성은 유위有爲의) 보따리를 싸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坐, 以消之. 則冰, 可燠. 濁, 可清. 以雨行, 而不假蓋. 以飢往, 而不裹.
(이른바, 임금이 자신을 유위有爲에 대해 흐려지게 하는 바나 무위無爲에 대해 조용해지게 하는 바) 그것은 서서히 (백성이 자신을 유위有爲에 대해 조용해지게 하는 바나 무위無爲에 대해 시끄러워지게 하는 바) 그것을 기대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임금에게) 어찌 (다음과 같은) 열매가 맺히는 바가 있겠는가? 황토빛 강물이 맑아지지 않고, (황토빛 강물에) 가려져 있던 바닥이 드러나지 않는. (이른바) 천하는 이와 더불어 같이 할 따름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리는 바를 겨루던 임금이 이른바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불리는 바에 대해) 날카로운 바(銳; 有爲)를 꺾어버리게 되면, (저절로 그러하게) 공功을 일삼게 되고, (따라서 이름 지어 불리는 바가 저절로 그러하게) 오래 가게 된다. (이른바, 임금) 그는 (유위有爲를) 내버려야 하는데, 따라서 (백성이 저절로 그러하게) 새로워지는 바를 기뻐하게 되고, 따라서 (백성이 일부러 일삼아 새로워지는 바를) 이루기를 잘하지 않게 된다!
其, 徐俟之也. 豈果有, 黃河之不可澄, 馬角之不可生哉? 天下, 已如斯矣. 而競名者, 以折銳, 為功. 久矣, 其, 棄, 故喜新, 而不能成也!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