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음사야영장~구린굴~목교~삼각봉대피소~한라산동봉~진달래밭대피소~사라오름~속밭대피소~성판악휴게소 (1/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3F62355C525DD91B)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099405C525DFF1D)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154405C525DFF17)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BC7405C525E0015)
1:25,000지형도 = 오라,한라산
2019년 1월 29일(화) 맑음,기온 : 2.8~9.2℃, 1.9m/s,평균습도 : 64%
일조시간: 8.7hr, 일출몰: 07:33~18:02[도상 18.09km, 06:56분 소요]
동행: 이재근님과
<개요>
탐라계곡[耽羅溪谷]은제주특별자치도 중앙부에 위치한 한라산의 관음사(觀音寺) 등산로에 있는 계곡으로 설악산 천불동계곡, 지리산 칠선계곡과 함께 우리나라 3대 계곡 중 하나이다.
한라산의 여러 등산로 중 북쪽 코스에 해당하는 관음사 등산로 옆으로 위치하고, 8100년전 한라산의 분화 활동으로 생겨난 특수한 지형의 계곡으로 제주특별자치도를 대표하는 계곡이다.
한라산에서 가장 깊은 계곡으로 총 길이도 15km가 넘고 관음사 등산로 입구에서 3.2km 올라간 지점에서 합수부에서 가운데 개미등능선을 중심으로 동탐라계곡과 서탐라계곡으로 나뉘어 있다.
백록담에서 발원한 동탐라계곡 주변으로 등산코스가 형성되어있고 용진교 아래로 흘러 탐라목교부근에서 서쪽계곡과 합수해서 한천으로 흐른다.
삼각봉 부근에서 발원한 서탐라계곡은 여러개의 지계곡이 잘 형성된곳이지만 아직은 일반 사람들에겐 미지의 세계로 남아있다.
백록담에서 시작된 한천은 신제주 시내를 관통하여 용두암으로 유명한 용담마을을 지나 제주해협과 만난다
관음사코스는 계곡 대부분이 가파른 비탈로 이루어져 있고 급경사를 이룬 지점도 많아 오래전부터 등산객들이 탐라계곡 일대에서 자주 사고를 당하자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는 2007년에 계곡을 가로지르는 길이 30m의 아치형 목교를 설치했다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섬이며, 섬 중심에 한라산이 솟아 있는 타원형 모양의 화산섬으로, 다양하고 독특한 지형을 뽐내고, 연안에 난류 가 흐르는 까닭에 기온의 연교차가 작은 난대 해양성 기후이다. 그러나 한라산(1,950m)이 중앙에 솟아 있어 남북 간 기후차가 크다. 기온은 연중 따뜻해 연평균 16℃, 여름 평균기온 33.5℃, 가장 추운 1월 평균기온 역시 1.0℃로 한국에서 연교차가 가장 작다.
연강수량은 1,530㎜로 울릉도 다음으로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이다.
북서계절풍 이 불어와 부딪히는 한라산 북쪽 사면은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리는데, 초겨울에 내린 눈이 이듬해 봄까지 녹지 않는다. 반면 한라산 남쪽의 서귀포는 한라산이 차가운 북서 계정풍을 맏아주기 때문에 제주도에서도 가장 따뜻하다. 여름에는 태풍이 가장 먼저 도달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비가 많이 내린다.
기후가 고도에 따라 차이가 나기 때문에 한라산을 오르다보면 난대림, 온대림, 한대림 등을 골고루 만날 수 있다. 해발고도 70m 이하의 낮은 지대에는 아열대식물이 많으며, 녹나무를 주로 하는 상록활엽수림대가 발달했다. 700∼1,200m에는 서나무·개서나무·졸참나무 등 온대활엽수가 무성하며, 1,200∼1,500m에는 소나무·향나무·구상나무 등 한대침엽수림, 1,500∼1,700m에는 관목림, 1,850m 이상의 산정에는 고산식물대가 각각 전개된다.
이처럼 제주도는 다양한 식생과 섬 전체에 분포된 기기묘묘한 바위와 지형들로 인해 2002년에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2007년에는 세계 자연유산 등재, 2010년에는 세계 지질공원 인증으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유네스코 자연 과학 분야에서 3관왕을 달성한 아름다운 섬이다
<출처> 네이버
▼ 6:50분발 제주행 비행를 타고 8:05분에 도착했다. 렌트카 셔틀버스에서 한컷을 남긴다.
왼쪽부터 모아(문종수)님,친구인 녹림처사, 주선자 이재근님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6934A5C5265CE24)
▼ 관음사코스 휴게소에 도착(9:18)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CCE4A5C5265CE26)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1894A5C5265CE20)
▼ 등산준비를 하고 초입을 찾아 출발(9:20)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64E4A5C5265CF2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63B4A5C5265CF24)
<구린굴>
길이 40 m. 높이 4~6 m. 너비 5~8 m. 해발 680 m 지점에 있어 한국 용암동굴 중에서가장 높은 곳에 있는 동굴로 알려져 있다.
한라산의 계곡을 따라 밑으로 뻗어내려경사도 7.3 °의 단조롭고도 직선적인 동굴이다. 입구는 비교적 넓고, 동굴 안에는 4개의 분기공(墳氣孔)이 있다.
한라산의 경사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동굴 내부에는곳곳에 동굴류(洞窟流)의 유수지(溜水地)가 있고,
동굴 측벽에는 동굴류의침식삭박에 의한 침식지형이 나타나며, 또 용암류(熔岩流)의 바닥 침하로 생긴용암선반[熔岩棚]이 남아 있다.
특히 동굴 내부에 형성된 길이 20 m와 34 m, 너비 5∼8 m의 2개의 용암교는 매우 모식적인 용암동굴지형으로 알려져 있다.
박쥐는 동굴속 도처에 군서(群棲)하고, 그 밖에 거미류 ·톡톡이류 및 노래기류 ·진드기류 등이서식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2C74A5C5265D023)
▼ 900m 지점에서 한번 쉬고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2BE4A5C5265D12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0984A5C5265D125)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AAD495C5265D21B)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059495C5265D21E)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B07495C5265D321)
▼ 2007년에 설치된 탐라계곡 아치형 목교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16B495C5265D41E)
▼ 이제부터 본격적인 오르막이 시작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80B495C5265D521)
▼ 탐라대피소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533495C5265D51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6244E5C5265D621)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9484E5C5265D71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7CF64E5C5265D724)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C7A4E5C5265D820)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A094E5C5265D80E)
<삼각봉대피소>
삼각봉은 한라산 등산로 중 하나인 관음사(觀音寺) 등산로 입구에서 4.9km 정도 올라가면 나오는 개미목 인근에 있다. 이름은 오름의 전체 모양이 꼭대기가 뾰족한 삼각추처럼 생긴 데서 유래했다. 높이 1,695.5m, 둘레 2,035m, 총면적 23만 7586㎡ 규모의 기생 화산으로 대부분이 가파른 바위 벼랑으로 이루어졌다. 오름 남쪽 비탈면에는 진달래 군락이 자리 잡고 있으며 다른 쪽 비탈면에는 시로미, 누운향나무 등의 고산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대피소는 2009년에 준공을 하여 운영하고있다. 현재 매점은 없고 간이 화장실만 운영중이다.
동절기에는 12:00까지 이곳을 지나야 한다.
▼ 삼각봉 대피소 도착(11:2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9AB4E5C5265D92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8DB4E5C5265D91C)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E10495C5265DA21)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6D7495C5265DA20)
▼ 20분간의 휴식을 끝내고 정상으로 향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8CB495C5265DB2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3A3495C5265DC22)
▼ 용진교(11:5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877495C5265DD21)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88B495C5265DD22)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8574B5C52662521)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E974B5C52662525)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CE54B5C52662621)
▼ 용진각대피소 터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0404B5C5266261D)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C5E4B5C52662725)
▼ 용진각대피소를 지나면 최고 된비알이 시작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A9FA4B5C52662720)
▼ 다행히 300m 남짓 오르막을 치고 나면 헬기장이 나오고 길은 다시 순해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AA504B5C52662820)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FA1495C52662923)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96B495C52662923)
▼ 따뜻하고 맑은 날씨 탓에 땀은 비오듯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E66495C52662A20)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795495C52662A23)
▼ 바람이 없어서 정상 바로아래 데크에서 점심 식사중인 산객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02CB495C52662B22)
▼ 남쪽에서 피어오른 안개가 동쪽으로 넘어오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4B6495C52662B17)
▼ 눈으로 가득해야할 구상나무 군락지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BE3495C52662C1D)
▼ 먼저 정상에 도착해서 금줄을 넘어서 인증샷을 남긴다(12:41)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3BC495C52662C24)
▼ 한라산 동봉에 인증샷을 남기려는 산객들로 가득하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7EC465C52662D1A)
▼ 성판악에서 올라오는 길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046465C52662D1F)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100465C52662E1F)
▼ <이재근>님과 인증샷
![](https://t1.daumcdn.net/cfile/cafe/991098465C52662E1F)